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동선의 접근성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8초

종합병원건물의 보행공간 접근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destrian accessibility for the general hospital buildings)

  • 서경부
    • 대한교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교통학회 1998년도 Proceedings 제34회 추계 학술발표회
    • /
    • pp.42-51
    • /
    • 1998
  • 안전한고 쾌적한 보행환경을 조성하여 보행 교통을 활성화시킨다면, 자동차의 사용이 줄게 되고 자동차의 유해한 배출가스로 인한 공기 오염 및 소음 등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심부의 미관 증대, 역사적 구역의 보존, 물리적인 도시 이미지 향상 등의 효과로 도심기능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보행통행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안전하고 효율성 있는 보행동선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당수의 종합병원과 같은 공공성을 띤 건물들은 대부분의 보행자가 보행동선을 이용하여 건물에 접근하는데도 불구하고 차량을 중심으로 동선이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차량위주의 동선 체계는 보행 통행자로 하여금 차량통행으로의 전환을 유도할 가능성이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분석대상으로 차량과 보행자에게 동등하게 접근의 용이성을 제공해야 하는 광주시의 4대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보행자 집단에게 가해지는 저항이 구체적으로 얼마나 심각하며, 그 원인은 어떠한 물리적 조건에 의하여 발생하는지 알아 보았다. 보행저항을 파악하기 위한 지표로는 차량과 보행자의 충돌점의 수, 최단거리 선호도, 보행로 미확보율 등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 나타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도 함께 모색하였다.

  • PDF

종합병원 외부동선 계획에 관한 연구 -최근건립된 종합병원 이용실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General Hospitals Outdoor Traffic System Planning -Focused on the Cases of Constructed General Hospitals-)

  • 김동재;김하진;양내원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5권8호
    • /
    • pp.79-86
    • /
    • 1999
  • Because of the recent enlargement of the faculties due to the more specialized and subdivided medical field and the need for more diverse services, the easy wayfinding is necessary on the diverse approach and usage in general hospitals. The users' pattern and the architectural correspondence affected by thi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of design.

  • PDF

쉬운 길찾기를 위한 남산 보행안내체계 개선방안 (A Study on Improvement Plan of Guidance System of Namsan Park for Easy Wayfinding)

  • 강준모;송규만;손동욱;조희정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6D호
    • /
    • pp.675-683
    • /
    • 2010
  • 남산은 서울의 대표적인 관광명소지만 도심에 위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접근성이 좋지 않아 이용에 불편을 겪는 문제점들이 많다. 본 연구는 남산 르네상스 사업이 실시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남산으로 쉽게 접근하여 이용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안내체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남산에 가장 근접한 주변 대중교통시설부터 남산공원에 진입하는 곳까지를 대상으로 하여 현재의 안내체계에 대한 문제점을 안내사인체계와 보행동선체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안내사인체계는 현장조사를 통해 설치현황과 유형을 조사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보행동선체계는 현장조사와 보행이용조사를 통해 남산으로 접근하는 보행동선을 분석하였다. 현황분석을 통한 개선방안으로 안내사인체계는 안내사인기능과 유형의 재분류, 설치계획을 수립하였고, 보행동선체계는 남산으로 접근하는 주요보행동선을 설정하여 개선된 안내체계를 도입해 쉽게 찾아갈 수 있는 길찾기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안내체계의 개선을 통한 남산의 접근성 향상은 많은 이용을 유도함으로써 서울의 대표중심공원으로서 입지가 강화될 것이다.

동선관련 정성적 요구사항 평가를 위한 가중치를 적용한 BIM기반 정량데이터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An Approach to the BIM-enabled Assessment of Building Circulation using Quantitative Data and its Weight)

  • 신재영;이진국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335-343
    • /
    • 2015
  • 본 논문은 건물의 동선에 대한 정량적 평가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하나의 접근방법을 제안하며, 이를 위해 건물정보모델링(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을 이용하여 동선관련 객체 및 속성의 정량적 데이터를 활용한다. 동선을 계획하고 분석하는 작업은 설계 초기부터 중요하며, 건축법규나 설계지침 등에 제시된 동선 관련 규정을 따르기 위한 목적 외에도 거주자의 편의성의 관점에서도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방법에 의거하면, BIM에서 추출할 수 있는 다양한 값들을 이용하여 '편리한 동선'과 같은 정성적인 내용의 정량적 비교 및 판단을 사용자의 가중치 설정에 따라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해당 가중치는 물리적 거리, 공간의 깊이 및 동선 방향 전환수, 매개공간의 창문면적 등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부여한 가중치에 따라 정량화된 비교 방안을 통해 동선관련 설계품질에 대한 평가에 활용 가능하다.

GIS를 활용한 도시공원 문제점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서초구 양재 시민의 숲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ing Direction of Urban Park Problems by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Seochogu Yangjae Citizen`s Woods -)

  • 장동수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3권2호
    • /
    • pp.161-177
    • /
    • 1995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공원 조성시 물리.생태적 여건과 이용을 고려해 건강한 도시공원을 조성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 서초구 양재시민의 숲(공원)을 대상으로 조성된 공원의 물리.생태적 여건과 이용의 관련성을 조사해 나타난 문제들을 GIS와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했다. 조사항목으로 과거토지이용, 현토지이용(성토지역, 동선, 나지, 시설물), 식생(수고, 지하고, 최근색재지, 유실수, 불량식재지), 배수상태, 야간조명, 소음, 이용현황(이용밀도, 이용행태, 접근동선) 등이며 수고+소음, 지하고+이용밀도, 과거토지이용+배수불량, 이용행태+접근동선 등을 중첩해 문제점을 분석했다. 그 결과 본 공원은 식재, 배수, 소음, 이용(주차, 야간이용)등의 문제를 앉고 있으며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는 숲내 공지확보, 수로나 연못설치, 방음벽 설치, 주차장 확보 등이다. 설문조사에서 제안된 시설과 대안으로는 공원주변의 양재 화홰단지와 연계한 화단 및 화훼전시공원(43%), 현공원의 잠재력을 활용한 식물원 혹은 수목원(58%), 과일나무 공원(32%) 등을 들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공원과 같이 규모가 큰 공원을 조성시에 위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조성기간중 다양한 문제를 수용할 수 있는 유연한 단계별 계획이 필요할 것이다.

  • PDF

알루미늄제 폰툰형 레저보트 개발

  • 김헌우;심상목;백영수;조제형;신일식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제23회 정기총회
    • /
    • pp.138-140
    • /
    • 2007
  • 폰툰형 레저보트는 쌍동식 또는 삼동선식의 안전성이 확보된 선체와, 다양한 기능을 만족할 수 있는 상부구조로 구성, 건조비 뿐만 아니라 레저 접근성이 용이한 보트로서, 해양레저 선진국에서는 내수면뿐만 아니라 해수면에서도 함께 즐길 수 있는 가족형 레저보트로 인식되어 최근 보급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폰툰형 레저보트는 최적의 공간활용을 위해 사각모양의 갑판형태로 인해 유체의 저항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선저형상, 추진시스템 및 조향운전장치 뿐만아니라 선수선저부의 슬래밍 충격에 대비한 구조강도 등 체계적인 연구를 통한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가구 4인 가족단위로 함께 즐길 수 있는 안전성이 높고, 낚시, 스쿠버 둥을 위한 편의시설이 확보한 선형 최적형상 연구 및 구조강조 해석을 통한 9인승 규모의 폰툰형 레저보트를 개발하고자 한다.

  • PDF

서울시 역사공원의 현황 고찰을 통한 개선 방안 도출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through Current Status of Historical Park in Seoul)

  • 고영권;소현수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07-117
    • /
    • 2016
  • 본 연구는 서울시 역사공원 6개소를 대상으로 하여 역사공원의 가치를 대표하는 역사성, 교육성, 사회성이라는 세 가지 기준을 도출하고 역사문화자원의 유형, 공간 기능 및 배치, 이용 동선 및 접근성, 도입 시설의 유형과 용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이 현황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사육신 봉은 선농단 역사공원과 같은 문화재 중심 역사공원은 역사문화자원의 원형 보존에 중점을 둔 관리가 중심이 된다. 신계 양화진 이태원부군당 역사공원과 같은 비지정문화재 중심 역사공원은 역사문화자원을 기념하고 상징하는 활용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둘째, 양화진 역사공원과 이태원부군당 역사공원은 정체성을 결정하는 역사문화자원이 혼재된 유형으로서 공원의 역사성에 대한 태도를 신중하게 고려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셋째, 봉은 역사공원과 신계 역사공원은 근린공원이었을 때보다 종교시설의 신 증축으로 인해서 시설율이 높아졌다. 공원시설 부지면적에 제한을 두지 않는 관련 법규의 자율성이 역사공원의 공공성을 약화시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넷째, 역사공원의 명칭 부여 시 해당 역사문화자원과 관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신계 역사공원은 '당고개순교성지역사공원'이라고 변경할 것을 제안한다. 다섯째, 통제되지 않은 다수의 출입구, 관람동선과 산책동선의 혼재, 폐쇄로 인한 접근성 불량 등의 문제를 인지하였다. 따라서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이용자의 체험 기회를 늘릴 수 있도록 출입구와 관람동선을 명료하게 제시하고, 근린시설공간과 적절하게 분리해야 한다. 여섯째, 서울시 역사공원에는 근린공원에서 기능하는 공원 시설이 동일하게 도입되었다. 이때, 운동시설이나 야외음악당과 같은 교양시설의 경우 역사공원의 분위기를 고려하여 용도와 배치를 결정해야 한다. 일곱째, 역사공원 내 역사관, 문화관, 기념관, 홍보관이라고 명명된 역사관련시설이 원래 목적 외에 주민 편익시설과 종교시설로 이용되었다. 특정 집단의 공간 사유화로 인하여 역사공원의 공공성이 결여되지 않도록 제도적 장치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

중대형 위성의 조립 및 시험을 위한 기계지상지원장비 개발

  • 우성현;김진희
    • 천문학회보
    • /
    • 제37권2호
    • /
    • pp.183.2-183.2
    • /
    • 2012
  • 최근 인공위성의 대형화 및 중량화 추세는 종종 기존 설비 내에서의 위성체 조립 및 시험업무의 작업성과 능률성을 심각하게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이에 상기 업무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서는 최적화된 설계의 기계지상지원장비(Mechanical Ground Support Equipment, MGSE)의 개발 및 활용이 요구되어지며, 이는 전체 위성개발기간 동안 요구되는 모든 시험 구성, 외부 설비 및 장비와의 인터페이스, 작업자의 동선 및 접근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작업이다. 특히 고해상도 영상안테나와 같이 높은 수준의 정렬 조건이 부과되는 탑재체의 경우 이의 장착, 정렬 및 지상전개시험 등을 위해서는 탑재체 및 위성체의 특성을 고려한 전용 장비의 개발도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최근 개발한 중대형급 지상관측 영상레이더 위성 개발 과제에 활용된 기계지상지원장비의 설계, 제작 및 운용 방법을 종합적으로 기술하였다.

  • PDF

지하철 차량 실내디자인의 편의성과 안전성 증진요소 분석 (Factor Analysis for Improvement of Convenience and Safety in the Interior Design of Subway Trains)

  • 진미자;한석우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0권6호
    • /
    • pp.779-785
    • /
    • 2007
  • 본 연구는 지하철의 실내디자인과 이용자 간의 인터페이스를 중심으로 가시적, 비가시적 요인을 점검하고 작동이나 효용으로서의 설비 및 구조와 함께 시지각적 내용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필요조건에 대한 진단과 개선 방향을 실증적으로 제안하였다. 이용자의 가치 및 의식과 행태를 반영한 지하천의 실내디자인은 이용자의 잠재요구와 심리적 만족이 고려된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의 적용으로 접근되어야 한다. 차량의 실내배치는 인간공학과 심리학 등의 전문분야의 학제적 접근으로 시설의 조건이 규정되고, 공간의 이용 및 승객의 행태분석에 의한 동선의 유도와 배려로써 이루어져야 이에 대한 종합계획이 재정립되고 기본지침과 매뉴얼, 요구사항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가 이룩되어야 한다.

시드니오페라하우스의 동선체계 및 공간구성 연구 (A Study on the Composition of the Circulation and Space in Sydney Opera House)

  • 김준영;김소희;이정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172-179
    • /
    • 2010
  • The Sydney Opera House is built on a peninsula of rock that juts out into Sydney Harbor. The site was once a landing place for ships. Utzon, Architect, designed the theatres for the Opera House to fit the shape. The two theatres were placed side by side so that they both had extensive harbor views. The Sydney Opera House is designed the foyers to take full advantage of these sights. Because the building would be seen from all sides, even from above, it was to be a piece of sculpture. The outside was as important as the inside. The audience enters from behind the stage and walks around to the foyers overlooking the harbour. The wing and backstage areas are small because of the way the foyers wrap around the theatre. The stage is made up of large platform lifts which provide the vertical movement for changing scenery. The sets come up from the workshops below stage. The flytower fits under the largest roof shell and doesn't break the skyline. The important elements are the podium, the shells and the reminders. The podium, the huge monolithic concrete structure, contains hundreds of rooms and nearly all the technical equipment. The podium is clad with pink granite slabs and seen from the water. This design eliminated a maze of fire escape stairs and, at the same time, gave people a wonderful view of the harbour. The egg shell is remarkably strong and express the form as the symbol of the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