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아시아지역

Search Result 744,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WRF-Hydro in East Asia (동아시아 WRF-Hydro 구축 및 평가)

  • Lee, Jaehyeong;Kim, Yeo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25-425
    • /
    • 2022
  • 동아시아 지역은 몬순 영향으로 계절적인 수자원 변동성이 매우 크고 홍수 및 가뭄과 같은 수재해 피해가 빈번히 발생하고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아시아의 수자원 관리에 활용하기 위해 수문 모형 중 하나인 WRF-Hydro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 and Model Hydrological modeling extension package) 모형을 구축하였다. WRF-Hydro 모형은 미국 NCAR (National Center for Atmospheric Research)에서 개발된 커뮤니티형 고해상도 예측모델로 미국 등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으나, 동아시아 지역에 적용된 연구는 없다. 따라서 모형의 동아시아 적용 가능성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WRF-Hydro 모형을 0.25°의 공간해상도로 동아시아 대상으로 구축하였고, 기상 및 지면 특성과 유역자료를 활용한 머신러닝 방법으로 파라미터 보정을 시행하여 2006년부터 2015년까지 구동하였다. 머신러닝을 통해 지역특성이 고려된 WRF-Hydro 모형은 표면유출, 보수깊이, 표면 거칠기, 표면 기울기와 같은 매개변수를 보정하였다. 모형 평가를 위해 GRDC (Global Runoff Database Center (GRDC), GLDAS (Global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 ESA-CCI (European Space Agency Climate Change Initiative), MODIS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에서 제공하는 관측 유출량, 토양수분, 증발산량을 비교, 분석하여 동아시아 적용 적절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 PDF

The Problem of East Asia Notation and Location in the World Geography Textbook (세계지리 교과서에서 동아시아의 지명 표기와 위치의 문제)

  • Kang, Chang-So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6 no.2
    • /
    • pp.182-200
    • /
    • 2010
  •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problem of East Asia notation and location in the world geography textbook. Major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follows. First, Eastern Asia is used to denote the area where the Korea, China and Japan are located in world geography textbook, while Eastern Asia area covers Korea, China, Japan, Taiwan, and Mongolia on the map. Second, East Asia is appeared in textbook from the 2th national curriculum, as a cultural region shares same cultural tradition. It is recommended that East Asia might be the suitable place name to designate Northeast Asia and Southeast Asia, Northeast Asia can be use for the area where Korea, China, Japan, Taiwan and Mongolia are located.

  • PDF

A Historical-Geographical Identification of East Asia as a Cultural Region (동아시아 문화지역의 역사-지리적 설정)

  • Ryu, Je-Hu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2 no.5
    • /
    • pp.728-744
    • /
    • 2007
  • In East Asia, regional identity can be expected to obtain popular consent more successfully when it is firmly based on historical-geographical reality. This study is an attempt to apply a broadened concept of place to the identification of East Asia as a cultural region. Cultural mixture within places at various scales, rather than cultural integration across those places, would give greater coherence to East Asia as a cultural region. This cultural mixture varies from one place to another, depending on the relative position in power relations. It could appear in the form of either domination or resistance, and even entanglement. The concept of a "mountain as a contested place" is proposed as an experimental effort to search for the basis for cultural identity within East Asia. This concept of place should be extended to the individual studies of such spatial units as houses, gardens, villages and cities. These individual studies, if accumulated, would result in improved theories of East Asia as a region that has a distinct cultural identity in historical-geographical terms.

Projection of future hydrometeorological change scenarios over Republic of Korea using a dynamical downscaling technique (역학적 상세화 기법을 활용한 우리나라 미래 수문기상변화 시나리오 전망)

  • Shin, Jin-Ho;Lee, Hyo-Shin;Kwon, Won-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258-262
    • /
    • 2010
  • 지역기후모델 RegCM3 이용하여 역학적 상세화 이중둥지격자체계를 구축하고 관측, ECHO-G/S의 20C3M 및 SRES A2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동아시아(60km 분해능)와 한반도(20km 분해능)에 대한 현재 및 미래 (1971-2100, 130년)의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를 생산하여 구축하였다. 현재 1971-2000년 기간 동안 상세화된 기온은 관측에 대해 저온 편의와 여름 강수는 건조 편의가 나타나는 계통오차가 있으나, 상세화된 자료는 한반도의 지형적 특성이 잘 반영되었고 관측의 월별, 계절별 변동성을 유사하게 모의하는 등 재분석 자료를 성공적으로 상세화한 것으로 판단된다. 미래 100년(2001-2100년)에 대해 전반기(2021-2050) 및 후반기(2070-2099)의 시나리오기후변동을 분석한 결과, 상세화된 지역별, 계절별, 연도별 기온 상승의 시 공간적 분포를 잘 보여주며, 기온상승(전반기: 동아시아지역~$1.8^{\circ}C$, 남한~$1.6^{\circ}C$, 후반기: 동아시아지역~$4.7^{\circ}C$, 남한~$4.6^{\circ}C$)에 의한 대기 중 수증기 함유량 증가와 여름 몬순의 강화로 전계절에 대해 강수량(전반기: 동아시아~10.5%, 남한~6.7%, 후반기: 동아시아~20.1%, 남한~31.9%)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수문기상 변화를 살펴보면, 미래 후반기에 남한은 $4.6^{\circ}C$가 상승하여 적설깊이는 5.3mm(-92.3%)가 감소할 것이고, 강수량의 연변동성을 크나 전체적으로 증가할 것이며, 토양수분, 증발산 또한 강수량 증가와 연관되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이렇게 ECHO-G/S SRES A2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하여 역학적으로 상세화된 시나리오는 통계적으로 상세화된 시나리오 결과와 비교 검증함으로써 다중모델기법에 의해 불확실성을 제시함으로써 수문기상변화 예측을 위한 신뢰성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omparison and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East Asian Monsoon Using Representative GCMs (대표 GCM을 이용한 동아시아 몬순 특성 비교 및 분석)

  • Lee, Eun-Jeong;Cho, Jaepil;Park, Jihoon;Jung, Img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03-203
    • /
    • 2018
  • 기후변화로 인한 몬순 강수량 변동은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몬순 지역의 농업, 수자원, 에너지, 경제 및 사회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미래의 몬순 강수량 변화를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결합 모델 상호 비교 프로젝트의 5 단계(CMIP5)에서는 복사 강제력이 2100년 이후에 약 2.6, 4.5, 6.0 및 $8.5Wm^{-2}$의 증가로 안정화된다고 가정하는 4가지의 다양한 시나리오(RCP 2.6, 4.5, 6.0, 8.5)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의 강수량에 큰 영향을 미치는 동아시아 여름 몬순의 기후 변화에 대해 더욱 집중하고자 한다. CMIP5 모형 자료에 대하여 대표 GCM 모형 선정을 하기 위해, 수문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기후모델 성능 평가 matrix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평가 matrix는 동아시아 및 한반도 지역을 대상으로 CMIP5 모형의 강수 및 최고?최저기온에 대한 평균 기후장(spatial climatology)과 연변동성(interannual variability)의 모사력을 각 모형별, 계절별 비교뿐만 아니라 극한기후 모사력도 함께 고려하여, 대표 GCM을 선정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른 동아시아 지역의 몬순 특성을 더욱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대표 GCM으로 선정된 모형들의 2가지 시나리오(RCP4.5와 RCP.5)에 대해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여름 몬순 강수 변동 및 특성을 분석 및 비교하였다.

  • PDF

Data Assimilation of Leaf Area Index for Drought Assessment In East Asia (잎면적 지수 자료동화 기반 동아시아 가뭄 평가)

  • Seo, Hocheol;Kim, Yeo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1-31
    • /
    • 2019
  • 잎의 생태 계절학적 변화는 지상의 탄소/질소 순환에 큰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토양 수분, 증발산과 같은 물 순환에 중요한 인자로 작용한다. 이를 모의하기 위하여 많은 지면-생태 생태모형들이 개발되어져 왔지만, 자연현상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모델 결과값과 실제 관측 값에 차이가 발생된다. 이러한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제 모형과 관측되어진 자료를 실시간으로 융합하는 자료동화 기법이 개발되어져 모델들의 오차를 줄여주거나, 실제 모델의 파라미터들을 보정하는데 사용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상기후모형인 Community Land Model(CLM)을 기반으로 하여 2003년부터 2010년까지 동아시아지역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지면-대기-해양 모델로부터 발생되어진 40개의 앙상블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도출된 잎면적 지수와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MODIS) 잎면적 지수를 실시간으로 융합하는 앙상블 칼만 필터기법을 이용하여 잎면적지수 자료동화가 생태 생태 수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특히 잎면적 지수 자료동화가 동아시아 지역의 가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1~3 m 의 토양수분의 변화를 이용하여 가뭄을 정의하였다. 이러한 토양수분 가뭄을 시 공간적으로 나타내어 동아시아지역의 가뭄의 기간, 심도 와 같은 가뭄을 특성을 이해하여 보고자 하였으며, 잎면적 지수 자료동화가 가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 PDF

Analysis of Status and Growth of Repositories in East Asia (동아시아 지역의 리포지터리 현황과 성장 분석)

  • Jung, Young-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3.08a
    • /
    • pp.75-82
    • /
    • 2013
  • 리포지터리는 학술정보 유통의 새로운 패러다임이자 연구자간의 연구성과물에 대한 개방과 공유를 지원하는 중요한 기반 기술이다. 북미나 유럽지역을 중심으로 구축되기 시작한 리포지터리는 2005년 이후 동아시아 지역에도 점차 확산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향후에 더욱 확산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중국, 일본을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의 국가별 리포지터리 확산과 질적 성장을 5년간에 걸쳐 연대기적으로 분석해보고 성장의 배경이 되는 국가별 리포지터리 정책의 개요를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문화적 유사성과 지역적으로 근접한 국가들의 현황을 살펴보는 것은 우리나라의 보다나은 리포지터리 확산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Economic Growth Convergence in the East Asian Countries (동아시아 국가의 경제성장 수렴에 대한 실증분석)

  • Song, Jeongseok;Kim, Hyunsuk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14 no.3
    • /
    • pp.477-498
    • /
    • 2010
  • This paper studies economic growth convergence conditioning on various characteristics of East Asian countries. Our findings suggest that when trade openness is conditioned in addition to human capital and investment, the economic growth rates for East Asian countries converge faster than when human capital and investment alone are considered. In particular, while Northeast Asian countries exhibit absolute economic growth convergence as well as economic growth convergence conditioned on trade openness, Southeast Asian countries show only economic growth convergence conditioned on trade openness. Analysis of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rst East Asian countries' high dependence on foreign trade, trade openness in the convergence of economic growth ha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Second, in order to establish a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in East Asia, Northeast Asia and Southeast Asia, the country's economic growth is necessary to reduce the g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