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동적개념

검색결과 611건 처리시간 0.042초

모바일 환경에서 페트리 넷을 이용한 하이퍼-프레젠테이션의 명시 표현과 일관성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 (Method for Detecting Hyper-Presentation Specification and Inconsistent using Pertri-Net in Mobile Environments)

  • 조종근;우시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64-75
    • /
    • 2008
  • 하이퍼-프레젠테이션 개념은 하이퍼-미디어 개념을 확장한 것으로, 동적으로 연출되고 있는 상황에서 링크개념을 설정하여 특정시점에서 원하는 다음 정보를 보기 위해서 비순차적으로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비순차적인 연출방법인 하이퍼-프레젠테이션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자유로운 멀티미디어 데이터들의 연출이 가능하게 되었지만, 이러한 동기화 방법에 의해서 혼합된 여러 프레젠테이션들간에는 일관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하이퍼-프레젠테이션 명시 프로그램의 일관성 검증을 위해서 petri-net을 이용한 하이퍼-프레젠테이션 명시 방법을 제시하고, 그것을 이용한 명시 프로그램의 일관성을 검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디자인 의미에 대한 문화적 영향의 기호학적 분석 - 한국과 프랑스 20대 사용자의 모바일 폰 디자인 선호를 중심으로 - (Semiotic Analysis of Cultural Influence on Design Semantics - concerning different preference in mobile phone design between Korean & French users in twenties -)

  • 윤지혜;이건표;시정곤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258-266
    • /
    • 2006
  • 시대의 흐름에 따라 문화적 차이를 극복한 전략적인 제품 디자인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문화의 성향을 파악하여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디자인이 필요하지만, 지금까지는 제품에 대한 선호도 또는 감성어휘 중심의 설문조사를 통해 각 문화의 통계적인 경향성을 파악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디자인의 선호에 차이를 발생시키는 근본적인 문화 배경적 원인을 파악하지 않으면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디자인 전략의 수립이 어렵다. 본 연구는 상이한 문화권에서 발생하는 제품디자인 선호 차이에 대한 원인을 문화적 성향의 차이에서 찾으려고 하였다. 또, 문화적 성향이 제품의 선호에 미치게 되는 원인을 문화연구 방법의 하나인 기호학을 통해 분석하고, 그 관계를 체계적인 모델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과 프랑스, 두 문화권에서 웹 기반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문화적 성향과 모바일 폰 이라는 제품에 대한 기본적 개념을 파악하고 선호하는 디자인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첫째, 문화적 성향이 모바일 폰의 개념 형성에 영향을 미쳐 한국에서는 필수품이자 자신을 표현하는 제품으로, 프랑스에서는 필수적이지 않으며 개인에게 유용한 도구로 여기며 그에 따라 한국에서는 디자인을, 프랑스에서는 기능적 요소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등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 상이한 제품개념이 디자인 선호에 차이를 유발하여 프랑스에서는 유(柔)하고 정적인 디자인을, 한국에서는 강하고 동적인 감성의 디자인을 선호함을 분석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기호학적 개념에 입각하여 체계적인 모델을 제안함으로써 상이한 문화에서의 상이한 디자인 선호에 대한 원인을 규명할 수 있었다.

  • PDF

인터넷상에서 페트리 넷을 이용한 하이퍼-프리젠테이션의 명시 표현 및 불일치성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 연구 (A Method for Describing a Hyper-Presentation Specification and Checking It's Inconsistency using Petri-Net in a Internet)

  • 우시연;조종근;임영환;임기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9B권5호
    • /
    • pp.615-624
    • /
    • 2002
  • 하이퍼-프리젠테이션 개념은 하이퍼-미디어 개념을 확장한 것으로, 동적으로 연출되고 있는 상황에서 링크개념을 설정하여 특정시점이나 지점에서 원하는 다음 정보를 보기 위해서 비순차적으로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연출이다. 이러한 비순차적인 연출방법인 하이퍼-프리젠테이션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자유로운 멀티미디어 연출이 가능하게 되었지만, 이러한 동기화 방법에 의해서 혼합된 여러 프레젠테이션들간에는 일관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하이퍼-프리젠테이션 명시 프로그램의 일관성 검증을 위해서 Petri Net을 이용한 하이퍼-프리젠테이션 명시 방법을 제시하고, 그것을 이용한 명시 프로그램의 일관성을 검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동적효과를 고려한 저류함수모형의 최적 매개변수 결정 (The optimal parameter estimation of storage function model based on the dynamic effect)

  • 김종래;김주철;정동국;김재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9권7호
    • /
    • pp.593-603
    • /
    • 2006
  • 강우로부터 유출현상은 고유적으로 비선형성이다. 더욱이 실제적으로 이와 같은 비선형성의 해석은 많은 어려움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부정류효과의 동적작용을 고려한 저류개념은 매개변수의 유역특성상 추정하기가 상당히 복잡하기 때문에 피해오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동적효과를 고려한 비선형의 저류함수에 대한 매개변수의 최적치를 얻고자 시도한다. 이를 위한 수치해법은 금강의 보청천유역의 관측치와 계산치의 오차를 최소로 하는 최소자승법에 의거 준선형화, Runge-Kutta 및 pattern-search 법들을 적용한다. 본 연구의 동적효과를 고려한 비선형 개념적모형의 적용성은 비선형성만을 고려한 저류함수모형 및 기존의 Nash 모형과 비교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2계모형이 l계모형보다 강우로부터 유출예측치를 보다 더 잘 재현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Nash 모형과는 대등함을 보여주었다. 여기서 획득된 매개변수들은 물리적 의미뿐만 아니라 본 모형의 국내 적용성도 제공한다.

다양한 진동하중의 액상화 시험을 통한 동적 과잉간극수압에 대한 상세분석 (Detailed Investigation on the Dynamic Excess Pore Water Pressure through Liquefaction Tests using Various Dynamic Loadings)

  • 최재순;장서용;김수일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81-94
    • /
    • 2007
  • 지진시 발생하는 지반 액상화 현상은 지진피해예측시 가장 중용하게 평가해야 하는 항목으로 실내에서 액상화 현상을 시뮬레이션하는 경우, 불규칙성의 지진을 제어하기 어려운 이유로 등가반복형태의 정현파 또는 쐐기파를 이용하는 것이 통상적이었다. 그러나, 90년대 이후 컴퓨터의 발달과 함께한 신호처리 및 제어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동역학분야에서의 실험연구에 큰 도움을 주었으며 지반진동분야의 경우, 진동대 및 원심모형기와 같은 대형지진모의시험에서 실지진하중을 이용한 연구사례들이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에서도 실지진하중재하가 가능한 요소시험결과에 대한 연구사례가 발표되는 등 이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실지진하중 시험결과로부터 실지진하중하에서의 과잉간극수압의 변화가 정현하중시험에서의 결과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분석결과가 발표되어 현재까지 지반동역학분야에서 지진하중의 불규칙성을 크게 고려하지 않았던 통상적 가정사항들이 문제점으로 대두되어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등가의 정현파 및 쐐기파와 증가형태의 쐐기파, 그리고 실지진파 등 다양한 진동하중을 재하할 수 있는 삼축압축시험기를 이용하여 기존의 유효응력개념에서 사용하는 과잉간극수압관련 매개변수인 소성일, 전단소성 변형률 상각궤도, 그리고 액상화 상태전환선의 기울기를 비교분석하였으며 하중변화에 따른 토립자의 변형과 간극수압의 변화를 상세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토립자의 변형, 간극수의 동적흐름, 동적흐름 속도수두의 압력수두로의 전환, 그리고 과잉간극수압의 증가로 표현되는 새로운 개념의 액상화 발생이론을 제안하였으며 그 타당성 검토를 위해 과잉간극수압과 동적흐름의 압력수두(흐름속도의 제곱값)와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였다.

동적통행배정모형의 실시간 교통상황 반영 (Rolling Horizon Implementation for Real-Time Operation of Dynamic Traffic Assignment Model)

  • SHIN, Seong Il;CHOI, Kee Choo;OH, Young Tae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35-150
    • /
    • 2002
  • 기 제안된 수리적 동적통행배정모형은 전체 시뮬레이션 기간동안 시간종속적 교통수요와 교통망의 교통상황이 이미 안정되어 있고 장래에도 예측가능 하다는 가정을 전제로 개발되었다. 이러한 가정은 실제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교통수요와 교통상황의 예측 불가능함 고려할 때 비현실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Rolling Horizon Implementation(RHI)은 기종점간의 수요행렬(trip matrix)과 교통상황(traffic condition)이 단기간의 예측시간동안 현재의 예측정보를 기반으로 신뢰성 있게 모니터링 될 수 있고, 그 시점에서 보다 미래로 연장된 시간으로는 불확실성(uncertainty)의 증가를 고려한다는 가정을 전제로 제안되었다. 따라서, RHI개념과 부합되는 수리적 동적통행배정모형은 시뮬레이션 출발시점에 수요와 교통상황에 대한 확정적 정보가 이미 획득되어 있고, 그 기간이후의 정보에 대해서는 시간이 흐름에 따른 정보의 유용성을 근거로 각 운전자 그룹이 인지 (Perceived)하는 가로망의 통행비용(travel cost)을 최소화되도록 차량을 배정하는 것으로, 실시간적으로 인지된 교통수요와 교통망에 대한 정보를 통행배정초기에 입력변수로 사용하여 실시간 교통정보모형으로서 운영가능 하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수리적 동적통행배정모형이 RHI개념과 부합되어 교통상황과 수요변화를 실시간적으로 반영하여 운영되도록 모형의 기능을 확장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다계층 이용자(multiple user classes) 동적통행배정모형을 변동등식(variational equality)이론에 근거한 모형식을 기반으로, 실시간 통행배정에서 발생하는 종점에 도착하지 못한 차량(unfinished trips)과 이들의 재배정(rerouting strategy) 문제를 인식하고, 이 차량들을 링크상의 교통량 전파조건(flow propagation constraint)을 토대로 다음 통행배정 시간대의 실시간 수요로서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객체지향 동적 모델링 기법의 정형화 (Formalization of Object-Oriented Dynamic Modeling Technique)

  • 김진수;김정아;이경환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4권4호
    • /
    • pp.1013-1024
    • /
    • 1997
  • 기존에 제안된 객체 모델링 방법론에서 정적 측면의 모델링은 시멘틱 모델 등의 풍부한 시멘틱을 제공하여 모델과 모델링의 많은 부분들을 정형화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방법론들은 동적 모델과 모델링의 정형화가 미흡하다. 또한 기존의 동적 모델은 실시간과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특성인 객체간의 상호적용 관계 및 시간적 제약성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 하기 위해서 행위를 기반으로한 정형적인 동적 모델과 모델링 절차를 제안한다. 이 모델은 대수구조 개념을 도입하여 객체의 상태 영역을 정의하고, 객체의 행위를 하나의 함수로 정의한다. 또한 이 모델은 시제논리와 정의된 행위함수를 사용하여 객체의 라이프사이클과 행성을 정형화한다. finig rule들을 사용하여 객체간의 행위적 종속성을 표현하므로써 기존의 객체 중심의 동적 모델에서 표현할 수 없는 시스템 관점의 행위도 일부 표현할 수 있다. 제안된 정형화된 모델을 기반으로 문제를 분 석할 수 있는 모델링 도구와 절차를 정형화 한다.

  • PDF

일회용 마스터 키 개념을 이용한 다중 방화벽 동적 통과 메커니즘 연구 (Study on the mechanism for the dynamic traversing of multiple firewalls using the concept of one-time master key)

  • 박형우;김상완;이종숙;장행진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03-110
    • /
    • 2010
  • 그리드/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에 외부 기관의 컴퓨팅 자원이 잠시 참여하려면 관련된 모든 방화벽 마다 필터링 규칙을 추가하여야 한다. 따라서 인터넷 응용 플랫폼이 점차 그리드/클라우드 환경으로 진화될수록 다중 방화벽을 동적으로 한 번에 통과하기 위한 연구 필요성이 증대한다. 본 논문에서는 방화벽들마다 필터링 규칙을 추가/삭제하기와 같은 기존의 네트워킹 자물쇠 관리 방식에서 일회용 네트워킹 마스터 키를 사용자가 생성하는 방식으로 전환하는 새로운 다중 방화벽 동적 통과 메커니즘을 제시한다. 여기서 마스터 키는 시스템에서 자동 생성되었던 IP 주소, 포트 번호, 시퀀스 번호 등을 일종의 일회용 패스워드 형태로 네트워킹 상대방과 사전 교환을 통한 후 서로 로컬 방화벽들을 상대방에게 열어주는 키로 활용한다. 따라서 제안된 메커니즘은 단대단 사용자 사이의 방화벽의 종류와 숫자에 관계없이 동적으로 방화벽을 통과할 수 있게 한다.

  • PDF

전방 입사조류에 대한 해저보행로봇의 동적 전복안정성 해석 (Dynamic Tumble Stability Analysis of Seabed Walking Robot in Forward Incident Currents)

  • 전봉환;심형원;유승열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9권8호
    • /
    • pp.743-749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해저보행로봇 크랩스터(CR200)의 전방 입사 조류에 대한 동적 전복안정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CR200 은 우리나라 근해 환경의 특징인 강조류 환경에서 운용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고, 몸체도 유체역학적 요소를 고려하여 제작되었다. 해저보행로봇의 동적 전복안정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육상보행로봇의 동적 전복안정성의 개념을 도입하여 수중환경에 맞도록 전복 판별식을 재정의하고 이를 이용해 전방 조류에 대한 동적 전복안정성을 시뮬레이션으로 해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조류속도가 변할 때 CR200 의 자세변화에 따른 유동해석 결과를 이용하였다. 또한 CR200 의 지지다리를 이동하여 전복축의 위치가 바뀌었을 경우에 대하여 해석을 수행하여 전복축의 이동에 따른 CR200 의 전복안정성 개선효과를 확인하였다.

동적우선권제어함수 기반 TBPJ 트래픽 제어방식의 성능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Threshold-based Bernoulli Priority Jump Traffic Control Scheme)

  • 김도규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7권11S호
    • /
    • pp.3684-3693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트래픽을 수용해야 하는 차세대 인터넷에서 핵심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고속 패킷스위치를 위한 동적우선권제어함수(Dynamic Priority Control Function)이 개념을 도입하고 TBPJ(Threshold-based Bernoulli Priority Jump) 방식에 대한 성능분석을 하였다. 동적우선권제어함수(Dynamic Priority Control Function)는 시스템의 상태에 따라 각 트래픽에 우선권을 동적으로 할당하여 패킷의 스케쥴링(scheduling)을 제어하는 함수 f(.)이다. 클래스 1의 손실민감(loss-sensitive) 트래픽과 클래스 2의 지연민감(delay-sensitive) 트래픽이 고속 패킷스위치의 모든 입력포트에 동일하게 입력되고 스위칭속도(switching capacity)가 m인 $N\timesN$용량의 고속 패킷스위치에 TBPJ 방식의 DPCF 함수를 적용하여 성능을 분석하였다. 이때 스위치는 유한한 크기의 입력 버퍼와 무한크기의 출력버퍼로 구성되어 있고 슬롯 단위로 동기방식(synchronous)으로 동작한다고 가정하였다. TBPJ 방식은 각 입력버퍼에 대기하고 있는 현재 트래픽의 양과 시스템 버퍼의 문턱값(threshold)에 따라 서비스 순위를 동적으로 할당하여 효율적인 스케쥴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성능분석을 통하여 TBPJ 제어방식이 기존의 우선권 제어 방식보다 성능 및 효율성에 있어서 우수함을 입증하였다. 즉 TBPJ 방식을 적용하여 성능을 분석한 결과 손실민감 트래픽의 QoS(Quality of Service)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패킷스위치를 스위치플랜으로 구현하는 경우 병렬로 (즉 m=2) 구성하면 충분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