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적지도정보

Search Result 107,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Recognition of Car License Plate by Using Dynamical Thresholding and Neural Network with Enhanced Learning Algorithm (동적인 임계화 방법과 개선된 학습 알고리즘의 신경망을 이용한 차량 번호판 인식)

  • Kim, Gwang-Baek;Kim, Yeong-Ju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9B no.1
    • /
    • pp.119-128
    • /
    • 2002
  • This paper proposes an efficient recognition method of car license plate from the car images by using both the dynamical thresholding and the neural network with enhanced learning algorithm. The car license plate is extracted by the dynamical thresholding based on the structural features and the density rates. Each characters and numbers from the p]ate is also extracted by the contour tracking algorithm. The enhanced neural network is proposed for recognizing them, which has the algorithm of combining the modified ART1 and the supervised learning method. The proposed method has applied to the real-world car images.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has better the extraction rates than the methods with information of the gray brightness and the RGB, respectively. And the proposed method has better recognition performance than the conventional backpropagation neural network.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omputing Environment for Geovisual Analytics Using HTML5 Canvas (HTML5 Canvas를 활용한 시각적 공간분석 환경의 설계와 구현)

  • Park, Mi-Ra;Park, Key-Ho;Ahn, Jae-Se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4 no.4
    • /
    • pp.44-53
    • /
    • 2011
  • This study designed and implemented a web-based computing environment for geovisual analytics using HTML5 canvas. The computing environment supports visualization tools and user's interaction. The visualization tools are cluster map, animated map, temporal parallel coordinate plot, and temporal heat map chart. Users can explore the temporal changes of cluster using multiple view and brushing technique. The computing environment that works well across browsers is used in the computing environment with multiple devices.

Semantic Caching Method that consider Layer and Region for Disconnected Operation in Location Based Service (위치 기반 서비스에서 비연결 연산을 위한 Layer와 Region을 고려한 의미론적 캐싱 기법)

  • 이상철;이충호;김재홍;배해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301-303
    • /
    • 2001
  • 현재 무선단말기 보급의 확대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뛰어넘는 장점으로 무선 인터넷 환경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본 논문의 연구 분야인 모바일 지리정보 시스템(Mobil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에서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실시간 지리 정보를 얻기 위해 사용자의 무선단말기와 서버 사이에 빈번한 데이터 송수신이 이뤄져야 하며 데이터의 빠른 변화를 수용해야 한다. 그러나, 아직 현저히 낮은 대역폭을 가진 채널을 통해 통신하며, 비싼 이용 요금과 오류로 인한 자발적 또는 비자발적 연결 끊김 현상 등은 서비스 제공에 한계를 가진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이동 컴퓨팅 환경의 연구를 통해 연결 끊김 현상에서도 클라이언트의 지속적인 서비스 운영을 위한 비연결 연산으로 의미론적 캐시 기법과 캐시 교체 전략에 대해 알아보며, 본 논문에서는 Layer와 Region을 고려한 의미론적 캐싱 기법을 제안하여 무선 환경에서 동적인 지도서비스를 위한 기법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아직 많은 한계를 지닌 무선인터넷 환경에서 지리정보뿐 아니라 위치기반의 다양한 서비스 분야에 응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PDF

Development of Lane-level Dynamic Location Referencing Method (차로 수준의 동적위치참조 방법 개발)

  • Yang, Inchul;Jeon, Woo H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7 no.5
    • /
    • pp.188-199
    • /
    • 2018
  • In this study a novel dynamic lane-level location referencing method(LLRM) was developed. The terminologies were defined and the prerequisites were suggested for the LLRM. Then, the logical and physical data formats were proposed, followed by the development of encoding and decoding algorithms. To conduct a performance test of the proposed method, two different high precision digital maps were prepared as well as an evaluation tool. The test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proposed method works perfectly in terms of accuracy. The processing speed and the data size were found to be less efficient, but it is expected that the defect would be compensated soon enough due to the fast growing technology of ICT and computer hardwares.

Collection Fusion using Document Clustering (문서 클러스터링 정보를 이용한 컬렉션 융합)

  • 금기문;남세진;신동욱;김태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c
    • /
    • pp.147-149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여러 정보검색 엔진들이 분산되어 있는 환경에서 이 엔진들의 검색 결과를 효과적으로 취합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컬렉션 융합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방법은 우선 학습 질의어로 검색된 문서들의 클러스터링 정도를 이용하여 컬렉션에의 신뢰도를 측정하고 새로운 질의어가 입력되었을 때 각 컬렉션에서 검색된 문서의 유사도를 조정하여 융합하는 방법이다. 여기에서 각 컬렉션의 신뢰도는 미리 준비된 학습 질의어와 이 학습 질의어를 입력하여 검색된 문서들 사이의 유사도를 분석하여 측정한다. 이 신뢰도는 새로운 질의어가 입력되었을 때 각 컬렉션마다 문서들을 검색하고 이들 문서들을 어느 정도 신뢰할 것인가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학습과정에서 사람이 학습시킬 필요가 없는 비지도 학습에 기초하고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 지도 학습에 기초한 컬렉션 융합 방법과는 달리 인터넷과 같이 문서들이 동적으로 변하는 환경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 PDF

Automatic Email Multi-category Classification Using Dynamic Category Hierarchy and 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비음수 행렬 분해와 동적 분류 체계를 사용한 자동 이메일 다원 분류)

  • Park, Sun;An, Dong-Un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7 no.5
    • /
    • pp.378-385
    • /
    • 2010
  • The explosive increase in the use of email has made to need email classification efficiently and accurately. Current work on the email classification method have mainly been focused on a binary classification that filters out spam-mails. This methods are based on Support Vector Machines, Bayesian classifiers, rule-based classifiers. Such supervised methods, in the sense that the user is required to manually describe the rules and keyword list that is used to recognize the relevant email. Other unsupervised method using clustering techniques for the multi-category classification is created a category labels from a set of incoming messag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automatic email multi-category classification method using NMF for automatic category label construction method and dynamic category hierarchy method for the reorganization of email messages in the category labels. The proposed method in this paper, a large number of emails are managed efficiently by classifying multi-category email automatically, email messages in their category are reorganized for enhancing accuracy whenever users want to classify all their email messages.

Hybrid Schema Matching (HSM): Schema Matching Algorithm for Integrating Geographic Information (Hybrid Schema Matching (HSM): 지리정보 통합을 위한 하이브리드 스키마 매칭 알고리즘)

  • Lee, Jiyoon;Lee, Sukhoon;Kim, Jangwon;Jeong, Dongwon;Baik, Doo-Kwon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2 no.3
    • /
    • pp.173-186
    • /
    • 2013
  • Web-based map services provide various geographic information that users want to get by continuous updating of data. Those map services provide different information for a geographic object respectively. It causes several problems, and most of all various information cannot be integrated and provided. To resolve the problem, this paper proposes a system which can integrate diverse geographic information and provide users rich geographic information. In this paper, a hybrid schema matching (HSM) algorithm is proposed and the algorithm is a mixture of the adapter-based semantic processing method, static semantic management-based approach, and dynamic semantic management-based approach. A comparative evaluation is described to show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lgorithm. The proposed algorithm in this paper improves the accuracy of schema matching because of registration and management of schemas of new semantic information. The proposal enables vocabulary-based schema matching using various schemas, and it thus also supports high usability. Finally, the proposed algorithm is cost-effective by providing the progressive extension of relationships between schema meanings.

Link Travel Time Derivation Using GPS & GIS (GPS와 GIS를 이용한 링크통행시간 예측기법)

  • 최기주;신치현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6 no.2
    • /
    • pp.197-207
    • /
    • 1998
  • 지능형교통체계(ITS)환경 하에서 요구되는 정보서비스의 기본적인 형태는 통행속도, 지체정도, 통행시간등으로 대별 되어질 수 있다. 그 중 통행시간의 기본적 요소로서 링크통행시간을 산출하기 위한 제반 기법을 소개하였고, 특히 GPS를 이용한 링크통행시간 산정기법을 본 고에서는 제시하였다. 현재 GPS를 장착한 차량이 고유의 목적 (예를 들면, 위치파악 및 배차등의 목적으로)을 위해서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인 만큼 (개인택시조합등) 이러한 자원을 부수적으로 이용할 수 없는지에 대한 활용방안의 여부가 논문을 작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를 위해서 본 고에서는 구체적으로 GPS 원시테이터, 수치도로지도 (GIS포함) 및 무선데이터망을 이용하여 링크 통행시간을 산출하는 기법이 이를 위해서 본 고에서는 구체적으로 제시되었으며, 이들을 통한 교통정보의 수집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중간 결과로서 실제 가로주행조사를 통해서 얻어진 링크통행시간과 본 연구에서 게시된 GPS를 통해 얻어진 링크통행시간과 비교해 보면 오창의 범위가 10%내외로서 판명되어 그나마 동적교통정보 수집조건이 열악한 우리실정에 큰 자원이 될 수 있다는 확신을 얻을 수 ? 있었다. 한편, 본 연구에서 수행되지 못하였으나 추가연구로서 반드시 수행되었으면 하는 몇가지의 항목이 결론부에 함께 제시되었다.

  • PDF

A Case Study on the Path Planning Technique for the Self-Driving Car Based on the Finite State Machine. (유한상태기계를 적용한 자율주행차의 경로계획기법 사례연구)

  • Ryu, Duksan;Baik, Jong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05a
    • /
    • pp.409-411
    • /
    • 2018
  • 자율주행차에서 경로계획기법은 지도, 목적지 경로와 다른 정적/동적 장애물에 대한 예측 정보를 바탕으로, 안전하고, 합법적이며 효율적으로 차량을 조종하는 목표를 가진다. 고속도로 환경에서, 차량이 차선을 유지하고, 다른 차량들과 충돌을 회피하며, 더 느리게 움직이는 트래픽을 지나쳐 효율적이면서 안전한 경로를 생성하는 기법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의 행위를 모델링하는 기법 중의 하나인 유한상태기계를 적용하였다. 시뮬레이터를 통해, 급가속/감속과, 충돌 없이, 차선을 유지/변경을 힐 수 있음을 보였다. 자율주행차의 고속도로 주행의 경우, 유한상태기계를 적용하여, 효율적이고 안전한 경로계획을 수행할 수 있다.

Stereo Matching Algorithm by using Color Information (색상 정보를 이용한 스테레오 정합 기법)

  • An, Jae-Woo;Yoo, Ji-Sa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6 no.3
    • /
    • pp.407-415
    • /
    • 2012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stereo matching algorithm by using color information especially for stereo images containing human beings in the applications such as tele-presence system. In the proposed algorithm, we first remove the background regions by using a threshold value for stereo images obtained by stereo camera and then find an initial disparity map and segment a given image into R, G, B and white color components. We also obtain edges in the segmented image and estimate the disparity from the extract boundary regions. Finally, we generate the final disparity map by properly combining the disparity map of each color component. Experiment results show better performance compared with the window based method and the dynamic programing method especially for stereo images with human be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