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영상 검색

Search Result 37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Video retrieval system based on closed caption (폐쇄자막을 기반한 자막기반 동영상 검색 시스템)

  • 김효진;황인정;이은주;이응혁;민홍기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2000.12a
    • /
    • pp.57-60
    • /
    • 2000
  • Even if the video data is utilized for a lot of field, its very difficult to reuse and search easily because of its atypical(unfixed form) and complicated structure. In this study, we presented the video retrieval system which is based on the synchronized closed caption and video, SMIL and SAMI languages which are described to structured and systematic form like multimedia data These have next structure; At first, a key word is inputted by user, then time stamp would be sampling from the string which has a key word in the caption file. To the result, the screen shows an appropriate video frame.

  • PDF

Storage scheme of video metadata using usefulness value (유용성 수치를 이용한 동영상 메타데이터 저장)

  • Lee, Young-seok;Youn, Sung-d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152-154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하고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동영상 저장 방법을 제안한다.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단어와 검색어의 일치성을 중요시하는 기존의 저장 및 검색과 달리, 동영상 자료의 메타데이터에서 구간을 나타내는 태그에 그 구간이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되는 정도에 따라 유용성 수치를 부여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검색시에 유용성 수치를 이용하여 원하는 구간에 접근 할 수 있고 사용자의 목적에 일치하는 정도에 따라 범위 검색이 가능하고 히스토리 테이블을 추가, 다차원 큐브 생성을 가능케 하여 동영상 자료의 폭넓은 활용과 효율적인 검색이 가능하다.

Video Content Searching System Using Touchless Motion Sensing Device (비접촉 동작 인식 기기를 활용한 동영상 콘텐츠 검색 시스템)

  • Lee, Seungjae;Jung, Da-Un;Lee, Keundong;Je, Sungkwan;Oh, Weon 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4.06a
    • /
    • pp.109-111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비접촉 동작 인식 기기를 활용한 동영상 콘텐츠 검색 시스템을 소개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스마트 TV와 같은 인터넷이 가능한 디스플레이의 동영상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며, 콘텐츠 자체 또는 콘텐츠 내의 객체에 대한 정보를 검색 결과로 제공한다. 시스템 구현에 앞서 영상 콘텐츠의 검색 요구 사항에 따라 시나리오 및 기능을 수립하고, 각각의 기능은 비접촉 동작 인식 기기인 립모션을 기반으로 손 동작을 지정하였다. 따라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사용자의 손가락 동작에 의해 선택된 영역을 모바일 비주얼 검색 서버에 전송하게 되고, 검색 결과는 모바일 기기를 통해 최종적으로 전달된다.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을 실제로 구현하고 다양한 콘텐츠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을 통해서 사용자는 손을 이용한 간단한 동작에 의해 콘텐츠 정보, 콘텐츠 내 객체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바일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 PDF

Car Frame Extraction using Background Frame in Video (동영상에서 배경프레임을 이용한 차량 프레임 검출)

  • Nam, Seok-Woo;Oh, Hea-Seok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0B no.6
    • /
    • pp.705-710
    • /
    • 2003
  • Recent years, as a rapid development of multimedia technology, video database system to retrieve video data efficiently seems to core technology in the oriented society. This thesis describes an efficient automatic frame detection and location method for content based retrieval of video. Frame extraction part is consist of incoming / outgoing car frame extraction and car number frame extraction stage. We gain star/end time of car video also car number frames. Frames are selected at fixed time interval from video and key frames are selected by color scale histogram and edge operation method. Car frame recognized can be searched by content based retrieval method.

Content Based Video Retrieval by Example Considering Context (문맥을 고려한 예제 기반 동영상 검색 알고리즘)

  • 박주현;낭종호;김경수;하명환;정병희
    • Journal of KIISE:Computer Systems and Theory
    • /
    • v.30 no.12
    • /
    • pp.756-771
    • /
    • 2003
  • Digital Video Library System which manages a large amount of multimedia information requires efficient and effective retrieval methods. In this paper, we propose and implement a new video search and retrieval algorithm that compares the query video shot with the video shots in the archives in terms of foreground object, background image, audio, and its context. The foreground object is the region of the video image that has been changed in the successive frames of the shot, the background image is the remaining region of the video image, and the contex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w-level features of the adjacent shots. Comparing these features is a result of reflecting the process of filming a moving picture, and it helps the user to submit a query focused on the desired features of the target video clips easily by adjusting their weights in the comparing process. Although the proposed search and retrieval algorithm could not totally reflect the high level semantics of the submitted query video, it tries to reflect the users' requirements as much as possible by considering the context of video clips and by adjusting its weight in the comparing process.

Video data Structuring for VideoGIS (VideoGIS를 위한 동영상 자료구조화)

  • Kim, Seong-Sam;Kim, Won-Man;Yoo, Hwan-Hee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09a
    • /
    • pp.135-138
    • /
    • 2003
  • 최근 국내외에서 3D GIS 및 VideoGIS분야의 연구가 시작되고 있다. 동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VideoGIS는 기존의 2D 및 2.5D GIS보다 더 현실감있고 생동감있는 정보의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동영상의 경우, 그 양이 방대할 뿐 아니라, 본질적으로 순차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어 자료 사용(브라우징 및 검색)에 있어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반복적인 검색기능을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동영상 자료의 접근성 개선 및 VideoGIS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동영상 자료구조화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Optimization Algorithm of Skip Factor using the Statistics of Scene Change (장면 전환 특성을 이용한 동영상 검색 감격의 최적화 알고리듬)

  • 하명환;나윤정;이상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1998.06a
    • /
    • pp.147-155
    • /
    • 1998
  • 장면 전환 검출 알고리듬은 매 프레임마다 프레임간의 밝기차나 히스트그램 차이를 계산하므로 계산량이 많으며, 검출 속도 또한 느리게 된다. 검색 속도의 향상을 위해 시간적 표본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적절한 검색 간격을 선택하는 어떠한 기준이나 방법도 제시되지 않았으며, 따라서 검색 간격을 경험에 의해 선택할 수밖에 없었다. 이 논문에서는 동영상의 통계적, 특성, 장면 전환 검색 간격과 장면 전환 검출 시간의 관계를 수식으로 유도하고 실험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최적의 표본화 간격을 유도된 식으로부터 구하고, 동영상의 평균 장면 전환 간격과 관계함을 보였다. 평균 장면 전환 간격이 알려져 있지 않은 동영상에 대해서 최적 검색 간격을 추정할 수 있는 알고리듬을 제안하였다.

  • PDF

Design & Implementation of Video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Remote Education (원격 교육 기반의 동영상 정보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Ahn, Byeong-Tae;Sim, Myeong-Sun;Kim, Min-Sun;Ryu, Si-Kook;Kang, Hyun-Syug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0 no.1
    • /
    • pp.97-105
    • /
    • 2009
  • For effective remote education using multimedia, it is necessary to develop efficient management techniques of video information. This requires real-time processing of video information which should be managed and retrieved in a compressed forms. The main technology of compressing video is currently MPEG-2. This implies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manage and retrieve video compressed in MPEG-2, and then to process the video in real-time for the remote education environment using multimedia. This paper is to develop the management system of video information which is one of the most critical requirements in remote education systems for managing and retrieving MPEG-2 video.

  • PDF

A Study on Cut Detection of Video Retrieval Using the Color Threshold (칼라임계값을 이용한 동영상의 컷 검출에 관한 연구)

  • 이명주;김형균;정기봉;오무성;김태성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153-156
    • /
    • 2000
  • 동영상 정보는 영상정보뿐만 아니라 음성정보, 문자정보 및 각종 의미있는 정보들을 포함하고 있어서 기존의 검색방법으로는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찾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영상 정보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색인방법으로 칼라 임계값을 이용한 컷 검출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것은 frame 간의 유사도를 측정해서 이 값이 주어진 임계값보다 작을 경우, 장면의 전환이 일어나는 곳을 컷 지점으로 검출하는 것인데, 동영상의 장면에 따른 유사도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컷을 구성하는 프레임들간의 칼라 임계값에 변동을 주어 최적의 컷 검출율을 구하고자 했다. 초기의 칼라 임계값은 '80'을 사용했고, 이후 frame 의 유사도가 임계값보다 클 경우, 즉 장면전환이 일어나지 않았을 경우일정한 상수 값을 초기 임계값에서 감산토록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추출된 frame을 가지고 원하는 이미지를 검색하게 되면 사용자의 노력 및 검색 시간이 단축되고, 동영상 정보의 관리가 용이해진다.

  • PDF

Fast Video Detection Using Temporal Similarity Extraction of Successive Spatial Features (연속하는 공간적 특징의 시간적 유사성 검출을 이용한 고속 동영상 검색)

  • Cho, A-Young;Yang, Won-Keun;Cho, Ju-Hee;Lim, Ye-Eun;Jeong, Dong-Seok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5 no.11C
    • /
    • pp.929-939
    • /
    • 2010
  • The growth of multimedia technology forces the development of video detection for large database management and illegal copy detection. To meet this demand, this paper proposes a fast video detection method to apply to a large database. The fast video detection algorithm uses spatial features using the gray value distribution from frames and temporal features using the temporal similarity map. We form the video signature using the extracted spatial feature and temporal feature, and carry out a stepwise matching method. The performance was evaluated by accuracy, extraction and matching time, and signature size using the original videos and their modified versions such as brightness change, lossy compression, text/logo overlay. We show empirical parameter selection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for the simple matching method using only spatial feature and compare the results with existing algorithms.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proposed method has good performance in accuracy, processing time, and signature size. Therefore, the proposed fast detection algorithm is suitable for video detection with the large datab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