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양의학이론

Search Result 26,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cupuncture in Practical Veterinary Medicine

  • 김갑수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v.33 no.1
    • /
    • pp.38-43
    • /
    • 1997
  • 동서양을 막론하고 최근들어 수의침술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금까지의 입장을 고수하려는 서양의 학자(school medicine)들 중에서 종양의학에 관심을 갖는 것 뿐만아니라, 환축을 갖고 있는 사람들로부터 부작용이 심한 약물치료로 부터 벗어나 좀더 자연적인 방법으로 환축을 최소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는 치료법을 찾으려는 노력의 댓가인 것이다. 본 내용에서는 침술의 근본이론인 동양철학의 의미를 다시 한번 상기시키고 1991-1994년 사이에 Berlin소재 본인 근무하던 대학병원과 개인병원에서 직접 치료했던 말과 소동물(애완견)을 증례별로 정리하였다. 도표(Table 1-5)에서 알 수 있듯이 아직도 그 작용기전이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실제임상에서 침술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약물의 투입만을 고수하려는 우리의 수의임상과는 대조적으로 이러한 상황으로부터 탈피하려는 서양의 움직임이 오히려 최근에 들어서는 수의침술을 배우기 위하여 유럽이나 구미지역으로 유학을 떠나야 하는 실정으로 전도되어 버렸다. 본 내용에서는 자세하게 다루지는 못하였지마는 모든 환자들을 음양오행으로 분석을 하여 질환의 원인을 구명하고 진단, 치료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임상학적으로나 전통적인 서양의학적으로는 같은 질병이라도 동양의학적으로는 환축의 성격이나 감정표현방식의 차이에 따라서 전혀 다른 진단과 치료방법을 선택하여야 하는 경우가 종종 나타난다. 이러한 동양의학의 질서를 이해할 수 없는 서양의학자들에게 침술을 단지 하나의 효과만으로 파고드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러한 상황을 보다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길은 우리 스스로 동양철학을 보다 더 많이 이해하고 침술이론의 허실을 분석하여 체계적이며 이론적인 수의침술발전의 기여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수의침술의 생리적인 기전을 현대의학적인 관점에서 해석하고 증명하는 노력이 좀더 많이 기울어져야 할 것이다.

  • PDF

한국의 과학기술 어디까지 왔나 - 양한방 협진기술

  • O, Su-Yeong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2 no.9 s.364
    • /
    • pp.32-34
    • /
    • 1999
  • 경희대에서는 동양의학과 서양의학을 조화ㆍ융합한 새로운 '제3의학'을 개발하려는 목적으로 71년 동서의학연구소를 설립, 두학문 연구진의 협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또 96년부터는 대학원에 동서의학 협동과정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작년부터는 동서협진센터를 개설하여 1환자 2의사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동양의학의 오래 축적된 경험과 이론을 통하여 서양의학과의 긴밀한 협조로 새로운 '제3의학'의 창출이 시급하다.

  • PDF

A Study of Oriental Medicinal Convergence Approach for Natural Seasoning (Several Sesame Seeds) (천연조미료(깨류)의 동양의학적 융합접근방법 고찰)

  • Min, Young-Sil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9 no.8
    • /
    • pp.164-169
    • /
    • 2019
  • This study was examined that natural seasoning is related to health care and disease prevention through oriental medicinal theory. A typical oriental medicinal theory is the princeple of win-win cooperation between Yin-Yang and Five elements, the old belief is that our body moves in harmony with Yin-Yang and Five elements. From the records traditional books and papers, we would look at the affinity and nutritional relationship between Five taste(Sweet, Salt, Sour, Bitter, Heat and Spicy) and the body with "Sesame" Therefore, several type of Sesame which is represented by natural seasoning, through intake of Five taste because of body affinity, is expected to prolong health life span.

Study of the Human Constitution by the Physical Interpretation of the Properties of Yin-Yang and Five Elements (음양오행속성의 물리적 해석에 의한 체질론)

  • 장동순;배연경;최혜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8.04a
    • /
    • pp.89-94
    • /
    • 1998
  • 본 논문은 동양의 중요사상중의 하나인 음양오행의 오행속성을 물리적으로 해석하여 사람의 오장육부의 크기와 얼굴형상에 따른 체질을 분류하였다. 이 분류에 대한 이론적 보완으로 동양최고의 의학서적으로 알려진 황제내경에 나타난 체질분류, 훈민정음에 창제 원리로 사용된 음양오행이론, 그리고 오행생식요법에서 제시한 얼굴형상등과 본 이론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그리스 철학자 엠페도클레스의 체질론이 감성연구에 대한 효시로 거론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동양의 전일적인 사고스시템인 음양오행에 의해 체질론에 대한 이론적 근거가 확립된다면 감성연구에 일조하는 바가 크리라 생각된다.

  • PDF

A STUDY OF PRINCIPLES OF ORIENTAL MEDICINE CONCERNING THE DISEASE OF DIGESTIVE SYSTEM (-소화계질환(消化系疾患)에 관(關)한 한의학원리(韓醫學原理)의 고찰(考察)-)

  • Lee, Jong Hyong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 /
    • v.1 no.1
    • /
    • pp.7-19
    • /
    • 1976
  • 소화계질환(消化系疾患)이라고 하면 그 범위(範圍)가 매우 넓으나 대체로 크게 두가지로 구분(區分)할 수 있다. 하나는 소화기계통장기(消火器系統臟器)의 기질적(器質的) 질환(疾患)이고 다른 하나는 음식물(飮食物)의 섭취(攝取) 소화(消火) 흡수(吸收) 및 영양화(營養化)에 관계(關係)되는 기능적(機能的)인 질환(疾患)이다. 한의학상(韓醫學上) 소화계질환(消化系疾患)은 다분(多分)히 후자(後者) 즉(卽) 기능적(機能的) 질환(疾患)쪽을 많이 연구(硏究)한 경향(傾向)이 있으며 이것을 [비위내상(脾胃內傷)]위장병(胃腸病)이라고 부르고 있다. 한의학상(韓醫學上) 음식물(飮食物)과 질병(疾病)에 관(關)한 관찰(觀察)은 일찍이 상고시대(上古時代)로부터 매우 고조(高潮)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내경(內經)(B. C200)에 의(依)하면 인간(人間)이 그 수명(壽命)을 다함에 있어 무엇보다도 음식(飮食)의 절제(節制)를 잘해야 한다는 설명(說明)이 있고, 천금방(千金方)(AD682)에는 신체(身體)를 강건(强健)케 하는 기본(基本)은 음식(飮食)에 있으며 의자(醫者)가 질병(疾病)을 치료(治療)함에 있어 마땅히 먼저 식치(食治)(식이요법(食餌療法))를 하되 식치(食治)로 낫지 않거던 용약(用藥)하라고 하였고, 삼인방(三因方)(AD1174)는 질병(疾病)의 삼대원인(三大原因) 중(中) 음식(飮食)으로 일어나는 원인(原因)을 가장 중요(重要)한 것으로 보았고 1250년대(年代) 이동원(李東垣)은 [비위론(脾胃論)]을 저술(著述)하여 소화계(消化系)에 관(關)한 이론(理論)을 특별(特別)히 천명(闡明)하였다. 이와 같이 한의학(韓醫學)은 음식(飮食)과 양생(養生), 영양(榮養)과 질병(疾病), 그리고 소화기능(消火機能)에 관(關)하여 고대(古代)로부터 중요시(重要視)해온 것이다. 그러나 그 이론(理論)들이 다분(多分)히 현상적관찰(現象的觀察)과 경험적추리(經驗的推理)로서 설명(說明)되었기 때문에 현대의학(現代醫學)(서양의학(西洋醫學))과 같은 조직해부학(組織解剖學) 및 생화학적(生化學的)인 이론(理論)과는 상위(相違)한 점(點)이 많다. 더욱이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이라는 다분(多分)히 형이상적(形而上的)인 학(學) 사유(思惟)로서 관찰추리(觀察推理)되였기 때문에 현대의학(現代醫學)과의 비교설명(比較說明)이 거의 불가능(不可能)하며 또한 한의학이론(韓醫學理論)의 과학적근거제시(科學的根據提示)도 현재(現在)로서는 어려운 형편(形便)이다. 그러나 이 의학(醫學)은 이미 2,000여년간(餘年間) 동양(東洋)에서 전래(傳來)한 경험의학(經驗醫學)으로서 동양인(東洋人)들은 이 의학(醫學)으로 소화계질환(消化系疾患)을 포함(包含)한 여러 가지 인간(人間)의 질병(疾病)을 치료(治療)해 왔고 현재(現在)도 이 의학(醫學)으로 치료(治療)를 하고 있고 실제적(實際的)으로 많은 치효(治效)를 보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의학(醫學)속에는 아직도 현대과학(現代科學)으로서 해명(解明)되지 못하는 어떤 요소(要素)들이 깃들여 있는 것이 확실(確實)하며 이것을 밝혀내기 위해서 우리 의학자(醫學者)들은 이 의학(醫學)에 관(關)한 모든 것을 연구(硏究)해 보아야 한다. 이런 뜻에서 본고찰(本考察)은 한방(漢方)의 역대제문헌(歷代諸文獻)을 섭렵(涉獵)하여 소화계질환(消化系疾患)에 관(關)한 제이론(諸理論)들을 발췌(拔萃), 한방(漢方)에서 보는 (1) 소화기관(消化器官)의 생리(生理) (2) 병리(病理), 증후(證候) (3) 치법원리(治法原理)을 조사고찰(調査考察)해 본 것이다.

  • PDF

Anti-aging Healthcare through The System of Life Activity Process in Oriental Medicine (동양의학에서 생명활동과정의 시스템을 통한 항노화 헬스케어)

  • Kim, Meong-Ju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12
    • /
    • pp.513-521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anti-aging health care plan through a literature analysis of the life activity system of Oriental Medicine. The source of normal maintenace, development, and change of the natural world and the human body's life activity process is the dynamical cooperative equilibrium of the internal Shen-Ji's discipline that creates, grows, changes, makes differences and stores(生长化收藏) and external Qi-Li's process of change from birth to growth, maturity to old age and ending of life(生長壯老已). Therefore, it was analyzed that the natural and human life activity processes are normally maintained, developed, and transformed. As a result, when the natural healing power of Genuine-Qi, the source of the human vitality, rises with the 'breathing massage' that combines a static breathing method which is anti-aging health care method applying the lifting entering movement of Qi and a dynamic abdominal massage, and it harmonizes the Shen-Ji which is the life process system and Qi-Li so that it is believed to be helpful in prolonging a healthy lifespan.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the Backfill Loads Obtained by the Marston-Spangler에s Theory and by the Finite Element Analysis for the Metal-Polyethylene Composite Pipes (금속-폴리에틸렌 복합관에 대해서 Marston-Spagler이론과 유한요소해석에 의해 구해진 뒤채움하중의 비교에 관한 연구)

  • 정진호
    • Geotechnical Engineering
    • /
    • v.14 no.5
    • /
    • pp.89-110
    • /
    • 1998
  • Variations of backfill load on the metal-polyethylene composite( MPC ) pipes buried in various trenches backfill afterward were investigated in this paper. The backfill loads obtained by the finite element method( FBM ) were compared with those calculated by the well-known MarstonBpangler(M-5) theory. The reliability of the finite element analysis used in this study was examined by an inaitu best for the buried pipe. The backfill lords and deflections on the real-size pipe buried on-site were measured while increasing the backfill height. In addition, further investigations were made for the variations of the backfill loads as a function of several important parameters such as the backfill soil type, bach. height$(\leq4.0m)$, diameter of the pipe$(B.$1.0m)$, and trench width($\leq 3.0 B_c$). It is confirmed that the M-S theory predicts reasonably well the backfill loafs of the MPC of the M-S backfill coils be 0.13 and 0.15 for the SC and SM coils in the D unman soil model, respectively. The load ratio, Wu-s/WwgM for a narrow trench varies negligibly with the back(111 height but fiends to increase for a wide trench. The ratio increases with increasing diameter of the pipe for a narrow trench while decreasing for a wide trench. It is also found that the ratio generally decreases as the degree of compaction increases and BM soil exhibits larger load ratio than that of SC soil.

  • PDF

Scientific Palpation Theory for the Manufacture of the Palpation Diagnosis Tool and Health Life (진맥기 제작과 생활의학 활용을 위한 과학적 진맥이론)

  • 장동순;신미수;백영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118-126
    • /
    • 2000
  • 동양의학에서 인체의 주된 생리 정보는 체질과 맥진에서 얻어질 수 있다 체질은 선천적인 오장 육부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체질에 대한 판단은 얼굴형상, 맥진, 사주 등의 방법에 의한다. 반면에 진맥은 현재의 오장육부의 건강 상태를 나타낸다. 오장육부의 생체정보는 인체경락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얻어질 수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진맥에의한 방법만을 토론한다. 체질과 진맥 정보는 치병에 있어서 처방의 기간과 강도를 결정 할 수 있는 결정적인 변수이다. 이 두가지 정보 중에서 하나라도 결핍될 경우 병에 대한 효율적인 대응이 어려워진다. 그 이유는 처방의 강약 조절이 어렵고 그 결과 다른 부작용 유발가능성이 크다. 본 논문에서는 진맥이론의 일반적 전개를 위하여 음양오행 성질의 과학적인 정의를 기초로 하였다. 구체적인 맥상의 판단에는 (1) 음의 맥과 양의 맥의 절대적 크기와 상대적 비(즉 음양의 강도와 비), (2) 오행의 성질에 기초한 맥의 형상, 그리고 (3) 맥의 느낌이나 성질등 3가지 정보를 종합한 방법으로 맥상을 파악한다. 이러한 맥진기술 이론은 분류방법이 간단할 뿐만아니라 이론이 일반적이다. 그래서 한의학의 전문가는 물론이고 일반인 모두 쉽게 익혀 덜인의 건강상태를 스스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진맥기 제작의 기년 이론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오행이론에 기초 할 경우 맥상은 5가지 대표적인 맥으로 분류된다. 맥의 이름은 황제내경에 제시된 한의학적인 이름과 함께 맥상을 쉽게 유추 할 수 있는 실생활적인 이름을 병용하였다. 예를 들어 위장이 약할 때 나타나는 홍맥을 진빵같이 부드러운 맥으로, 폐가 나쁠 때 나오는 흩어지는 모맥을 도우너츠형 연기맥으로, 신장이 나쁠 때 나오는 단단한 석맥을 고구마형상의 돌덩어리맥으로, 간이 나쁠 때 나오는 긴장된 현맥을 팽팽한 고무줄맥으로 그리고 심장이 나쁠 때 나오는 작고 연한 구맥을 튀어오르는 물방울맥으로 명명하였다. 이외에 진맥에 의하여 인체의 한열이나 지삭 부침등의 정보가 가능하며, 이러한 정보는 고혈압이나 중풍 확률, 비만 가능성 지수, 골다공증 선행지수 그리고 심장기능 파악(불전맥이나 대맥) 등 다양한 인체 정보를 파악하는 데 응용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

  • PDF

Analysis of Personal Character and Health by Birth date and Constitution (사주와 체질에 의한 성격파악과 건강)

  • 장동순;신미수;김혜숙;최혜선;하도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118-126
    • /
    • 2002
  • 동양의학의 오행체질이론과 사주이론을 결합하여 사람의 감성이나 성격 파악과 섭생이론을 살펴보았다. 체질과 사주를 결합하여야 하는 이유는 체질은 오장육부에서 나오는 오행기운에 대한 정보를 주는 데 반하여 사주나 운기는 형이상학적인 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양쪽 정보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없다면 사람의 성격이나 감성 그리고 치병의 강도나 기간을 결정하는 데 매우 취약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사람의 성격을 판단함에 있어서 얼굴 형상에 의한 물질적인 체질은 일반적인 성격규정에 도움을 주며 사주는 보다 구체적인 성격을 결정하는 자료로 활용된다. 그 외에 건강 등에 따라 결정되는 사람의 성격을 거론할 수 있다.

  • PDF

A Sasang Theory of Leadership (사상이론(四象理論)의 리더십 연구(硏究)에 적용(適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 Kim, Mam-in
    •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 /
    • v.12 no.1
    • /
    • pp.63-83
    • /
    • 2000
  • The common concerns of leadership approaches were focused on finding leadership factors or necessity of leadership change to proper leadership styles adapt to contingent change through observing various leaders' behaviors for improv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asically, they assumed that the human could be adapt to any conditions regardless of his inherent characters though it is perceived generally that human beings have different attitudes and behaviors toward the same fact, condition, situation, etc. In other words, inherent factors that cause individual differences have been neglected but concerned only about postnatal environments which influence human characters in previous leadership studies. A number of studies concerning inherent human characters have been worked in Asia for the past thousands years, which enable answering to the questions; why the human beings have different characters and personalities, and how to manage them in the given life conditions. In this research, four type human theory(called Sasang Theory) which has already been widely used in medical field in Korea will be introduced and applied to leadership theory to indicate inherent causal factors of the human character that are expected to influence leadership styles. In process, two different methods, one is for leadership theory and the other is for Sasang theory, have to be considered to match the different ideas. The theory is so predictable that the result implies possibilities of further future researches in the organizational fields by presupposing human behavio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