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의어 처리

Search Result 48,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Learning English Vocabulary Using Synonyms And Antonyms System Design (동의어와 반의어를 활용한 영어 어휘 학습 시스템 설계)

  • Jun-Hyeok Ok;Hong-Jun Jang;Byoungwook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21-22
    • /
    • 2023
  • 영어 공인 시험에서 영어 어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그러나 기존 영어 어휘 학습 시스템은 단순히 어휘 교재의 콘텐츠를 디지털화한 것에 그치고 있다. 영어 어휘 학습에서 동의어에 대한 학습은 언어 능력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이 영어 어휘 학습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동의어 및 반의어를 활용할 수 있는 학습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은 동의어와 반의어에 대한 정보가 필요한 영어 어휘를 입력으로 받아 생성형 AI에서 동의어 및 반의어에 대한 정보를 생성한 후에 반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시스템은 학습자들이 어휘 평가에서 오답으로 답한 어휘에 대해 동의어 및 반의어에 대한 추가적인 어휘와 예문을 제공하여 영어 어휘 학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A Synonym Dictionary Construction for Information Retrieval (정보 검색을 위한 동의어/유의어 사전 구축)

  • Lee, Tae-Woo;Seo, Young-Ho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3.10d
    • /
    • pp.208-213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많은 정보로부터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 검색 시스템에서 이용이 가능한 동의어/유의어 사전을 구축하고 구축된 정보의 평가를 수행하였다. 사용한 자원으로는 미리 구축된 한-영 사전과 영-한사전을 이용하였다. 이들의 사용으로 다른 동의어사전과 달리 보다 많은 유의어 정보를 포함하는 이익을 얻었다. 본 논문의 시스템은 사전을 구축하기 위해 기본 자원을 이용하여 동의어/유의어 후보 목록들을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바탕으로 후보 목록의 빈도수와 사전의 위치 정보, 마지막으로 입력 명사 정보를 이용하여 동의어/유의어를 확정한다. 작성된 동의어/유의어사전은 한-영사전에 수록된 한국어 명사 64,630개를 대상으로 하였다. 작성된 사전을 문서 필터링 시스템에 추가하여 적용 전보다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질의 색인어 확장에 이용하여 보다 정답을 추출하는데 추가적으로 확장된 유의어 정보가 정답을 추출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됨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File Search Engine Based on DBMS (DBMS을 활용한 파일 검색엔진 연구)

  • Kim, HyoungSeuk;Yu, Heon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10a
    • /
    • pp.548-551
    • /
    • 2016
  • 기존 그리드 기반의 전통적인 RDBMS는 비구조적 데이터에 대한 색인이 지원되지 않았다. 이러한 제약 조건들로 인해 파일 문서 및 비 구조화된 데이터의 검색 엔진으로는 부적합하였다. 최근에 다양한 검색 오픈소스(Solr, Lucene)등으로 검색 엔진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지만, 검색한 결과와 기존 데이터의 연동이 쉽지 않고 구조 변경이 어려우며,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 사항 수용이 쉽지 않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빠른 검색을 위한 색인 (index) 최적화와 대용량 데이터 처리를 위한 파티션 기반 데이터의 분할 및 정복 (divide and conquer) 처리, 이중화된 검색어 색인 기능을 구현하였다. 또한 동의어 사전을 구축하여 연관 관계 분석이 가능하도록 DB를 구축하여 검색어와 동의어의 상호 관계성을 유지하였으며 오픈 소스보다 발전한 형태의 검색 엔진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약 400만건 이상의 다양한 포맷 (Ms-office, Hwp, Pdf, Text)등의 파일 문서를 샘플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TagPlus:A Retrieval Method using Synonym Tag in Folksonomy (TagPlus:Folksonomy에서 동의어 태그를 이용한 검색 기법)

  • Lee, Sun-Sook;Yong, Hwan-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389-392
    • /
    • 2006
  • Web 2.0은 사용자가 온라인에서 정보를 구축하고 공유하게 하는 World Wide Web 상의 2세대 서비스이다. Web 2.0 페이지에서는 사용자가 키워드인 태그를 이용하여 웹페이지나 인터넷상의 오브젝트를 분류하게 되는데 이를 Folksonomy 라 한다. Folksonomy 는 정보를 공동 작업으로 모으고 공유하는 사용자들에 의한 분류기법으로 Taxonomy 와는 다르며 장단점을 지니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Folksonomy 의 단점중의 하나인 동의어 처리를 위하여 Wordnet 을 접목시킨 검색 기법을 제안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hort-Essay Marking System by Using Semantic Kernel and WordNet (의미 커널과 워드넷을 이용한 주관식 문제 채점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Cho, Woo-Jin;Chu, Seung-Woo;O, Jeong-Seok;Kim, Han-Saem;Kim, Yu-Seop;Lee, Ja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1027-1030
    • /
    • 2005
  • 기존 의미커널을 적용한 주관식 채점 시스템은 여러 답안과 말뭉치에서 추출한 색인어들과의 상관관계를 벡터방식으로 표현하여 자연어 처리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려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시스템의 답안 및 색인어의 표현 한계로 인한 유사도 계산오차 가능성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시소러스를 이용한 임의 추출 방식의 답안 확장을 적용하였다. 서술형 주관식 평가에서는 문장의 문맥보다는 사용된 어휘에 채점가중치가 높다는 점을 착안, 출제자와 수험자 모두의 답안을 동의어, 유의어 그룹으로 확장하여 채점 성능을 향상시키려 하였다. 우선 두 답안을 형태소 분석기를 이용해 색인어를 추출한 후 워드넷을 이용하여 동의어, 유의어 그룹으로 확장한다. 이들을 말뭉치 색인을 이용하여 단어들 간 상관관계를 측정하기 위한 벡터로 구성하고 의미 커널을 적용하여 정답 유사도를 계산하였다. 출제자의 채점결과와 각 모델의 채점 점수의 상관계수 계산 결과 ELSA 모델이 가장 높은 유사도를 나타내었다..

  • PDF

An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for IT Terminologies Using a Main Memory DBMS (메인 메모리 DBMS를 이용한 정보기술 전문용어 검색 시스템)

  • 강옥선;경원현;조완섭
    • Proceedings of the Korea Database Society Conference
    • /
    • 2001.06a
    • /
    • pp.311-322
    • /
    • 2001
  • 대부분의 일반 정보 검색 시스템은 색인어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런 경우 사용자는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색인어를 정확하게 입력해야 한다. 그러나 일반 사용자가 필요한 색인어를 정확하게 입력하기는 어렵고 특히 원하는 정보가 전문분야의 것일 때는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특정 분야의 용어들을 중심으로 전문용어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정보기술 분야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전문분야의 하나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단어가 영어이고 한글 표기 또한 다양하여 많은 사용자들이 원하는 정보를 정확하게 찾지 못하고 있다. 이렇듯 단어간의 형태적인 불일치로 인해 생기는 정보 검색의 문제를 해결하고 검색어의 범위를 확장하기 위해 만든 것이 전문용어 검색 시스템이다. 정보 검색시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뿐만 아니라 동의어나 상위어, 하위어까지 검색하여 질의를 확장함으로써 검색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객체-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설계하여 검색이 용이하고, 새로운 단어의 확장이 용이하도록 그 구조를 설계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은 메인 메모리 DBMS 를 이용하여 전자상거래와 같이 많은 사용자들이 동시에 접근하는 환경에서도 빠른 검색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Natural Language Toolkit _ Korean (NLTKo 1.0: 한국어 언어처리 도구)

  • Hong, Seong-Tae;Cha, Jeong-W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554-557
    • /
    • 2021
  • NLTKo는 한국어 분석 도구들을 NLTK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만든 도구이다. NLTKo는 전처리 도구, 토크나이저, 형태소 분석기, 세종 의미사전, 분류 및 기계번역 성능 평가 도구를 추가로 제공한다. 이들은 기존의 NLTK 함수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또한 세종 의미사전을 제공하여 한국어 동의어/반의어, 상/하위어 등을 제공한다. NLTKo는 한국어 자연어처리를 위한 교육에 도움이 될 것으로 믿는다.

  • PDF

Development of Automatic Sign Language Translation System using Korean WordNet (한국어 어휘의미망을 이용한 자동 수화 번역 시스템의 개발)

  • Kim, Minho;Choi, Sung-Ki;Kwon, Hyuk-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1358-1361
    • /
    • 2013
  • 한국어와 한국 수화 간 자동 번역을 위해서는 한국어-한국 수화 대역어 사전이 필요하지만, 현재 한국 수화 사전으로 가장 공신력 있는 한국 수화 사전은 등재 어휘 수가 약 12,000개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한국어를 한국 수화로 자동 번역을 할 때 대치어가 없어 완벽하게 번역이 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수화 사전의 미등재어로 말미암은 번역률 저하를 최소화하고자 한국어 어휘의미망의 동의어와 상 하위어 정보를 이용한다. 또한, 자동 번역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어의 중의성 문제도 한국어 어휘의미망의 정보를 이용하여 어의 중의성 해소 규칙을 일반화한다.

A Knowledge-Based Query Processing System for an Information Agent (정보에이전트를 위한 지식 기반(동물) 질의 처리 시스템)

  • 오정옥;변영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c
    • /
    • pp.102-104
    • /
    • 1998
  • 본 시스템은 현재 연구 개발중인 정보에이전트 시스템의 일부로서 특정분야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 주제에 관련된 정보와 함께 적절한 문서를 제공하는 지식 기반 시스템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본 시스템의 지식베이스는 구조적인 방식으로 표현된 BKB(Biology Knowledge Base)와 DIC(DICtionary)로 구성된다. DIC는 특정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사용하는 용어와 학명을 기준으로 하는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용어와의 관계와 그러한 용어들간의 동의어 관계를 갖고 있다. 또한 BKB는 동물에 관련된 지식베이스로써 상위.하위 개념과 함께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객체의 속성과 이에 관계된 값들을 포함한다. 본 시스템은 문서를 검색할 때 사용자 초기 질의를 상위.하위 개념 그리고 동의어로 확장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의도의 정확한 표현을 위해서 제공하는 다양한 질의 형식에 따른 질의 처리 결과로도 확장하므로 효과적인 문서 검색 결과를 보인다.

  • PDF

A Study on the Extend Guideline for the Equivalence Relationship in Thesaurus (대등관계 설정의 확장 지침에 관한 연구)

  • 남영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1 no.2
    • /
    • pp.1-21
    • /
    • 2004
  • For the guarantee of retrieval ratio, thesaurus's maintenance for descriptors are necessary. To maintain the optimum scale of thesaurus, new terms and existing terms should be structured to the equivalence relationship. Therefore, equivalence relationships are needed to new standard. This study proposes new standard of the equivalence relationships, which is more specified for better guarantee of retrieval ratios. The relationships have seven facets. These six facets will be used as new knowledge-base, which could be reestablished between the descrip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