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면

Search Result 151,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Contractile Function of a Flight Muscle Over the Range of Hibernation Temperature in Bats (박쥐의 동면온도 범위에서 작용하는 비행근의 수축기능)

  • 조연미;오영근;정노팔;신형철;최인호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9 no.1
    • /
    • pp.98-105
    • /
    • 1996
  • Studies on thermal adaptation postulate that optimal temperature of physiological properties matches a usually experienced body temperature (Tb) of organisms. Hibernating bats maintain Tb's that are slighdy higher than ambient temperatures (9$^{\circ}$-12$^{\circ}$C) of their wintering sites. To test the hypothesis that muscle function is adjusted to the Tb range of the hibernating animals, we examined contractile function of the biceps brachil muscle of Korean greater horseshoe bats, Rhinolophus ferrumequlnum korai (n = 5) at tissue temperatures between 1O$^{\circ}$ and 35$^{\circ}$C. Relative tetanic force (% of maximum force) was highest at temperatures of 1O$^{\circ}$-15$^{\circ}$C, which match well their Tb's during hibernation. Because non-hibernating endotherms with Tb of around 37$^{\circ}$C show the optimal temperature for muscle force over 30$^{\circ}$-40$^{\circ}$C, our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the flight muscle of the bats may exhibit thermal adjustments according to their seasonal Tb's. The capacity to generate strong force at such low body temperatures may be adaptive, because bats must have muscles functioning to fly for occasional watering or excretion, or to move away from potential predators during hibernation.

  • PDF

어항소식

  • 한국어항협회
    • Monthly Newsletter
    • /
    • no.52
    • /
    • pp.1-4
    • /
    • 1992
  • 오랜동면서 깨어나 다시 `조용한 변혁` 시도 - 어항종합개발 없이 수산업진흥 불가능 - 어항계획수립의요령[34]

  • PDF

한국산 산개구리 (Rana dybowskii Gruenther)의 뇌하수체에 관한 연구: II. 활동기와 동면기의 미세구조 비교

  • 김창환;김우갑;한성식;김지현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24 no.1
    • /
    • pp.38-57
    • /
    • 1981
  • Cardell, Jr. (1964)는 도룡뇽의 뇌하수체 전염에서 5가지의 분비세포를 구분하였으며 Dent와 Gupta (1967), 그리고 Iturrza (1964)는 영원류에서 5가지 분비세포를 구분하여 보고한 바 있다. 또 Doerr-Schott (1965)는 개구리에서 5가지 분비세포를, Mira-Moser (1969, 1970)는 6가지의 분비세포와 한가지의 무과립세포를 구분하였다. Shinkawa등 (1972)도 역시 7가지 cell type을 구분하였다. Shinkawa와 Nakai (1972)는 참개구리에서 역시 7가지 cell type을, 그리고 이들이 선정한 3 cell type에서 ACTH를 분비한다는 사실을 보고 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산개구리를 재료로 하여 우선 동면기의 것을 실험하였던 바 7가지 cell type을 구분한 바 있고, 다시 활동기의 것을 재료로하여 세포내 소기관의 변화를 관찰하였는데 여기서 몇가지 차이점을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북방산개구리의 정자형성주기에 관한 연구

  • Go, Seon-Geun;Kim, Jeong-U;Gwon, Hyeok-Bang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6 no.4
    • /
    • pp.580-587
    • /
    • 1993
  • 북방산개구리의 성체 수컷들 년중 채집하여 gonadosomatic index(GSI)와 정자형성과 정 및 정소내 testosterone양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정자형성은 8월에 시작되어 9월에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며 이때 GSI도 가장 높았고 세정관의 단면적도 가장 넓었다 번식기(2월) 이후 일정기간 동안에는(3월-7월) 정자형성이 정지되었으며, GSI나 세정관의 단면적도 최저치를 나타내었다. 정소내 testosterone양은 11월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2월에 가장 높았으며 3월부터 급격히 감소되어 10월 까지 매우 낮은 농도를 유지하였다. Interstitial cell의 수도 동면기간이 찰동기 보다 훨씬 많았으며 핵의 크기도 동면기간이 훨씬 컷다. 따라서 testosterone의 생성 증가와 interstitial cell의 활성화가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본 결과들은 북방산개구리의 정 소에서는 정자형성과정이 불연속적으로 일어난다는 것과 2월 이후에는 testosterone의 양이 급격히 줄어드는 것으로 보아 이 개구리의 번식기가 2월임을 확인해 주고 있다.

  • PDF

studies on the spontaneous maturation of follicular oocytes of Rana dybowskii in vitro (북방산개구리 난자의 자발적 성숙에 관한 연구)

  • 안련섭;최한호권혁방배동규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6 no.1
    • /
    • pp.109-115
    • /
    • 1993
  • 본연구는 북방산개구리 여포난자의 자발적 성숙과 관련된 몇가지 요인들에 대해 조사하였다. 자발적 성숙을 일으키는 여포에서 여포조직을 제거하여 denuded 난자를 만든다음 배양했을 때에는 자발적 성숙을 일으키지 않았다. 이들 denuded 난자에 frog pituitary homogenate(FPH, 0.05 gland/ml)를 처리하여도 역시 성숙이 일어나지 않았으나 progesterone(P4, 0.5 Ig/ml)을 처리하였을 때에는 성숙이 일어났다. 동면기간에 여포들이 생성하는 P4와 testosterone(T)의 양을 측정해본 결과 동면초에는 비슷한 양의 P4와 T를 생성하였으나 후기에는 P4만 생성하고 T는 거의 생성하지 않았다. 배양액에 estradiol을 첨가하면 농도에 의존하여 FPH에 의해 촉진된 P4의 생성을 억제할 뿐 아니라 성숙도 비가역적으로 억제하였다. 배양액에 첨가한 hvpoxanthine은 CAMP와 항진적으로 난자의 성숙을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자발적 성숙과정에 여포세포와 P4/T 비율의 증가가 중요한 요인이 된다는 것과 일반적인 난자성숙억제제는 자발적 성숙을 역시 억제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 PDF

The Study in the Composition Changes of Muscle Proteins and Amino Acids in the Hibernant Fish-Mudskipper (Boleophthalmus pectinirostris) before and after Hibernation (동면 전ㆍ후 짱뚱어의 육단백질 및 아미노산 조성의 변화에 관한 연구)

  • 박일웅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
    • v.16 no.3
    • /
    • pp.209-217
    • /
    • 2003
  • The composition of muscle proteins and free amino acids in the mudskipper (hibernant fish) were investigated before and after hibernation (maturity period: August, hibernation period: November thru. April). It was found that crude proteins were 17.6% in August, 17.5% in November and 16.9% in April, while among the muscle proteins, sarcoplasmic proteins were constituted up to 19.2~20.4%, 58.8~61.3% for myofibrilla proteins, 11.2~13.2% for intracellular proteins and 7.5~8.3% for stroma proteins. Composition changes of the muscle proteins were hardly noted until November but during the hibernation(from Nov. to Apr.) the amount of the sarcoplasmic proteins and the myofibrillar proteins decreased pronouncedly. As for the sarcoplasmic proteins, 14 subunits were found and among them, the amount of 30 kDa and 46 kDa subunits were found to increase slightly in April compared with those in November, while the amount of 35 kDa and 65 kDa subunits were decreased slightly. As for the myofibrilla proteins, 13 subunits were found and detectable changes in their composition were not observed until November but in April the amount of myosin heavy chain was increased by 3%, while the amount of actin decreased by 3% when those are compared with the results in November. The composition of amino acids in the muscle proteins was hardly changed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But there were considerable changes of composition of free amino acids. Glycine and alanine were found to be the major free amino acids. The most striking feature was the changes in the glycine and arginine content: the former, which is a dominant free amino acid, was increased by two-fold in April compared with that in August and the latter was increased by two-fold in November and by four-fold in April. It was also found that the amount of essential amino acids (i.e., lysine and histidine) and others (alanine, glutamic acid, serine, aspartic acid and valine)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hibernation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