• Title/Summary/Keyword: 동적 균형상태

Search Result 34,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Elastic Demand Stochastic User Equilibrium Assignment Based on a Dynamic System (동적체계기반 확률적 사용자균형 통행배정모형)

  • Im, Yong-Tae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5 no.4
    • /
    • pp.99-108
    • /
    • 2007
  • This paper presents an elastic demand stochastic user equilibrium traffic assignment that could not be easily tackled. The elastic demand coupled with a travel performance function is known to converge to a supply-demand equilibrium, where a stochastic user equilibrium (SUE) is obtained. SUE is the state in which all equivalent path costs are equal, and thus no user can reduce his perceived travel cost. The elastic demand SUE traffic assignment can be formulated based on a dynamic system, which is a means of describing how one state develops into another state over the course of time. Traditionally it has been used for control engineering, but it is also useful for transportation problems in that it can describe time-variant traffic movements. Through the Lyapunov Function Theorem, the author proves that the model has a stable solution and confirms it with a numerical example.

Modeling of Water Transportation in Dynamic Load Proton Exchange Membrane (PEM) Fuel Cell Power Generator (동적부하 PEM 연료전지 발전기에 있어서의 수분전달 모델링)

  • Agung, Bakhtiar;Choi, Kwang-Hwan;Kim, Young-Bok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 /
    • v.31 no.2
    • /
    • pp.1-7
    • /
    • 2011
  • PEM 연료전지에 있어서 수분의 균형이 연료전지의 시스템 성능에 현저한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수분 균형은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일부가 되었으며, 이에 관한 연구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적절한 수분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멤브레인 수화작용(membrane hydration)이 필요하며, 반대로 촉매층(catalyst layer)에서의 익수(water flooding)현상이 없어져야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동적 상태에서 PEM 연료전지 내의 수분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동적 수분 조정 기술이 확보되어야 한다. 현재의 연구는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PEM 연료전지에서 동적부하 상태에서의 수분 이동에 관한 일차원 해석 모델에 관한 것이다. 금번 모델링의 결과, 양극촉매층(CCL, cathode catalystlayer)에서의 수분 상태는 거의 포화 단계에 이르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 모델링은 연료전지가 작동되는 동안의 CCL에 나타나는 수분의 양상을 예측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분 이동 모델이 국제규격에 따라 다양한 수송기관이 가동될 때, 동적부하 상태에서 서로 다른 차이점을 발견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결과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 모델링을 적용한 결과, 수분 포화도가 상태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고, 또한 정적 수분 조절 요소에 따라 최적 상태가 모든 동적 분포에 따라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A Study on Development of Dynamic Traffic Assignment Technique using the Cell Transmission Theory (Cell Transmission 이론을 이용한 동적통행배정기법 개발에 관한 연구)

  • 김주영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a
    • /
    • pp.31-40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Cell Transmission(1994, Daganzo) 교통류 이론을 기반으로 동적통행배정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모형은 동적 O-D 발생모듈, HOV 차선모듈, 분류부 분할모델, 링크비용함수 모듈, 최단경로 탐색 모듈등으로 구성된다. 이 모델에서 적용하는 교통류 모델은 각 링크를 동일한 특성을 가지는 셀로 구분하여 셀내의 진입시간과 진출시간을 계산하여 링크비용을 계산하는데 이것은 비용의 과대·과소 추정을 피할 수 있으며 교통지체 현상을 현실적으로 표현해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HOV 차선 모듈에 의해 수단별 교통류 진행 및 비용고려가 가능하며 HOV 차선의 평가 및 분석이 가능하다. 기존의 동적통행배정모형은 매 시간대별 출발지에서 균형상태를 추구하는 통행배정기법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 모델은 분류되는 노드를 가상의 출발점이라고 가정하여 각 시간대별로 최단경로를 탐색하여 균형상태를 추구해나가는 기법을 적용하고 있다. 각 셀별 차량을 목적지별, 차종별, 대기시간별로 추적하여 진행시키며 분류부에서는 최단경로를 탐색하여 배분된다. 또한 진행하고자 하는 셀의 용량과 현재 셀의 밀도를 고려함으로서 용량제약 하에서의 동적통행배정모형을 적용하고 있다. 이 모형은 고속로의 합류부 및 분류부의 교통특성을 세밀히 분석할 수 있으며, TCS 및 램프미터링과 접목하여 고속도로 운영에 이용될 수 있으며, 고속도로 중·장기적인 계획에 이용될 수 있다.

  • PDF

Applying Steady State Analysis to the Study of Mitten Crabs in Jichun, Kum River (동적 균형상태를 중심으로 본 금강 지천의 참게자원 분석)

  • Jeon, Dae-Uk;Jeong, Hoi-Seong
    • Korean System Dynamics Review
    • /
    • v.11 no.1
    • /
    • pp.27-57
    • /
    • 2010
  • This article deals with an ecological-economic analysis of the 'Pasture Project of Kum River', which is the farming plan of mitten crabs using Jichun, a stream of the River Kum where the natural propagation of mitten crabs are blocked because of the estuary dam constructed in 1990. Toward analyzing the ecological and economic effects of the crab releasing and harvesting activities in Jichun, a two-stage cohort model of population dynamics with cannibalistic behaviors and density restrictions in biomathematics is adopted, despite of the current infertility in Kum, considering the opportunity of establishing dam fishways in the near future. This study moreover presents a method of parameter estimation especially with assuming a steady state of the ecosystem, and performs various analyses such as the risk measurement of climate change and the economic value of such fishways.

  • PDF

Implementation of Dynamic Walking of Biped Walking Robot using Intelligent Sensor Fusion System (지능형 센서 퓨전 시스템을 이용한 이족보행 로봇의 동적보행 구현)

  • Kho, Jae-W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1829_1830
    • /
    • 2009
  • 본 논문은 로봇이 처한 환경의 실시간 상황 인식을 위한 지능형 센서 인터페이스를 연구 개발하여 다양한 환경에서의 안정되고 유연한 이족 보행 로봇의 동적 보행 제어를 수행하였다. 자이로 및 가속도 센서를 적용한 실험을 통하여 간단한 보상만으로도 로봇의 안정도가 확연히 개선되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미지의 외력이 가해져 로봇이 불안정한 상태가 계속될 때 상체의 기울기 보정이 무게중심을 보다 안정된 영역쪽으로 이동시켜 곧바로 균형을 잡아준다. 또한 압력센서를 이용한 ZMP 측정과 이를 통한 균형 제어 실험 결과 뛰어난 보행을 구현할 수 있었다. 불규칙적인 지면에서도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 분포가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여 ZMP가 항상 로봇의 발바닥 지지 영역 안으로 오도록 제어하였다. 이것을 통해 로봇은 경사면을 보행하거나 기울기가 변하는 바닥에서 쓰러지지 않고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였다.

  • PDF

Effects of Tai Chi on Balance and Muscle Activity of Ankle Joints with USN sensor in Elderly People (태극권이 노인의 균형과 센서 USN을 이용한 발목관절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Kang, Jeong-Il;Kwon, Hye-Mi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0 no.3
    • /
    • pp.425-431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ffect of Tai Chi on balance and muscle activity of ankle joints with USN sensor in elderly people. Thirty six elderly participated and randomly assigned to a experimental group with Tai Chi and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trained using a Tai Chi through 3 times per a week over 6 weeks. For all subjects, their balance such as functional reach test and one leg stance test, the change of muscle activity of ankle joints with USN sensor wireless-electromyogram during leg closed stance with eye closed were measur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The results were of a signigicant changes to the balance in group and between group as well. Comparison of muscle activity left tibialis anterior and left gastrocnemius in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ison of muscle activity right tibialis anterior and right gastrocnemius in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ison of muscle activity between group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dditional results indicated that, elderly people who received Tai Chi in one study, improve balance control and muscle activity ankle joint. so it is anticipated that improvement in clinical utilization for the elderly who's gait ability and balance ability reduced.

Load Balancing in Unstructured Grid Environments using Workloads (비구조적 그리드 환경에서 작업량에 따른 부하 균형)

  • Gu Tae-Wan;Hong Sung-Jun;Hyun Sang-Hun;Kim Byung-Kwan;Jung Yeon-Jin;Lee Kwang-M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d
    • /
    • pp.208-210
    • /
    • 2006
  • 그리드 환경에서는 원격의 이질적인 자원들을 서로 공유하며 상호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작업을 처리 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하지만 각 노드들은 그리드에 자유롭게 참여 및 탈퇴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P2P 네트워크 구조와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기존의 병렬처리 컴퓨터에서의 부하 균형문제와는 다른 특징을 갖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동적인 자원 구성의 특징을 갖는 그리드 컴퓨팅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하 균형 문제를 정의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조정 노드(coordinating node)라고 불리는 부하 탐지 모듈을 설계 및 구현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조정 노드는 동적으로 변화하는 그리드 자원들의 상태를 실시간으에 탐지하게 되며 각 노드들이 네트워크에 새롭게 참여/탈퇴하여 네트워크 위상이 변화하는 경우에도 부하 균형을 달성 하게 된다.

  • PDF

보행시작 과정의 생체역학적 특성

  • 김사엽;김영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289-289
    • /
    • 2004
  • 보행 시작(Gait Initiation)은 정적 기립상태에서 출발하여 일정한 보행주기가 반복되기 전까지의 과정을 말한다. 이러한 보행의 시작은 아주 짧은 시간에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지는 움직이지만, 신경계의 조절 근육의 작용 및 생체역학적인 힘의 복합적인 통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노인의 낙상은 보행시작의 과정에 있어서 주로 신체노화와 질병으로 인한 균형 조절능력의 감소를 가장 큰 요인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주로 운동역학과 동적 근전도에 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다.(중략)

  • PDF

Effects of Y-Balance Test Difference of the Ankle Dorsi-flexion Range of Motion in K3 Soccer Players

  • Gyu-Ho Choi;Jin-Wook Lee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8 no.11
    • /
    • pp.161-168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with the Y-Balance Test, which evaluates dynamic balance ability according to the ankle joint dorsiflexion range of motion in a non-weight bearing posture. This study involved 27 male soccer players who regularly participate in the K3 League with more than 10 years of soccer experience. The Pearson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nkle joint dorsiflexion and dynamic balance 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LRD (P<.05) and CS (P<.01) in the HADR group.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nkle joint dorsi-flexion range of motion and severity was found only in PMRD, PLRD, and CS. Therefore, a decrease in ankle joint dorsi-flexion is associated with a decrease in balance ability. In order to prevent injuries in soccer players, it is believed that regular evaluation of ankle joint range of motion as well as training to improve knee and hip joint strength and proprioception are necessary.

Medial Longitudinal Arch Balanced Analysis of the Calibration (종족궁 내측아치 지지에 따른 균형능력 분석)

  • Kim, Seonchil;Lim, Cheo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8 no.2
    • /
    • pp.51-56
    • /
    • 2014
  • We analyzed how insole affects the dynamic stability and the balance while a body moves or stops. Specially we've sorted out variations of individual balance ability while we make a longitudinal arch stop artificially as a usual situation(just standing and putting one's weight). We found ten men and girls each with suitable feet for our experimentation as the subject of investigation and made individual insole for them by measuring medial longitudinal arch. Then we compared before and after movement of the power point of application and a pattern of COP using the Tetrax balance equipment. We found out it is better for balance ability when we wear insoles. It turned out to be helpful for increasing balance ability of body to use insole which supports medial longitudinal arch of longitudinal arch w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