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시공학 협동설계

Search Result 8,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인터넷 기반의 원격 협동설계 지원 시스템 개발

  • 이경호;이종갑;이순섭
    • Proceedings of the CALSEC Conference
    • /
    • 1999.11a
    • /
    • pp.338-348
    • /
    • 1999
  • ㆍ인터넷 기반의 동시공학 관련 요소기술 검증 및 통합화 수단 확보 -기술문서 공유(HTML, SGML/XML, 등) -시뮬레이션 기술을 이용한 설계 검토(View & Markup) -CAD모델공유(CAD Conferencing, STEP...) -지식공유를 통한 협동설계 환경 (Agent, CORBA) -분산환경에서의 Communication 수단 -인터넷 기반의 설계 승인(기본계산) -KSNet 기반의 기자재 검색 및 구매 요청 ㆍ급변하는 환경에 적응하는 원격협동설계지원 시스템 구축 (중략)

  • PDF

A Study on Agent Based Initial Design for Small Ship (소형선박에서 에이전트기반의 초기설계에 관한 연구)

  • 박제웅;임근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Committee for Ocean Resources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1.10a
    • /
    • pp.32-35
    • /
    • 2001
  • 현재 중. 소형조선소의 소헝선박설계는 실무자의 경험에 의해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지금까지 소형선박설계는 정보의 생성과 교환 및 축적이 원활하지 못해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형선박설계의 정보 공유와 협동설계를 위한 방법으로 최근 인터넷의 발달로 인한 분산환경에서의 동시공학개념의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소형선박의 초기설계에서 기본정보의 생성을 위한 주요치수선정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생성된 정보의 공유를 위해 에이전트기반 시스템개념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특히 제어에이전트의 주요기능인 Content-Based Routing 개념을 제시함으로 에이전트를 기반으로 한 설계시스템의 통합화를 보이고자 한다.

  • PDF

Collaborative Ship Design System Based on Internet Environments (인터넷 기반의 원격 협동 선박설계 시스템)

  • 이경호;이순섭;이종갑
    • Korean Journal of Computational Design and Engineering
    • /
    • v.6 no.3
    • /
    • pp.198-205
    • /
    • 2001
  • Under the concept of global economy, the enterprises are assigning design and production environments around the world in different areas. In shipbuilding companies, a serious problem of information exchange emerges as companies use traditional hardware and very distinct softwares appropriate to their field of expertise. To overcome the decreased productivity due to the interruption of information, the concept of simultaneous engineering and concurrent design becomes very significant. In this article, the concept of collaborative design based on internet environments is described. Especially, the core technologies to achieve collaborative design environments among shipbuilding companies, ship owners, ship classification societies, model basin, and consulting companies are adopted.

  • PDF

Introduction of Design Framework for Multidisciplinary Design Optimization (다분야통합최적설계를 위한 설계프레임웍의 소개)

  • 이세정;최동훈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17 no.3
    • /
    • pp.14-21
    • /
    • 2004
  • MDO프레임웍은 설계 작업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자동화하여 설계도구 간의 데이터 전달과 변환에 소요되는 설계자의 부담을 경감시키며 다분야 전문가가 참여하는 협동설계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다분야를 동시에 고려한 효율적 설계를 지원한다. 이번 글에서는 이러한 MDO프레임웍으로 개발된 EMDIOS를 소개하고, 그 개발 배경과 타당성을 개략적으로 제시하였다. EMDIOS는 분산 환경을 제공하고, 데이터베이스와 연계되어 정의된 문제와 문제 풀이 절차를 저장하고 실행시 발생하는 데이터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구조를 갖는다. MDO문제 해결에 필요한 도구들은 모두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로 구성 및 기술되어 컴포넌트 등록기에 등록되어 저장된다. 등록된 컴포넌트는 GUI기반의 MDO커널에 의하여 검색되고 MDO문제해결 절차의 구성 요소가 된다. 구성된 문제 해결을 위한 실행은 컴포넌트 서비스 에이전트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EMDIOS는 새로운 설계도구를 EMDIOS에 쉽게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공통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 부분을 구현한 추상 클래스와 이로부터 필요한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제조기를 제공함으로써 확장성과 개방성을 제공한다. 제시된 MDO 프레임웍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가장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는 윈도우 환경에서 Visual C++를 이용하여 개발되고 있으며, 다양한 OS환경에서 작동되어야 하는 래퍼는 JAVA로 개발하였다. 현재 개발된 EMDIOS는 다양한 벤치 마크 테스트 중이며 올해 9월이후에는 일반에게도 공개할 수 있는 프레임웍으로써 모습을 갖출 것으로 보인다.

공학교육인증 체제의 지역대학을 위한 산학협동과제 기반 실무인력양성 모델

  • Yim, Kang-Bin
    • Review of KIISC
    • /
    • v.19 no.1
    • /
    • pp.67-74
    • /
    • 2009
  • 본 논문은 공학교육인증 체제에서 요구되는 학부생들의 실무 설계능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지역대학에서 필요한 산학협동과제 기반의 실무인력양성 모델을 제안한다. 산학맞춤형 프로그램, 인턴쉽 프로그램 등 학부 학생들의 실무능력 향상 및 취업률 제고를 위한 기존 방안들이 만족할 만한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학생들의 실무수행 능력 제고를 위한 보다 근본적인 대학-산업체간의 협력이 요구되며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산학협동과제를 발굴하여 이를 주제로 실무인력 교육에 상호 지원하는 체제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 모델에 기반을 둔 연구개발팀을 실제로 구성하여 산업체로부터 제시되는 프로젝트를 추진한 사례를 통하여 학부 학생들이 산업체에서 활용 가능한 수행 결과물을 도출함과 동시에 참여 학생들의 취업 성과를 통하여 실무능력이 월등히 개선될 수 있음을 보인다.

A case study of collaborative learning implementation using open source Moodle learning management system - for collaborative learning promotion by users - (오픈소스 Moodle 학습관리시스템 기반의 협동학습 운영 사례에 관한 연구 - 사용자의 협동학습지원을 중심으로 -)

  • Lee, Jong-Ki
    •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 /
    • v.6 no.4
    • /
    • pp.47-57
    • /
    • 2016
  • Open source has an amazing spread with the advent of smartphones. Open-source Moodle in e-learning areas are free of LMS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the most widely used worldwide, except for the black board commercial programs. One reason is well designed to support collaborative learning and interaction based on constructivist principles, which is the core principle of e-learning in particular that the theoretical basis of educational technology has a high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benefits. This study examines the operational practices of collaborative learning using open source learning management system Moodle program. It introduces specific information to support the user of the collaborative learning. It looks at the advantages and singularity of collaborative learning in e-learning through examples show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and the importance of self-learning of collaborative learning through collaborative learning in a knowledge repository of Moodle. In addition, collaborative learning outcomes are is based on the motivation of learners and playfulness.

Design Process Suggestion of Vibrotactile Interface applying Haptic Perception Factor Analysis (햅틱 인지 요인 분석을 적용한 진동 촉감 인터페이스 설계 프로세스 제안)

  • Heo, Yong-Hae;Kim, Seung-Hee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21 no.5
    • /
    • pp.79-87
    • /
    • 2021
  • This study suggests a design process for vibrotactile interface that can apply haptic perception factors reflecting human tactile mechanisms. This process consists of 4 stages: the haptic sense requirement analysis stage, the haptic element analysis stage, the haptic perception factor analysis stage, the haptic requirement detailed design, and the prototype implementation stage. The advantage of this design process is that unnecessary tasks can be excluded in deriving and implementing user requirements, by applying haptic perception factor analysis, and the biggest feature is that research results on ergonomic mechanisms can be reflected in the haptic design, completes prototype development simultaneously while determining the haptic requirements statement by performing user evaluation, usability testing, and haptic feature optimization tasks simultaneously. This design process includes all stages from user requirements to haptic function detailed design and prototype implementation, so it is expected that general developers who lack expertise in haptic will also be able to design user-centered designs, enabling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aptic functions at a certain level.

Beyond adaptation: Transforming pedagogies of teaching elementary mathematics methods course in the online environment (온라인 환경에서 초등 수학 방법론 수업의 교수법 변화)

  • Kwon, Minsung;Yeo, Sheunghyun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
    • v.61 no.4
    • /
    • pp.521-537
    • /
    • 2022
  • The unprecedented COVID-19 pandemic has disrupted, interrupted, and changed the way we normally prepare our teacher candidates in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In this paper, we, two mathematics teacher educators (MTEs), reflect our own experiences in appropriating, transforming, reconstructing, and modifying our pedagogies of teacher education in making a transition from face-to-face to online environmen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Using a collaborative self-study, we discussed issues, challenges, changes, opportunities, and innovations of teaching an elementary mathematics methods course in the online environment. Using a constant comparison method, we explored the following three themes: (1) using virtual manipulatives; (2) creating collaborative, interactive, and shared learning experiences for preservice teachers; and (3) making preservice teachers engaged in student thinking.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online teaching requires transformative knowledge for teacher educators. Transferring face-to-face to online is not a simple matter of putting the existing content to online; it should focus on pedagogical improvement in teaching mathematics rather than technology's sake or how it can be repurposed in a new online environment in a way that students' learning is optimi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implications for unpacking MTEs'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ACK), creating collaborative learning experiences for preservice teachers, and designing a collaborative self-study between MTEs engaged in the community of professional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