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동작 평가

검색결과 1,580건 처리시간 0.033초

동작에 따른 타이트 스커트 최소 적정 트임량과 생리적인 반응 (Optimal Slit Length Limit of Tight Skirts in Movement and Physiological Response)

  • Kim, Hee-Eun;Lee, Jung-Sug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12호
    • /
    • pp.1390-1396
    • /
    • 2003
  • 본 연구는 타이트 스커트의 트임의 개수가 왼쪽 옆선에 1개 있을 때와 왼쪽 옆선, 오른쪽 옆선에 각각 1개씩 모두 2개 있을 때 평지 보행, 계단 승강, 버스 승강 등과 같은 일상동작에 잘 적응할 수 있는 타이트 스커트의 적정 트임 길이를 설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아울러 각 동작시의 트임 길이에 따른 생리적인 반응을 의복압, 산소 섭취량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평균보폭은 4m 구간을 평상시대로 걸을 때의 발자국간 평균거리를 이용하였으며 국민표준체위조사보고서(1997)에 의한 평균체형을 가진 9명의 피험자를 정하였다. 스커트의 형태는 무릎길이인 타이트 스커트로 정하였다. 스커트의 트임은 왼쪽 옆선에 1개 있는 경우와 왼쪽 옆선, 오른쪽 옆선에 각각 1개씩 있는 경우의 2종류이다. 트임이 1개인 스커트는 2cm 간격으로, 트임이 2개인 스커트는 1cm 간격으로 트임 위치를 표시하여 길이를 조정하였다. 적정 트임 길이는 Likert 척도에 의한 만족도 평가로 측정하였으며 의복압은 air-bag system으로, 산소 섭취량은 Quark $B^2$ 으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스커트의 최소 적정 트임 길이는 트임 1개일 때 평지 보행시 4cm, 계단 승강시 12cm ,버스 승강시 18cm이며, 트임 2개일 때 평지 보행시 2cm, 계단 승강시 8cm, 버스 승강시 15cm로 나타났다. 2. 의복압의 경우, 동일 트임 길이에서 트임 1개의 의복압이 트임 2개의 의복압보다 높았지만 트임 개수에 따른 전체 트임 길이로 보면 트임 1개의 의복압이 트임 2개의 의복압 보다 낮게 나타났다. 동작별로는 버스 승강의 의복압이 가장 높고 계단 승강, 평지 보행 순으로 낮아졌다. 3. 산소 섭취량의 경우, 동일 트임 길이에서 트임 1개와 트임 2개의 산소 섭취량은 거의 비슷하였다. 트임 개수에 따른 전체 트임 길이로 보면 트임 1개의 산소 섭취량이 트임 2개의 산소 섭취량보다 낮게 나타났다. 동작별로는 버스 승강의 산소 섭취량이 가장 높고 계단 승강, 평지 보행 순으로 낮아졌다.

인체정보 DB의 경제적인 조합을 통한 골프 스윙 동작 분석용 3D 캐릭터 모델링 (The 3D Character Modeling for Golf Swing Motion Analysis by Economical Verification of Body Information)

  • 곽현민;채균식;박찬종;이상태
    • 감성과학
    • /
    • 제6권2호
    • /
    • pp.59-64
    • /
    • 2003
  • 우리나라의 국민표준체위조사는 1979년 1차 조사를 시작으로 약 5∼6년 주기로 실시되고 있으며, 1997년 제4차 조사가 실시되었다. 국민표준체위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한 인체측정치는 의류, 신발, 가구 등 관련산업의 제품설계에 반영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국민표준체위조사 결과자료를 기본으로 성별, 연령별, 체형별로 사용자를 분류한 후 체형별 분류를 위한 인체측정치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인체측정치의 상관관계를 분석, 대표적인 항목 도출 등의 과정을 통하여 3D 캐릭터를 구성하였다. 구성을 위한 과정으로 골프, 테니스 등의 스포츠 동작을 효율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인체 측정치를 도출하였다. 항목이 결정되면 각 타입의 3D 캐릭터를 구성할 수 있는 치수를 제시하여 생성하였다. 스포츠의 자세 및 동작분석에 대한 이론적 접근에서 가시적인 정보제공 및 자세ㆍ동작분석 프로토콜을 개발함으로써 자세 및 동작에 대한 정량적ㆍ객관적 평가가 가능해졌다.

  • PDF

모션헤드셋의 동작분류기를 위한 사용자 머리동작 분석 (Analysis of User Head Motion for Motion Classifier of Motion Headset)

  • 신춘성;이영호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1-6
    • /
    • 2016
  • 최근 다양한 형태의 착용형 컴퓨터가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음악을 들으며 사용할 수 있는 모션헤드셋의 동작분류기 제작을 위해 머리 움직임 정보의 특징을 분석한다. 모션헤드셋 프로토타입은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음악을 수신받으며, 가속도센서가 측정한 동작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스마트폰에서는 모션 분류기를 통해 머리의 움직임을 분류한다. 실험을 위해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다. 사용자 머리의 '위', '아래', '왼쪽', 그리고 '오른쪽' 머리 움직임을 베이지안 분류기를 이용하여 분류하였다. 그 결과 '위'와 '아래'의 머리 움직임의 경우 x, z축의 가속도 센서값이 큰 변화가 있었다. 추후에 사용성 평가를 통해 동작 분류기를 제작할 수 있는 적합한 변수를 찾아 낼 계획이다.

지도를 이용한 길 찾기 훈련이 성인 뇌졸중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Way-finding Exercise using a Map on the Cognitive Function and Performance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a Stroke)

  • 정성욱;김흥열;김택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34-443
    • /
    • 2013
  • 본 연구는 지도를 이용한 길 찾기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 증진에 효과적인 방법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졸중으로 인해 편마비 진단을 받은 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병원에서 지도를 이용한 길 찾기 훈련을 일주일에 3회씩 2주간 실시하였다. 중재 전후 인지기능과 일상생활 동작수행 능력은 로웬스타인 작업치료인지평가(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LOTCA)와 기능적 독립 평가(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로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지도를 사용하여 길 찾기 훈련에 참여한 대상자에게서 인지요소의 하위 영역 중 시지각 영역과 공간지각 영역의 공간관계 항목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5). 또한, 일상생활동작의 하위 영역 중 이동하기 영역의 걷기/의자차타기 항목, 사회적인지 영역의 문제해결능력 항목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5).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 증진에 있어서 지도를 이용한 길 찾기 훈련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시뮬레이션 기반의 필수 서비스 연속성 평가 방법론 (A Methodology of Simulation-based Essential Services Continuity Test)

  • 이익섭;김형종
    • 한국시뮬레이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9-14
    • /
    • 2003
  • 최근의 일상 생활들은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지난 1.25 인터넷 대란을 통해서 볼 수 있듯이, 네트워크 침해사고로 인해 네트워크 필수 서비스가 중단되었을 때 사용자를 위해 네트워크 기반으로 제공되는 주요한 서비스에 막대한 피해가 발생한다는 것을 직접 확인하였다.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필수 서비스의 가장 중요한 특성 중 하나는 서비스의 연속성이다. 필수 서비스의 연속성이 보장되지 못하게 되면 네트웍의 정상적인 동작에 큰 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가 필수 서비스를 보장하는 능력을 평가하여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시뮬레이션 기반 필수서비스의 연속성 평가 방법론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평가 모델의 구성, 실행, 분석 등의 단계를 가지는 평가 절차를 제시한다. 또한 평가 프레임을 제시하고 프레임의 구조 및 동적 특성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서비스 연속성의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 지표를 가용성, 권한보호성, 정보비밀성, 복구가능성 등 4가지로 분류하고 각각에 대해 살펴본다.

  • PDF

신경계 작업치료사의 평가도구 사용 현황 및 향후 방향 (Current Trends and Future-Oriented View of Clinical Measurement Used by Neurological Occupational Therapist)

  • 송창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229-5237
    • /
    • 2012
  • 작업치료사의 환자중심훈련(patient-centered practice)은 치료사에게 환자와 그 가족의 관점에서 능동적으로 환자의 기능부전을 찾아야 가능하다. 본 연구는 신경계 작업치료사가 검사 및 평가를 실시하기 위하여 현재 임상에서 사용하는 평가도구의 사용빈도 및 평가도구 선택시 고려사항을 알아보고, 평가에 관한 향후 방향을 제시하기 위함이었다. 연구대상자는 신경계 질환자를 대상으로 치료하는 서울 경기지역에 근무하는 작업치료사 66명이었다. 설문지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평가관련 정보, 신경계 작업치료사가 사용하는 평가도구의 내용, 성인 평가도구 및 아동평가도구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결과분석은 설문에 응답한 66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기술적 통계량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1일 환자 수는 10인 이상 15인 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초기평가는 20분 이상 40분 미만이 가장 많았고, 환자 재평가 주기는 1개월과 기능적 차이가 보일 때가 가장 많았다. 평가도구는 신경계 관련 도구에만 국한되지 않았으며, 평가도구 선택시 고려사항은 평가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가장 높았다. 성인을 대상으로 사용한 평가도구는 '상지운동기능'은 JHFT, '인지 및 지각'은 MMSE-K, '일상생활동작'은 MBI, '작업수행'은 COPM이 가장 많았다. 또한 아동을 대상으로 한 평가도구는 '인지-지각 평가도구'는 MVPT, '일상생활동작 평가도구'는 Wee-FIM이 가장 많았다. 마지막으로 영역에 따른 평가도구 선택시 고려사항도 평가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가장 높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서울.경기지역에 근무하는 신경계 작업치료사의 영역별 평가도구의 사용빈도와 그 평가도구를 선택할 때 고려하는 사항을 알아볼 수 있었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신경계 작업치료사가 평가를 수행할 때 환자수행중심 평가뿐만 아니라 환자와 보호자의 관점을 통합하여 치료계획을 수립할 필요성이 있다고 제언하는 바이다.

유도 당기기.후리기 훈련 및 측정 장비 개발 (The Instrumental Development for Pulling.Reaping Training & Measuring in Judo)

  • 김의환;최은수;남덕현;김정섭;정재욱;김태완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13-226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유도의 기본 기술인 당기기, 후리기 훈련 및 측정이 가능한 사람-받기(파트너)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장비인 유도 인형(doll-uke, 장비-받기)을 개발하는데 있다. 기본 방향은 사람-받기와 최대한 유사한 구조와 기능을 갖도록 하고, 절차는 [기본 모형 설계-제작-평가(1)-모형(2) 평가(2)-1차 제작-보완-2차 제작-보완-평가(3)-완성(최종 제작)- 데이터 취득 장치 연결-완성]의 단계를 거쳤다. 평가는 사람-받기와 장비-받기를 상대로 하는 경우, 당기기 밧다리후리기 동작에 대한 역학적 유사성을 위해 각 변인의 상대수준차를 계산하였으며, 선수들과 지도자의 설문 평가 단계를 거쳤다. 개발된 장비-받기의 구조는 크게 유도인형(doll-uke)과 힘 측정시스템(doll-uke fore system)이다. 밧다리후리기 발휘, 시 사람을 대신한 장비-받기의 역학적 변인들에서 재현율이 관찰되었으며, 동작 패턴이 사람-받기의 유사함과 설문 평가에서도 유용성이 인정되었다. 사람-받기를 대신할 훈련 및 측정 장비인 유도 인형(doll-uke)을 이용함으로서 당기기 밀기 후리기 등의 기술 강화는 물론, 동작 시 발휘되는 힘의 정량적 데이터를 용이하게 얻어 선수들에게 피드백을 제공해줌으로써, 정성적 정량적 분석을 통한 훈련 현장의 과학화, 경기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겠다.

디지털 디바이스 내장형 스마트 전투복의 사용성평가 기술 개발 (A Development of the Usability Evaluation Technology for Smart Battlefield Jacket)

  • 박선형;이주현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국제감성 심포지엄
    • /
    • pp.51-52
    • /
    • 2007
  • 미래의 '정보전장'에서는 모든 전투 개체가 실시간 정보를 공유하면서 작전을 수행하게 되며, 병사 또한 하나의 체계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각종 디지털 디바이스가 내장된 스마트 전투복을 입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선진국들은 여러 해 전부터 스마트 전투복을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이에 동참하고 있다. 그러나, 각종 병사 구성품과 디지털 디바이스를 의복 내에 포함시켜 설계함에 있어서 병사의 동작과 체형에 적합한 설계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프로토타입을 착용한 후 그 사용성을 평가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미래병사의 전투력 향상을 위해 각종 디지털 디바이스를 내장한 스마트 전투복의 사용성을 평가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스마트의류의 사용성평가 척도를 이용하여 디지털 디바이스 내장형 전투복 프로토타입의 사용하여 사용성평가의 척도를 새롭게 개발하고 스마트 전투복의 사용성 평가 척도와 기술을 개발하였다.

  • PDF

무용 숙련성에 따른 동작결과예측 능력의 차이: 삐루엣 앙 디올 동작을 중심으로 (Differences in Ability to Predict the Success of Motor Action According to Dance Expertise - Focusing on Pirouette En Dehors)

  • 한시완;류제광;이우종;양종현
    • 인지과학
    • /
    • 제29권2호
    • /
    • pp.121-135
    • /
    • 2018
  • 무용수의 움직임은 시각적 처리 과정을 통해 관찰자에게 지각되며, 관찰자는 지각된 시각정보를 바탕으로 무용수의 동작에 대한 평가와 감상을 수행한다. 관찰자의 운동수행능력이 정확한 평가와 감상에 필요한 것인지에 관해 많은 논의가 있으나, 일관된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타인의 동작결과를 예측하는 능력이 관찰자의 운동 숙련성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총 27명으로 무용 숙련도에 따라 세 집단(숙련자, 중간숙련자, 초보자)으로 각 9명씩 참여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컴퓨터 모니터를 통해 제시되는 무용 동영상을 본 후 동작의 성공 여부에 대해 판단하였다. 영상의 길이를 달리 편집하여 동작의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의 양을 체계적으로 조작하였으며, 시간차단 기법을 사용하여 영상 길이 조건별 연구참여자의 반응 정확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판단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시각적 정보가 충분하지 않은 조건에서 숙련자들은 중간숙련자와 초보자에 비해 더 높은 정답 반응을 나타냈으며 초보자는 숙련자와 중간숙련자에 비해 더 높은 오답 반응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비슷한 수준의 지각 숙련성을 보유하고 있더라도 동작 숙련성에 따라 무용동작에 대한 결과예측 능력이 차이를 보이며, 높은 운동 숙련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 동작결과에 대한 예측 능력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높은 지각 숙련성은 주어진 정보가 불충분한 상황에서 성급한 반응을 유보하여 오답률을 낮추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동작 숙련성과 지각 숙련성은 관찰된 동작의 결과예측 정확성에 각각 다른 방식으로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슬랙스 동작 적합성 평가의 정량적 평가 기준 설정 (Establishing Quantitative Evaluation Standards for the Mobility test of Slacks)

  • 김선영;남윤자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80-90
    • /
    • 2016
  • This study presents quantitative evaluation standards for they mobility test, conducted in the process of a slacks fit test. This study quantified the subjects' evaluation on the wearability of slacks to provide objective qualitative evaluation methods for existing mobility tests. The subjects were women of standard bodytype between the ages of 18 and 24 wearing slacks designed to test their mobility based on differences in ease in waist girth, hip girth, crotch length and knee length. A qualitative evaluation tested the wearability of slacks. Clothing pressure and gap area between the body and slacks were measured based on a quantitative evaluation. The clothing pressure and the gap area between the body and slacks (which reflect the results of the wearability test) were presented in this study as quantitative evaluation standards. Clothing pressure tended to increase as the ease of slacks decreased; however, clothing pressure standards, that induce discomfort, differed by body parts. The hip, crotch, and knee area were relatively less sensitive despite the waist and the abdominal area sensitivity to clothing pressure. This study suggests the minimum ease for the appropriate wearing comfort of slacks by region and motion as standards for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mobility tests. These was reset in accordance to the limits of clothing pressure when the minimum ease was considered as wearable but exceeded the clothing pressure limi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