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동시통화 검출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초

상관도를 이용한 음향 반향 제거기의 동시통화 검출기에 대한 연구 (A Study on Double Talk Detector of Acoustic Echo Canceller Using A Correlation Function)

  • 이영호;김대경;박장식;손경식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129-132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음향 반향 제거기의 새로운 동시 통화 검출기를 제안하여 근단화자신호에 의한 적응 필터의 계수 오조정을 줄이고자 하였다. 제안한 동시 통화 검출기는 마이크 입력 신호의전력과 추정 오차 신호와 마이크 입력 신호간의 상호 상관의 비를 이용하여 동시 통화를 검출하는 방법이다. 제안한 동시 통화 검출기는 주변 잡음이 없는 상황에서는 다른 동시 통화 검출기와 비교하여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그리고 전체적인 음향 반향 제거기의 향상을 가져왔다.

  • PDF

협대역 동시통화 검출기를 이용한 음향반향 제거 시스템 (Acoustic Echo Cancellation System using Narrow-Band Double Talk Detector)

  • 백수진;박규식;김기만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1권 1호
    • /
    • pp.213-216
    • /
    • 2002
  • 본 논문은 원거리 회의 시스템이나 차량 내 핸즈프리 통화 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음향 반향을 제거하기 위해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음향반향 제거 시스템은 Delayless 서브밴드 음향반향 제거기와 협대역 동시통화 검출기로 구성된다. Delayless Subband 적응 음향 반향 제거기는 적은 계산 량과 높은 수렴속도로 음향 반향 제거 성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논문은 이를 이용해 안정적인 음향 반향 제거를 위해서 협대역 Subband 내에서 동시통화 검출기를 구현한다. 기존의 광대역 동시 통화 검출기에 비해 본 논문에서 제안된 협대역 동시통화 검출기는 저주파 Subband 대역에서만 동시통화 검출을 수행하여 down-sampling으로 인한 계산 량 감소와 저주파 특성을 가지는 Subband 대역의 신호 특성으로 인한 신뢰성 있는 통화 상태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전체적인 음향반향제어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음향반향 제어 시스템의 성능은 다양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입증하도록 한다.

  • PDF

서브밴드 동시통화 검출기를 이용한 웨이브릿변환기반 적응 음향반향제거기 (The Wavelet Transform Based Subband Adaptive Acoustic Echo Canceller Using a Double Talk Detector)

  • 안주원;권기룡;문광석;김강언;김문수
    • 융합신호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호처리시스템학회 2000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논문집
    • /
    • pp.161-164
    • /
    • 2000
  • 본 논문에서 제안한 동시통화 검출기는 기존의 전대역에서 이루어지던 상호상관계수를 이용한 동시통화 검출기의 검출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웨이브릿변환된 각각의 서브밴드 내에서 동시통화 및 반향경로를 구별하여 효율적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서브밴드 동시통화 검출기 사용으로 동시통화 시에 발생하는 적응필터의 계수 발산을 막음으로써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고, 근단화자 신호가 원단화자에게 더 유쾌하게 들릴 수 있게 함으로써 원활한 통화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 PDF

음향반향제거기의 동시통화처리 알고리듬 (A Double-Talk Processing Algorithm of Acoustic Echo Canceller)

  • 이행우;은명의;김종교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0-16
    • /
    • 1998
  • 본 논문은 음향반향제거기에서 동시통화구간을 검출하고 처리하는 알고리듬에 대하 여 논하고 있다. 새로운 동시통화처리 알고리듬은 송신신호와 잔류신호간의 상호상관계수를 이용하여 동시통화 여부 및 구간을 검출하고 이 구간에서는 반향제거기의 계수적응을 중지 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알고리듬을 사용함으로서 동시통화구간의 검출에 소요되는 계산량 이 대폭 감소할 뿐만 아니라 비정상상태의 원인이 동시통화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반향경로 응답의 변화에 의한 것인지를 구별할 수가 있다. 음향반향제거기에 제안한 알고리듬을 적용 하여 모의실험을 수행하므로서 본 알고리듬의 성능을 분석하였고 기존의 알고리듬을 적용한 경우와 비교,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 본 알고리듬을 적용한 음향반향제거기는 동시통화구간 을 완벽하게 검출하므로서 동시통화 후에도 계수가 발산하지않고 안정적으로 정상상태를 유 지함을 확인하였다.

  • PDF

음향반향제거기에서 보조필터를 이용한 동시통화 검출 성능 개선 (Applying an Auxiliary Filter in the Adaptive Echo Canceller for Performance Improvement of Double-Talk Detection)

  • 김시호;권홍석;배건성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1권 1호
    • /
    • pp.249-252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음향반향제거기에서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동시통화 구간을 검출하는 방법에서 검출 오류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에 대해서 다룬다.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한 DT 검출 방법에서 동시통화 구간과 반향경로의 변화를 명확하게 구분 짓는 문턱값 설정이 어렵기 때문에 때때로 검출 오류가 발생한다. 즉, 동시통화 중간에 반향경로가 변함으로써 동시통화 구간의 끝점 검출에 실패하거나 반항경로 변화를 DT로 잘못 인식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럴 경우 더 이상 적응필터의 계수를 갱신을 할 수 없는 상태에 빠지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반향제거기에 보조필터를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이는 보조필터가 기준입력신호(reference signal)를 이용하여 변화된 반향신호 성분은 추정할 수 있지만 근단화자 신호는 추정할 수 없다는 점을 이용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알고리즘이 검출 오류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음향반향제거기를 위한 새로운 동시통화검출 알고리즘 (A new double-talk detecting algorithm for acustic echo canceller)

  • 이행우;신유식;김종교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1998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논문집
    • /
    • pp.631-634
    • /
    • 1998
  • 본 논문은 음향반향제거기에서 동시통화구간을 검출하고 처리하는 알고리듬에 대하여 논하고 있다. 새로운 동시통화처리 알고리듬은 송신신호와 잔류신호간의 상호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동시통화 여부 및 구간을 검출하고 이 구간에서는 반향제거기의 계수적응을 중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알고리듬을 사용함으로서 동시통화구간의 검출에 소요되는 계산량이 대폭 감소할 뿐만 아니라 비정상상태의 원인이 동시통화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반항경로응답의 변화에 의한 것인지를 구별할 수가 있다. 모의실험을 수행하여 본 알고리듬과 기존의 것과의 성능을 비교,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 몬 알고리듬을 적용하므로서 동시통화 후에도 계수가 발산하지한ㅎ고 안정적으로 정상상태를 유지함을 확인하였다.

  • PDF

정규화된 오차신호 전력을 이용한 동시통화 검출기의 성능 개선 (Performance Improvement of Double-talk Detector Using Normalized Error Signal Power)

  • 허원철;배건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5C호
    • /
    • pp.478-486
    • /
    • 2007
  • 음향 반향제거기에서의 동시통화 검출 오류는 근단화자의 음성신호를 왜곡시키거나 반향제거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동시통화 구간의 검출은 음향 반향제거기의 성능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기존의 상호상관계수를 이용한 동시통화 검출 알고리듬은 적응필터의 초기 수렴구간과 배경잡음이 많은 환경에서는 근단화자의 음성신호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상호상관계수 값이 증가하여 동시통화 검출 오류가 자주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상호상관계수를 이용한 동시통화 검출 알고리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호상관계수와 더불어 단일통화 구간에서의 적응필터의 정규화된 오차신호 전력을 이용하여 동시통화를 검출하는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제안한 동시통화 검출 알고리듬은 잡음환경에 강인할 뿐만 아니라 음향 반향제거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음향반항 제거 시스템을 위한 강인한 동시통화 검출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obust Double Talk Detector for Acoustic Echo Cancellation System)

  • 백수진;박규식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21-128
    • /
    • 2003
  • 원거리 회의 시스템이나 차량 내 핸즈프리 통화에서 이용되는 음향 반향제거 시스템은 근단화자의 통화 상태에 대한 정보제공을 위해 동시통화검출기 (DTD: Double Talk Detector)를 포함한다. 이러한 동시 통화검출기는 주변 음향환경에 민감하게 작용하여 근단화자의 통화상태에 대해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기도 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보다 신뢰성 있는 음향 반향제어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새로운 동시통화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음향 반향 제거 시스템은 지연없는 (Delayless) 서브밴드 적응 필터를 이용한 음향반향 제거기와 협대역 동시통화 검출기로 구성된다. 지연없는 서브밴드 적응음향 반향 알고리즘은 적은 계산량과 높은 수렴속도를 가지며 기존의 서브밴드(Subband) 적응음향 반향 제거기에서 문제가 되었던 지연 문제를 해결하는 등 음향 반향 제거 성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본 논문에서 제안된 협대역 동시통화 검출기는 협대역 서브밴드 내에서 동시통화 검출 동작을 수행함으로서 다운 샘플링 (down-sampling)으로 인한 계산량 감소와 최저 주파수 서브밴드 대역의 저주파 신호 특성으로 인해 보다 신뢰성 있는 통화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협대역 동시통화 검출 알고리즘의 성능은 광대역 동시통화 검출 알고리즘과 다양한 비교 시뮬레이션을 통해 그 성능을 입증하도록 한다.

음향반향제거기에서 동시통화 검출 성능 개선을 위한 보조필터 적용 (Applying an Auxiliary Filter in the Adaptive Echo Canceller for Performance Improvement of Double-Talk Detection)

  • 김시호;배건성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2권1호
    • /
    • pp.65-70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음향반향제거기에서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동시통화 구간을 검출할 때 발생하는 검출 오류에 대하여 다룬다.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한 동시통화 검출 알고리즘에서 동시통가와 반향경로의 변화를 명확하게 구분 지울 수 있는 문턱값 설정이 어렵기 때문에 때때로 검출 오류가 발생한다. 반향경로의 변화를 동시통화로 잘못 판단하면 적응필터의 탭 갱신이 멈추어져 더 이상 수렴할 수 없는 상황에 빠지기도 하고, 동시통화 중에 반향경로가 변하는 경우에는 동시통화 구간의 끝점 검출에 실패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께서는 반향제거기에 보조필터를 적용하여 동시통화와 반향경로의 변화를 구분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는 기준입력신호 (reference signal)로부터 반향신호는 추정할 수 있지만 근단화자 신호는 추정할 수 없다는 점을 이용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시스템 및 알고리즘이 동시통화 검출 오류와 이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주파수 영역에서의 Gaussian Mixture Model 기반의 동시통화 검출 연구 (Frequency Domain Double-Talk Detector Based on Gaussian Mixture Model)

  • 이규호;장준혁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01-40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주파수 영역에서의 가우시안 혼합 모델 (Gaussian Mixture Model, GMM) 기반의 새로운 동시통화 검출 (Double-talk Detection, DTD)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주파수 영역에서의 음향학적 반향억제 (Acoustic Echo Suppression, AES)를 위한 동시 통화 검출 알고리즘을 구성하기 위해 기존의 시간 영역에서의 동시통화 검출에 사용되는 상호 상관계수를 이산 푸리에 변환을 통해 16개 채널의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였다. 이러한 주파수 영역에서의 상호 상관계수를 GMM의 보다 효과적인 구성을 위해 통계적 분류 특성에 근거하여 우수한 7개를 선별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특징 벡터로 패턴인식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GMM을 구성하였으며 원단화자만 있는 구간, 동시통화 구간, 근단 화자만 있는 구간을 우도 (Likelihood) 비교에 따라 분류함으로써 별도의 원단 화자 신호에 대한 음성 검출기 (Voice Activity Detector, VAD)의 사용 없이 잡음환경과 반향 경로 변화에서 강인한 동시통화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다양한 실험 결과 제안된 방법은 기존의 상호 상관계수를 고정된 문턱 값과 가부 비교하여 동시 통화 구간을 검출하는 hard decision 방법에 비해 검출 오류 확률 (Detection Error Probability)을 비교한 결과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