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시사용자

Search Result 2,169,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n OCC-based Concurrency Control Method to Minimize Transaction Abort Rate in Wireless Broadcast Environments (무선 브로드캐스트 환경에서 트랜잭션 철회율을 최소화하기 위한 낙관적 동시성 제어 기법)

  • Suh Jong-Hyun;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202-204
    • /
    • 2005
  • 브로드캐스트 기법은 서버에서 사용자로의 하향 대역폭을 최대한 활용하고 사용자의 수와 무관하게 데이터를 배포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 컴퓨팅 환경에서의 주요한 방식으로 쓰이고 있다. 브로드캐스트 기법에서도 기존 컴퓨팅 환경처럼 여러 트랜잭션이 같은 데이터 항목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브로드캐스트 환경에서는 모바일 클라이언트의 제한된 자원과 제한된 상향 대역폭 등의 이유로 기존의 동시성 제어 기법을 그대로 사용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무선 브로드캐스트 환경을 위한 동시성 제어 기법들이 많이 연구되어 왔다. 이 논문에서는 트랜잭션들의 접근 패턴이 편향될 경우 발생하게 되는 반복적인 재실행을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동시성 제어 기법에 기반을 둔 기법을 제안한다. 동일한 데이터 항목에 대한 갱신을 수행하는 트랜잭션이 많을수록 트랜잭션이 재실행될 확률은 높아지고 성능은 저하되는데, 이는 검증을 요청하는 트랜잭션들 중 가장 먼저 서버에 도착한 트랜잭션만이 경쟁에서 살아남고 나머지는 재실행되며 경쟁을 다시하기 때문이다. 제안하는 기법에서는 브로드캐스트 사이클이 끝날 때까지 완료 여부의 결정을 유보하면서 검증을 요청한 트랜잭션들의 조합을 구성해 후보 해 리스트를 유지한다. 마지막으로 갱신되는 데이터 항목의 수와 데이터 항목의 갱신 선호도를 기준으로 최적의 해를 선택해 트랜잭션들을 완료하고 데이터베이스에 값을 반영함으로써 트랜잭션의 철회율을 최소화하고 트랜잭션의 완료율을 높일 수 있다.

  • PDF

An Efficient Concurrency Control Algorithm for High-Dimensional Index Structures (고차원 색인구조를 위한 효율적인 동시성 제어 알고리즘)

  • 최길성;이석희;송석일;유재수;조기형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b
    • /
    • pp.54-56
    • /
    • 1998
  • 동시에 다수의 사용자가 빠른 속도로 이미지 검색이 가능하도록 지원해주는 고차원 색인구조에 대한 효율적인 동시성 제어 방법은 매우 중요하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기존에 제안된 방법인 RLINK-트리는 링크를 적용시켜 다른 기법들에 비해 향상된 효율을 갖고 있지만 고차원 색인구조에 적용할 경우에는 문제가 발생한다. RLINK-트리에서는 고차원 색인구조의 효율적인 구성을 위한 재삽입 연산에 대한 동시성 제어를 고려하지 않고 있으며, 트리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동시성 효율이 낮은 잠금 결합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고차원 색인구조의 동시성 제어 기법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고차원 색인구조의 효율적인 트리구성을 위해 수행되는 재삽입의 동시성 문제를 해결하면서 동시성 수준을 향상시킨 새로운 동시성 제어 알로리즘을 제안하고, 제안된 알로리즘을 고차원 색인구조에 적용시켜 동시성 제어가 효율적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증명한다.

User Location Determination and Interaction for Collaborative Environments using LED Tracking (협업 환경을 위한 LED 기반 사용자 위치 추적 및 인터랙션 시스템)

  • Kim, In-Tae;Park, Ju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316-320
    • /
    • 2007
  • 다수의 사용자가 동일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면서 의사를 교환하거나 공동 작업을 수행하는 협업환경에서의 인터랙션 기술은 네트워크 기술, 디스플레이 기술만큼이나 효율적인 협업을 위해 중요한 요소 기술이다. 이러한 인터랙션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서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는 사용자의 상황인식을 들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의 돌발 행동, 사용자들간의 의사교환 정도 등을 측정하고 예측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협업환경 내에서의 사용자의 위치 파악은 사용자의 상황인식뿐 아니라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레이저 포인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가리키고 있는 경우, 어느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화면 중 어느 위치를 포인팅 하고 있는지를 계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한된 환경 내에서 사용자의 3차원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개발된 시스템은 사용자의 위치 계산뿐 아니라 사용자의 제스처도 함께 인식하여 사용자가 협업환경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고 공중에서 글씨 쓰는 등의 인터랙션도 수행할 수는 기능을 지원한다.

  • PDF

Collaborative Authoring System using 3D Spatio-Temporal Space (삼차원 시.공간을 이용하는 프레젠테이션 공동저작 시스템)

  • 이도형;성미영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9 no.6
    • /
    • pp.623-634
    • /
    • 2003
  •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llaborative multimedia authoring system. Our authoring system represents a multimedia presentation in a 3D coordinate system. One axis represents the traditional timeline information (T-zone), and the other two axes represent spatial coordinates (XY-zone). Our system represents a visual media objects as a 3D parallelepipeds and audio media objects as cylinders. This interface allows for simultaneous authoring and manipulation of both the temporal and the spatial aspects of a presentation. Using our system, users can design multimedia presentations collaboratively in the unified spatio-temporal space while freely traversing the spatial domain and the temporal domain without changing the context of authoring. In addition, we suggest an efficient mechanism of concurrency control for shared objects generated by our collaborative writing system. The mechanism is mainly based on the user awareness, the multiple versions, and the access permission of shared objects. Our concurrency control mechanism is designed to keep data consistency by minimizing the collision due to the delay or the failure of network communication and to allow maximum responsiveness for users using optimistic concurrency control. Also, the mechanism maximize the responsiveness by refining the locking granularity and applying different concurrency control mechanisms to each.

Profile Learning for Concept Change Over Time (시간에 따라 변하는 사용자 관심도 학습)

  • 권현철;박영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166-168
    • /
    • 2001
  • 근래에 들어서 인터넷의 발전에 따라 사용자의 정보 검색 및 정보 서비스 이용에 대한 수요량이 많아지고 있으며, 이와 동시에 사용자 개인마다 적합하지 않은 정보에 대한 검색 시간과 서비스 이용에 대한 비용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가 인터넷을 이용하면서 일어나는 행위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학습하여 생성한 사용자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사용자 개인마다 맞추어진 적합한 정보를 제공하는 개인화 서비스가 늘어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여러 행위에 대해 비 감독 학습 방법인 클러스터링을 이용하여 사용자 관심 클러스터를 생성, 사용하여 기존의 사용자 프로파일 학습에서 간과하고 있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사용자의 관심에 대한 변화를 탐지하고, 변화하는 사용자의 관심 이동 형태에 따라 이를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학습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시하므로 해서 기존의 개인화를 위한 사용자 프로파일 학습 방법보다 진보한 학습 방법을 지닌 시스템 모델을 제시하려 한다.

  • PDF

Resource Allocation for Heterogeneous Wireless Services (다중 이기종 무선 서비스를 위한 자원할당 방안)

  • Kim, Kwon-Taek;Shin, Choong-Yong;Cho, Jin-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1270-1271
    • /
    • 2007
  • WLAN, WiBro, cdma2000, HSDPA 와 같은 여러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가 늘어나고 무선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선택의 폭도 점점 늘어남에 따라 여러 이기종 무선인터페이스를 동시에 사용하고자 하는 Multiple Care-of Address 방안이 IETF MONAMI6 WG 에서 제안되었다. 이를 통해 단말은 사용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동시에 여러 인터페이스에 접속이 가능하다. 그러나 현재의 방안은 이기종 인터페이스가 아닌 단일 인터페이스의 동시 사용만을 고려하고 있어 각 이기종 인터페이스의 특성에 따른 선택적인 인터페이스 활용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페이스의 특성에 따른 사용자의 preference 를 고려한 다중 인터페이스 선택방안을 제안한다.

  • PDF

The method of scene composition based on hybrid broadcasting environment (하이브리드 방송 환경기반의 장면 구성 방법)

  • Jo, Min-Woo;Park, Jung-Wook;Kim, Kyu-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2.11a
    • /
    • pp.237-240
    • /
    • 2012
  • 하이브리드 방송(Hybrid Broadcasting) 환경은 다수의 전송 경로를 통해 다수의 미디어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장면 구성은 다수의 미디어를 동시에 소비하기 위한 기술로 하이브리드 방송의 특징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데 적합하다. 장면 구성이 제공해야하는 정보에는 미디어가 표시될 화면상의 위치 정보와 표시되는 시점의 시간 정보 및 사용자 상호작용 정보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미디어의 공간적, 시간적 위치 정보 및 사용자 상호작용 정보를 제공하는 동시에 하이브리드 방송 환경에 적합한 장면 구성 방법을 제안한다.

  • PDF

A Design and Development on Cloud based Media Service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서비스 설계 및 구현)

  • Kim, Soo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04a
    • /
    • pp.850-853
    • /
    • 2014
  • 다양한 단말의 발달과 네트워크 대역폭 확대, 고화질의 컨텐츠 등장 등의 기술 발전으로 인해 클라우드 기반에서 사용자 및 사업자 영상을 서비스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해 졌다. 본 연구에서는 고화질의 영상을 기존의 TV 에서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모바일 및 PC 에서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의 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계, 구현한다. 클라우드 기반의 미디어 서비스를 위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자 및 사업자의 영상을 이용할 수 있도록 미디어 처리를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시스템을 개발한다. 또한 다양한 포맷의 영상을 처리하고, 이 영상을 등록, 관리, 배포, 제공 할 수 있는 기능도 구현한다. 다양한 미디어 및 단말을 동시에 제공하기 위해 시스템은 현재의 클라우드 환경을 고려하여 개발되고 있으며, 추후 다양한 클라우드 환경에서 동시에 서비스를 확장할 수 있도록 인터-클라우드 방안을 지원한다. 또한 이 클라우드 기반의 미디어 서비스를 기반으로 새로운 사업자 서비스를 추가 구현하고, 이를 상용으로 서비스하는 PaaS 형식의 서비스 플랫폼 기능도 제공한다.

Multiple-Hypothesis RAIM Algorithm with an RRAIM Concept (RRAIM 기법을 활용한 다중 가설 사용자 무결성 감시 알고리듬)

  • Yun, Ho;Kee, Changdon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16 no.4
    • /
    • pp.593-601
    • /
    • 2012
  • This paper develops and analyzes a new multiple-hypothesis Receiver Autonomous Integrity Monitoring (RAIM) algorithm as a candidate for future standard architecture. The proposed algorithm can handle simultaneous multiple failures as well as a single failure. It uses measurement residuals and satellite observation matrices of several consecutive epochs for Failure Detection and Exclusion (FDE). The proposed algorithm redueces the Minimum Detectable Bias (MDB) via the Relative RAIM (RRAIM) schem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can detect and filter out multiple failures in tens of meters.

Simulation Analysis of User Grouping Algorithms for Massive Smart TV Services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대규모 스마트 TV 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용자 그룹핑 알고리즘 성능 분석)

  • Jeon, Cheol;Lee, Kwan-Seob;Jou, Wou-Seok;Jeong, Tai-Kyeong Ted.;Han, Seung-Chul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20 no.1
    • /
    • pp.61-67
    • /
    • 2011
  • Smart TV System will lead to drastic change of communication and media industries as one of the emerging next generation network services. However, when the number of concurrent users increases rapidly, the issue of service quality degradation occurs because providing services to many users simultaneously stresses both the server and the network. The server limitation can be circumvented by deploying server clusters. but the network limitation is far less easy to cope with, due to the difficulty in determining the cause and location of congestion and in provisioning extra resources. In order to alleviate these problems, a number of schemes have been developed. Prior works mostly focus on reducing user-centric performance metrics of individual connection, such as the round-trip time(RTT), downloading time or packet loss rate, but tend to ignore the network loads caused by the concurrent connections or global network load balance. In this work, we make an in-depth investigation on the issue of user grouping for massive Smart TV services through simulations on actual Internet test-bed, PlanetLa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