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작연구

Search Result 6,251, Processing Time 0.05 seconds

Study on the Motion Acting in a Game Character Animation (게임캐릭터애니메이션 동작연기연구)

  • Hwang Kil-Nam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6 no.9
    • /
    • pp.116-123
    • /
    • 2006
  •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game character to encompass more complicated motions, an upgrade from simple actions, to demonstrate different emotional state. The character takes a medium role in describing various situations by applying the motion of pantomimist and making a connection to the 3D character action. Motion acting is an upgraded version of the basic motion to show various emotional phases such as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Moreover, it delivers clear messages through emotional acting in opposition to symbolic language and provides various perspectives of motion acting.

  • PDF

The Kinematical Analysis of Bowling Throw Motion (볼링의 투구동작에 대한 운동학적 분석)

  • Baik, Sung-Kook
    • Korean Journal of Applied Biomechanics
    • /
    • v.12 no.2
    • /
    • pp.331-344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between success and failure in bowling throw motions. For the data analysis, it was utilized by the method of three dimensional motion analysis and obtained kinematical parameters of stride, COG position and ball position through the address and release mo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ree female bowling players, and obtained conclusions were as follows; Displacements of stride were not significance of success events, 4th and 5th phase stride were longer than failure. COG variation for height were less than failure, but there not significance between success and failure. The ball position of 3 th phase was lowest than other phases, and throw motions were stable by the small variations for upward downward.

Motion Recognition of Worker Based on Frame Difference (프레임간 차를 기반으로 한 작업자의 동작인식)

  • 김형균;정기봉;오무송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5 no.7
    • /
    • pp.1280-1286
    • /
    • 2001
  • In this Study, we try to suggest a system that recognize worker's regular motion more effectively First, based on frame difference that separates still background from movable object to video that make a film of worker's motion. The next, with edge detection, estimating the center of motion could recognize continuous motion. By action cognition system that design in this research films worker's action using fixed CCTV to supplement problem of action awareness system that is applied in existent industry spot, various mountings to get action information minimized. Also, shorten session that need in awareness enforcing action awareness through image subtraction and edge detection between frame to reduce time necessary to draw worker's body part special quality, expense designed inexpensive action cognition system as being efficient.

  • PDF

Generation of Running Motion on Complex Terrain (복합 지형에서의 달리기 동작 생성에 대한 연구)

  • Song, Mi-Young;Cho, Hyung-J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153-156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동작 포착 데이터에서 최적의 동작을 얻기 위한 비용과 시간을 줄이고, 캐릭터의 체형 크기에 무관하게 복합 지형에서 적응적인 이동 동작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즉 캐릭터의 신장이나 걷는 속도, 걸음폭 등의 매개변수들을 사용하여 평지면, 경사면, 계단면 그리고 굴곡면 등 다양한 지형에서의 달리기 동작을 생성하며 역운동학(Inverse Kinematics) 개념을 적용하여 관절들의 위치나 각도를 산출하고 관절의 이동 궤적을 계산하기 위해 큐빅 스플라인 곡선을 활용한다.

  • PDF

Motion Generation and Control of a Character Dancing with Music (음악 속도에 따른 캐릭터의 춤동작 생성 및 제어)

  • Kim, Gun-Woo;Wang, Yan;Seo, Hye-Wo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616-623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음악 신호로부터 추출한 비트 정보를 사용하여 가상 캐릭터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논한다. 특히 주기를 가지는 반복적인 동작, 그 중에서도 춤동작에 대한 음악 신호와의 동기화 방법을 제안한다. 서버로 구현된 음악 비트 인식기는 입력 음악 신호에 대한 분석 정보를 규칙적으로 출력한다. 동작 클라이언트는 동작 캡쳐를 통해 얻은 동작 데이터를 여러 개의 기본 동작들로 나누고, 사용자가 선택한 새로운 순서대로 기본 동작들을 연결하여 부드럽게 재생한다. 또한 서버에 접속하여 전송 받은 음악의 템포에 맞게 동작데이터를 와핑(warping)하고 음악의 주요 비트 시각에 맞추어 기본 동작들의 재생시작 시간을 동기화한다. 음원에 의한, 즉 박자, 강약, 비트와 같은 기본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분위기, 박자 변화와 같은 고급 정보에도 동적으로 반응하여 춤을 추는 가상 캐릭터를 개발하는 것이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이다.

  • PDF

A Study on the Motion Expression of Machine inside using 3D Animation (3D 애니메이션 기법을 이용한 기계 내부의 동작 표현에 관한 연구)

  • Kim, Jea-Hyun;Joo, Jae-Heu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08a
    • /
    • pp.179-18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3D 애니메이션 기법을 이용하여 기계 내부의 동작을 표현하였고, 도입된 기법의 장단점을 비교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 표현한 애니메이션의 기획은 다양한 기계의 동작의 핵심원리에 목표를 두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실제에 가까운 애니메이션을 제작하기 위하여 기계 동작애니메이션을 Key 애니메이션 방법과, 링크를 사용한 IK 방법뿐만 아니라 Bone 애니메이션 방법에 대하여 장단점을 파악하고, 각각의 기계 내부 동작 표현에 대한 방법을 분류하였다. 본 연구가 콘텐츠화 된 시뮬레이션을 만드는데 하나의 프로세스로서 상당부분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f affective circumplex model on gesture property (동작 속성에 따른 정서 차원 분석)

  • Yoo, Sang;Han, Kwang-He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1379-1386
    • /
    • 2006
  • 전자우편이나 문자 메세지를 이용할 때 겪는 불편함 중 하나는 상대방이나 기계에 정서 정보를 전달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정서 정보를 메시지에 싣기 위해서는 컴퓨터나 디지털 기기가 정서를 인식하거나 사용자가 정서를 입력해야 한다. 기존의 정서 인식 방법은 생리적, 신체적 측정치를 이용하는 것인데, 이 경우 측정을 위한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고 현재 자신의 정서 상태와 다른 정서를 표현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소형 모바일 기기를 이용할 때 다른 측정 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더욱 어렵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서를 기계에 입력하기 위해 동작을 이용하려는 연구가 진행되었다(Fargerberg, Stahl, & Hook, 2003). 본 연구에서는 Laban Movement Analysis에서 동작을 구성하는 다섯 요소 중 노력(effort)과 모양(shape) 요소를 재구성하여, 방향성 차원, 무게감 차원, 시간감 차원으로 동작을 구분하고 총 20개의 동작을 선정하였다. 또한 한덕웅과 강혜자(2000)가 수집한 834개 정서 어휘를 평정하여 동작을 통해 표현하고 전달되기 쉬운 정서 어휘 50개를 선택하였다. 최종 실험에서 참가자들은 20개의 동작에 대해 50개의 정서 어휘를 평정하고 데이터는 범주형 주성분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Russell(1980)의 이차원 정서 구조 모형에서 각성 수준 차원은 동작의 무게감과 시간감 차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하고 빠른 동작일수록 각성 수준이 높은 정서가 나타났다. 또한 동작의 방향성 차원은 정서의 종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직선 움직임은 높은 각성 수준의 부정적 정서와, 흔듦 움직임은 불안 및 초조와, 원형 움직임은 즐거운 정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작을 통하여 정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동작과 정서를 연관 짓기 위해 방향성 차원과 무게감 차원 그리고 시간감 차원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PDF

Human Primitive Motion Recognition Based on the Hidden Markov Models (은닉 마르코프 모델 기반 동작 인식 방법)

  • Kim, Jong-Ho;Yun, Yo-Seop;Kim, Tae-Young;Lim, Cheol-Su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2 no.4
    • /
    • pp.521-529
    • /
    • 2009
  • In this paper, we present a vision-based human primitive motion recognition method. It models the reference motion patterns, recognizes a user's motion, and measures the similarity between the reference action and the user's one. In order to recognize a motion, we provide a pattern modeling method based on the Hidden Markov Models. In addition, we provide a similarity measurement method between the reference motion and the user's one using the editing distance algorithm.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recognition rate of ours is above 93%. Our method can be used in the motion recognizable games, the motion recognizable postures, and the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s.

  • PDF

Gesture Spotting using Fuzzy Garbage Model and User Adaptation (퍼지 가비지 모델과 사용자 적응을 이용한 의미 있는 동작 검출)

  • Yang, Seung-Eun;Park, Kwang-Hyun;Jang, Hyo-Young;Do, Jun-Hyeong;Huh, Sung-Hoi;Bien, Zeung-Nam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681-687
    • /
    • 2007
  • 첨단 기술의 발전과 함께 장애인 및 노약자의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가 각종 시스템들을 보다 쉽게 제어할 수 있는 방법들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그 중 하나로 정의된 손 움직임 동작을 인식하여 가전기기 혹은 환경 제어 시스템, 홈 로봇 등에 명령을 내리는 기술을 예로 들 수 있다. 하지만, 정의된 손 움직임이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동작과 비슷한 경우 오작동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으며, 이를 차단하기 위해 복잡한 동작을 명령어로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편의성을 떨어뜨린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슷한 동작 중에서 특정 동작을 검출할 수 있는 퍼지 가비지 모델을 제안한다. 퍼지 가비지 모델이란 인식하고자 하는 특정 동작을 제외한 다른 유사 동작의 특성을 반영하여 구현한 퍼지 모델을 말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동작으로부터 특징 값을 구한 후 이를 특정 동작에 대한 퍼지 모델과 퍼지 가비지 모델에 각각 대입하여 얻은 결과를 비교해서 어떤 동작이 발생하였는지 결정한다. 또한 사용자의 행동 특성은 개인마다 다르게 나타나고 동일 사용자라 하더라도 경우에 따라 동작에 편차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사용자에 대한 시스템의 적응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다양한 경우를 고려하여 최적화된 값을 찾을 수 있는 진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퍼지 모델 파라미터를 갱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5명의 사용자로부터 명령 동작과 의미 없는 유사 동작의 데이터를 획득하여 실험 결과를 보인다.

  • PDF

Dynamic Gesture Recognition using SVM and its Application to an Interactive Storybook (SVM을 이용한 동적 동작인식: 체감형 동화에 적용)

  • Lee, Kyoung-Mi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4
    • /
    • pp.64-72
    • /
    • 2013
  • This paper proposes a dynamic gesture recognition algorithm using SVM(Support Vector Machine) which is suitable for multi-dimension classification. First of all, the proposed algorithm locates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gestures on the video frames at the Kinect camera, spots meaningful gesture frames, and normalizes the number of frames. Then, for gesture recognition, the algorithm extracts gesture features using body parts' positions and relations among the parts based on the human model from the normalized frames. C-SVM for each dynamic gesture is trained using training data which consists of positive data and negative data. The final gesture is chosen with the largest value of C-SVM values. The proposed gesture recognition algorithm can be applied to the interactive storybook as gesture interf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