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북지역

Search Result 684,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Formation Process of Pottery with Lighting Design in Northea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 동북지역 뇌문토기 변천과정)

  • Kim, Jae-youn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0
    • /
    • pp.137-167
    • /
    • 2007
  • This paper is aimed to study the late Neolithic Age in North Korea in order to closely examine a transition process into the Bronze Age in the Korean peninsula. Thus, the pottery with lightning design was selected as target data. Since the pottery with lightning design is fundamental data that North Korea's archeologists have used for chronological recordings of the late Neolithic Age in the northwest region, the parallel relationship between the eastern and the western region was established with comparison of pottery with lightning design in the northeastern region. The examination focuses on data that cover the target region of the pottery with lightning design of the adjacent Southern Primorskii region including the counterpart of the northwestern and the northeastern region. As a result, some attribute analyses revealed that the pottery with lightning design was affected by the counterpart of the northwestern region near the Yalu River. Prior to genealogical and chronological recordings of the pottery with lightning design in the northeastern region, the pottery with lightning design in the northwestern region was recorded chronologically in order to examine its specific development process. Consequently, in the second period of the Neolithic Age, the pottery with lightning design in the northwestern region was assumed to have an impact on the counterpart in the northeastern region. The classification of the pottery with lightning design in the northeastern region shall be based on 4-period development. According to this classification, the pottery, which was found in the Tumen river basin, was thought to belong to the first period. The pottery went through genealogy differentiation in the second period and when entering into the third period, the pottery spread to inland of south Primorskii. The pottery was assumed to exist in the southern Primorskii region until the tip end (the fourth period) of the Neolithic Age. It is assumed that considering the fact that climate change led to the agriculture movement, Zaisanovka culture, i.e. the late Ne Neolithic Age, moved to the southern Primorskii region along the Tumen River basin.

동북 아시아권의 생활환경

  • 신대봉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5.08a
    • /
    • pp.87-87
    • /
    • 1995
  • I. 서론 아시아 대륙의 동북쪽 변두리 그것도 뒤에는 대륙을 짊어지고 앞에는 넓은 바다를 안고있는 동북아시아의 생활환경을 살펴본다. II. 역사환경 1. 동북아시아권에 속하고 있는 지역들은 모두가 그 나라들의 변두리 지역이다. 2. 이 지역들은 여태까지 방치되고 있던 불모지이다. 3. 이 지방들은 정치체제들은 각각 다르나 주로 자연에 의존하면서 살아온 지역들이다. 4. 이 지역들은 식민지.미개지로 여태까지 개발되지 못한 지역이므로 새로운 개발 계획으로 서로 권역을 형성하여야 하는 지역들이다.(중략)

  • PDF

Communication Network Construction in East-North Asia (동북아시아 지역의 정보통신망 구축 방안)

  • 김주진;문상균;김홍기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6 no.3B
    • /
    • pp.375-382
    • /
    • 2001
  • 동북아시아 지역은 21세기, 정보화 시대를 맞이하여, 정보 기술, 정보산업 위주의 경제 개발을 추진함으로 해서, 세계 경제의 중심부로 부상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동북아시아 지역을 종합적으로 연결하는 지역 정보통신 네트워크의 구성이 필요하다. 동북아시아 지역이 세계 경제의 중심으로 자리잡기 위하여 동북아의 초고속 정보통신 인프라 구축을 위한 방안을 대내외적 연건에 대한 객관적인 면과 전망에 근거하여 실혐 가능한 통신망 구축 전략을 제시하였다. 동북아시아의 통신망 구축을 위해서는 다원성, 경제성, 중계성 등을 고려하여 망을 구축하여야 하며, 기존의 망포설 현황, 현재 통신의 사용량 및 향후 발전 전망 등을 검토하여 한반도를 동북아시아 통신 허브국으로 선정하고, 그에 따른 망의 구성, 구축방안을 기술하였다.

  • PDF

동북아 산성비 문제와 환경협력

  • Sin, Ui-Sun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7 no.1
    • /
    • pp.119-150
    • /
    • 1997
  • 1990년 동북아 23개 지역의 이산화황 총배출량은 14.7백만톤이었다. 이중 중국동북부가 81%, 한국이 12%, 일본이 5%, 그리고 북한이 2%를 배출하였다. 기본시나리오하에서 동북아지역의 이산화황 배출은 2020년에 40.5백만톤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중국에서 배출된 장거리 월경성 대기오염물질은 한반도와 일본으로 이동하며 특히 산성강우는 중국으로부터의 이산화황 배출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다. 산성강우는 자연생태계와 농작물에 피해를 줄 뿐 아니라 인간의 건강에도 심각한 피해를 준다. 따라서 미래의 산성강우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자국뿐 아니라 인접국의 이산화황 및 질소산화물 배출도 함께 감소되어야 한다. 동북아지역 국가들은 경제발전단계 및 환경협력 논의에서의 우선순위가 다르기 때문에 가까운 시일내에 환경협력을 위한 다자간 협약을 체결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ESCAP, APEC 등 기존의 지역협력기구를 이용하거나 IBRD, ADB 등의 다자간 외부금융기관이나 공적개발원조 (ODA) 등을 통해 개선된 환경기준을 준수하도록 하고 지역환경개선을 위한 협력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산성비와 관련한 동북아 환경협력은 과학적 조사를 통해 객관적이고 신뢰할만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단계적으로 추진되어야 하며, 정치, 경제, 과학, 외교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중앙정부 뿐만 아니라 지방정부와 NGO도 포함하는 다차원적, 포괄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 PDF

Logistics of the Dongbei Area in China (중국 동북3성의 물류현황 및 시사점)

  • Park, Byung-In;Kim, Chang-Hyun;Shin, Seung-Sik;Bae, Jong-Wook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3 no.2
    • /
    • pp.145-172
    • /
    • 2007
  • The goals of this paper are to analyze the present status of logistics on the Dongbei area in China and present implications to the related Korean companies. The mainland of China is very huge, we need to study each regional logistics of China separately. The Dongbei area is more than three times as much as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population is over two times as much as the two Koreas. Therefore, Korea which is trying to be a logistics hub in Northeast Asia has to pay attention to the logistics of China.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logistics of the Dongbei area, but except for the Liaoning province, we needs more information.

  • PDF

동북아시아 권역 형성과 이의 문제점

  • 홍시환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5.08a
    • /
    • pp.77-77
    • /
    • 1995
  • Ⅰ. 동북아시아권 형성의 배경 1. 동해바다를 통한 동북아시아의 권역 형성의 필요성은 19세기 후반에 벌써 본격화 시작 2. 최근 1990넌 이후부터 일본, 우리나라, 중국, 러시아등 동해바다를 둘러싸고 있는 국가들의 경제문화교류등에 관한 관심이 커져감 3. 동북아시아 지역에 해당하는 환동해권역은 모두가 후진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미개발 지역이므로 앞으로 권역형성으로 개발이 요구되는 지역 4. 세계 각 지역은 각기 저마다의 경제권역을 조성하고 있는터임(중략)

  • PDF

The Political and Cultural Restrictions in Building a Security Mechanism in Northeast Asia (동북아지역 내 안보협력체형성을 가로막는 정치, 문화적 장애요인)

  • Kang, Ryang
    • Strategy21
    • /
    • s.42
    • /
    • pp.347-370
    • /
    • 2017
  • 동북아시아지역에서 집단안보와 관련된 지역협력체가 형성되기 어려운 이유에는 먼저 체제와 이념이 다른 국가들 사이에서의 강한 지정학적 역학관계가 작동하고 있고, 두 번째로 개별국가 내부의 사회이념과 정치체제의 차이로 인한 이질성이 매우 강하며, 세 번째로 새롭게 형성되고 있는 미-중 관계의 대립적 구도가 군사안보적인 차원에서의 과도한 경쟁관계를 유발하고 있는 동시에, 네번째로 북한의 지속적인 핵과 미사일위협이 지역을 넘어 범세계적인 위협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다섯 번째로 장기간 미해결상태에 있는 도서 분쟁이 항시 관련국가들 사이에서의 과도한 민족주의적 갈등을 유발시키고, 이로 인한 적대적인 갈등관계가 지속되고 있는 점 등을 동시대적인 현실적 차원에서의 정치적 장애요인들로 규정해 볼 수 있다. 동시에 이런 현실적 차원에서의 정치적 장애요인들의 근원적인 발생요인으로도 평가될 수 있으며, 특히 동북아 개별국가들이 내세우고 있는 강력한 민족주의 성향과 과거사와 연관된 역사인식에 따른 문화적 이질성의 내면에 존재하는 낭만적 민족주의요소가 동북아 개별국가들 간의 신뢰형성과정을 강력하게 가로막고 있음을 지적할 수 있다. 19세기말에 동북아에 유래된 낭만적 민족주의에 대한 비교국가 차원에서의 심도 있는 분석과 이를 통한 절충점의 발견은, 역설적이지만, 세계 어느 지역보다도 극심한 갈등과 대립국면이 심화된 동북아지역 내의 국가들이 군사안보 및 정치경제차원에서의 보다 원활한 협력관계를 도모하기 위한 첫 단계로서의 공동의 장을 마련할 수 있는 주요한 동기가 될 수 있다.

동북아시아 에너지협력의 전망과 의의

  • 선우현범;김창섭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8
    • /
    • pp.175-185
    • /
    • 1999
  • 최근 들어 동북아와 관련하여 논의와 관심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전세계적인 지역경제 Block화의 심화와 함께 동북아지역에서의 경제협력체계 구축 자체도 식자층에서 하나의 가능성으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맥락 하에서 에너지협력의 가능성에 대하여도 논의되고 있다. (중략)

  • PDF

Three Species of the Noctuid Moths New to China, and a Newly Recorded Species from Northeast China (Lepidoptera, Noctuidae) (중국산 밤나방과(나비목) 3 미기록 종과 동북지역 1 미기록 종에 관한 보고)

  • Han, Hui-Lin;Jiang, Jun-Qing;Ding, Yi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47 no.1
    • /
    • pp.5-8
    • /
    • 2008
  • Three species: Anorthoa angustipennis (Matsumura), Harutaeographa stenoptera (Staudinger), and Cerastis pallescens (Butler), are recorded for the first time from China, and Nikara castanea (Moore) is newly added to the fauna of Northeast China. The image of adult, genitalic characteristics, and the distributions are given as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