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동력증가량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31초

선박의 속력성능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Ship Speed Performance)

  • 권영중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67-71
    • /
    • 2003
  • Using motions (Maruo) and wave reflection (the author), speed loss due to wind (van Berlekom) and ITTC standard spectrum, and various effects of weather(:such as weather intensity, ship type, ship size and draught) on ship speed performance at sea were investigated. Further, a comparison of the relative effects of weather and hull roughness on speed loss was also studied for a VLCC.

제강슬래그 처리 및 재활용의 최적화를 위한 분쇄 특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Milling Properties for Optimization of Treatment and Recycling of Converter Slag)

  • 구성은;황경진;김동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1139-1148
    • /
    • 2000
  • 산업 폐기물 중 다량으로 발생하는 제강슬래그의 재활용을 위하여 -14/+24mesh 정도 크기의 슬래그를 미분말로 분쇄시 최적 조건을 조사하고 경제적인 분쇄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동력을 산출하였다. 이를 위한 분쇄조건으로 ball mill의 회전속도, 분쇄시간, ball의 충진량, 시료의 충진량과 크기 등을 선정하였고 이에 대한 분쇄효율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임계회전속도의 79% 정도에 해당되는 값이 최적의 회전속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분쇄시간에 따른 분쇄정도는 일반적으로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분쇄 초기에 비해 분쇄가 더 진행될수록 분쇄효율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all의 충진율은 mill내부 용량의 50%인 경우에 최척의 분쇄효율을 보였고, 시료의 충진량과 크기에 따른 입도초사 실험 에서는 시료의 충진량이 적고 원시료의 크기가 작을수록 분쇄정도는 증가하였다. 위의 결과에 의해 Bond의 식을 사용하여 동력효율을 계산한 결과 분쇄시간이 길수록 그리고 회전속도가 최적인 조건에서 동력효율이 가장 크게 나타나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 PDF

삼중블록공중합체와 저분자량 단일중합체 혼합물의 미세상분리 동력학 (Ordering Kinetics of Triblock Copolymer/Low Molecular Weight Homopolymer Mixtures)

  • 차국헌
    • 유변학
    • /
    • 제10권2호
    • /
    • pp.65-73
    • /
    • 1998
  • 본연구에서는poystyrene-block-poly (ethlene-co-butylene)-block-polystyrene(SEBS) 삼중블록 공중합체와 저분자량 단일중합체인 Hercotac 1149 (H1149)의 70/30 (w/w) 혼합물 의 미세상분리와 그동력학을 유변물성 측정법과 SAXS 실험을 통하여 연구해 보았다. 먼저 혼합물의 미세상분리 온도를 유변물성 측정법과 SAXS 실험을 통해 각각구한 다음 샘플을 미세상분리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그이하의 온도로 급냉시킨 후 유변물성과 산란강도의 사간에 따른 변화로부터 미세상분리 동력학에 대한 정보를 구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데이터 를 Avrami 형태의 핵생성 성장(NG) 메커니즘으로 해석해 보았는데 최대산란강도 Imax 뿐만 아니라 저장 점탄성계수 G'과 손실 점탄성계수 G"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잘 예측할수 있 었다. 한편 서로다른 두 time-resolved 실험으로부터 Avrami 플롯을 그려서 구해진 Avrami 변수들은 같은 급냉 깊이에서는 서로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반감기는 급냉 깊이가 증가 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급냉 깊이가 클수록 미세상분리가 더 빨리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Avrami 지수는 급냉 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3에서 4로 급격히 변했는데 이로부터 급냉 깊이가 작을 때에는 70/30 (w/w) SEBS/H1149 혼합물 의 미세상분리가 불균일 핵생성 성장 메커니즘에 따라 진행되고 급냉 깊이가 더 커지면 미 세상분리가 스피노달 상분리 메커니즘으로 변하고 있음을 예측할수 있었다.

  • PDF

출발가속주행시 연료소모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 임계가속도 추정 (Estimation the Critical Accelerations for Fuel Consumption and CO2 Emission When Starting a Passenger car)

  • 최은진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15년 정기학술대회
    • /
    • pp.201-202
    • /
    • 2015
  • 과거 연료소모량과 오염물질 배출량을 추정하기 위한 연구에서는 주로 속도변수를 이용하였으나, 속도의 변화에 따른 연료소모량 및 오염물질 배출량의 변화를 올바르게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평가받는 것이 가속도이다. 이처럼 가속도 변수가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으나 여전히 연료소모량이나 오염물질 배출량과 관련하여 급가속을 판단할 만한 기준이 모호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료소모 및 $CO_2$ 배출량을 증가시켜 급가속으로 판단할 수 있는 가속도 임계치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가속도 임계치 및 모형추정을 위해 LPG 중형 승용차량에 장착한 차량 정보 저장장치로부터 가속 주행실험시 수집한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였다. 가속의 특성상 동일한 가속도라 할지라도 정지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동일한 가속도에 대한 연료소모량, $CO_2$ 배출량이 상이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실험을 통해 정지상태에서 가속시 관성을 극복하기 위한 동력이 요구되는 속도의 범위를 확인하고 이중 출발 가속주행시 임계가속도를 도출하였다. 가속 주행실험 결과 연료소모 및 $CO_2$ 배출 증가량이 급격히 증가되는 임계가속도를 도출하기 위해 CART 분석을 이용하였으며, 그 결과 정지 상태에서 가속하는 경우 $2.598m/s^2$, 의 가속도가 연료 및 $CO_2$ 배출량을 크게 증가시키는 임계 가속도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해운이슈 -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타결로 개방 가속화 - 관세 등의 철폐로 양국간 교역량 크게 증가할 듯 -

  • 한국선주협회
    • 해운
    • /
    • 제4호통권38호
    • /
    • pp.22-27
    • /
    • 2007
  • 한미 FTA 타결은 수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세계 1위의 경제 대국 미국과의 자유무역협정(FTA)이 타결됨으로써 우리나라는 개국에 버금가는 엄청난 변화를 맞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19세기말 강화도 조약으로 조선이 개화기를 맞았듯이 이번 FTA 타결로 우리는 개방경제의 닻을 본격 올리게 되었다. 특히 중국과 일본에 끼어 샌드위치 신세를 면치 못하던 우리가 모처럼 새 성장 동력을 얻어 동북아 지역에서 기선을 잡는 계기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해운 및 항만의 경우 양국간 교역량 증가로 해운 및 항만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다 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다음은 한미 FTA 체결에 따른 부문별 파급여파와 변화 등을 요약정리한 것이다.

  • PDF

배연탈황설비의 에너지 절약형 트레이 흡수탑에 대한 수치 해석적 연구 (Numerical Analysis of the Energy-Saving Tray Absorber of Flue-Gas Desulfurization Systems)

  • 황재민;최쌍석;정진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4권8호
    • /
    • pp.775-782
    • /
    • 2010
  • 본 연구는 대형 석탄 화력 발전소 탈황설비 내 흡수탑의 성능향상을 위하여 Tray 설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한 연구로 전산 유체역학(CFD) 기법을 이용하여 탈황설비 내 흡수탑의 내부유동을 전산해석 하였다. 흡수탑 내의 Gas와 Slurry의 거동에 대한 사실적 묘사를 위해 Euler-Lagrangian 기법을 이용한 전산해석을 수행하였다. 기존 흡수탑 내에 Tray를 설치함에 따라 탈황설비 내에서 Slurry의 체공시간 증가로 인한 펌프동력 절감과 압력강하 증가로 인한 Fan의 소요동력 증가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비교 및 고찰하였다. 그 결과 Tray를 설치함에 따라 흡수탑 내에 Slurry의 체공시간과 배기가스의 압력강하가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체공시간 증가로 인하여 절약된 동력이 압력강하에 의한 동력 소모량 증가보다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준설토 이송고효율화를 위한 유동특성의 실험적 분석 (Experimental study on flow characteristics for the high efficiency transporting of the dredged soil)

  • 김유승;이명한;이수연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71-81
    • /
    • 2016
  • 준설토 이송 시 윤활층에 전자기장을 인가하여 이송 동력을 절감하고, 송토량을 증가시키는 연구의 일환으로, 이런 전자기장 장치의 실제 적용성을 검증하고자 실현장 8.5km의 이송거리의 준설현장에 전자기장 장치를 설치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송 유속에 관계되는 운전 조건 및 토질상태와 유동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획득한 데이터를 송토량과 동력 사이의 관계로 정리하여 전자기장 인가 후 약 30%의 동력대비 이송량 증가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전자기장 인가가 준설토 이송 시 동력절감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고발열 통신용 전자부품 냉각을 위한 고성능 수냉식 냉각판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Liquid Cooled Plate for Cooling of a Communication Electronic Device with High Heat Generation)

  • 장걸;박철민;김은필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6-31
    • /
    • 2007
  • 통신용 전자기기에서 대부분의 열은 증폭기에서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증폭기를 냉각하기 위하여 공랭식을 사용하여 발생하는 많은 열을 냉각하였다. 그러나 전통적인 방법은 고성능 콤팩트화 되어가는 추세에서 발열되는 열을 충분히 냉각하기는 부족하다. 본 논문은 고발열 전자부품 냉각을 위해서 수냉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열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냉각판에 직접 냉각수를 흐르게하여 접촉저항을 줄였다. 그리고 냉각판의 유로에 대한 배열과 유량의 비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연구를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냉각수 순환량이 $3{\iota}/min$인 경우, 유로 직경이 8 mm일 때의 냉각 성능이 10 mm일 때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냉각수 순환량이 $3{\iota}/min$인 경우, 유로 직경이 8 mm일 때의 발열 소자 표면 온도 분포가 더욱 안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상하부에 설치된 발열 소자 표면 온도가 더 낮게 나타났다. 동일한 유로 직경의 냉각판에서, 열유속 증가에 따른 냉각수의 전열 성능 증가로 인해 전체 발열량의 증가율보다 발열 소자의 온도 증가율이 낮게 나타났다.

  • PDF

다양한 형상을 갖는 액화가스용 기화기의 기화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Gasification Characteristic by Using Liquefied Gas Vaporizer with Various Shape)

  • 이용훈;엘드윈 자디위나타;정한식;정효민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5-11
    • /
    • 2007
  • 액화천연가스(LNG : Liquified Natural Gas)는 연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기화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기화하는 방식에는 해수에 의한 기화와 공기에 의한 기화의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뉘게 된다. 해수에 의한 기화는 LNG 인수기지에서 대량의 LNG를 NG로 기화하기 위하여 사용하며, 공기에 의한 기화는 LNG 위성기지에서 사용처에 적합한 온도를 얻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공기식 기화기를 이용하여 기화를 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LNG가 NG로 기화하는 과정에서 1kg당 200kcal의 냉열을 외부로 방출하고 있으며, 이러한 냉열의 방출로 인하여 공기식 기화기의 표면에 결빙현상을 발생시킨다. 또한 현재 사용하고 있는 기화기는 $2{\sim}3$개의 기화기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어 그 비용의 손실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최근 사용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공기식 기화기에 관한 것으로 작동유체는 실제 LNG와 특성이 비슷한 초저온 액화가스인 $LN_2$를 사용하였다. 이번 연구에 사용된 변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각의 기화기의 길이를 4000mm, 6000mm, 8000mm으로 하였고 핀의 type을 finless, 4fin, 8fin으로 하여 적용하였다. 두 번째는 봄, 여름, 가을, 겨울철에 따른 기화기의 성능을 알고자 각각의 계절별 온도와 습도를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계절별 풍속과 실험을 하는 시간 동안의 유량을 알고자 압력을 1 bar로 적용하였다. 그리하여 이번 연구의 목적으로는 각각의 변수를 통하여 실험을 진행 한 후 vaporizer type과 길이에 대한 최적의 성능을 가지는 기화기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기성분은 균주에 따른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경향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알코올 발효 균주에 따른 참다래 와인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고급알코올함량을 비교하였을 때 Sacch. cerevisiae Wine 3이 와인제조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홍국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b값은 CSB가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홍국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물성측정 결과 경도와 응집성은 각 시료들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탄력성과 부서짐성은 CSB가 가장 낮았으며, 홍국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점착성은 SDB1이 가장 낮았으며, 홍국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기공의 균일성은 SDB1이 가장 균일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색은 홍국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경도, 탄력성, 단맛 및 신맛 등은 홍국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취는 SDB1이 가장 적게 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기호도는 SDB1이 가장 높았다. 따라서 홍국을 10% 첨가한 sourdough starter를 3일 동안 발효한 후 반죽에 첨가하여 sourdough bread를 제조할 때 품질이 가장 우수한 제품을 얻을 수 있었다.생수와 여러 물질의 혼합용액의 온도가 장에 끼치는 자극에 차이가 있지 않나 추측되며 이에 관한 추후 연구가 요망된다. 총대장통과시간의 단축은 결장 분절 모두에서 줄어들어 나타났으나 좌측결장 통과시간의 감소 및 이로 인한 이 부위의 통과시간 비율의 저하가 가장 주요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차가운 생수 섭취가 주로 결장 근위부를 자극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아닌가

  • PDF

Pharmacokinetics of Carbapenem Antibiotics in Rats and Guinea pigs

  • Nam, Kweon-Ho;Chang, Woo-Ik;Park, Moon-Jung;Kim, Ji-Yeon;Park, Nam-Jun;Yu, Young-Hyo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28-228
    • /
    • 1996
  • 1, 흰쥐에서 IPM 단독투여시보다 DHP-I 저해제인 CS와의 병용투여시 AUC가 4배 이상, t$_{1}$2/가 약 3배 증가하였으며 MEPM의 경우는 AUC가 5배 이상, t$_{1}$2/가 약 1.8배 증가하였다. 2. Guinea pig에서 IPM 단독투여시보다 CS와의 병용투여시 AUC가 약 2.5배, t$_{1}$2/가 약 1.4배 증가하였으며 MEPM의 경우는 AUC, t$_{1}$2/ 모두 거의 변함이 없었다. 3. 위의 결과 흰쥐에서 IPM과 MEPM에 대한 CS의 영향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약물동력학적인 파라메타에도 커다란 변화를 주었다. 반대로 Guinea Pig에서는 CS의 병용투여로 IPM의 AUC에만 변동을 주었을 뿐 t$_{l}$ 2/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MEPM의 체내동태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Guinea pig에서 전체 투여량에 대한 MEPM의 요중회수율은 66.58$\pm$3.44%이었고 IPM의 경우는 7.00$\pm$0.95%이었다. 그러나 DHP-I 저해제인 CS와의 병용투여시 IPM의 요중회수율이 57.77$\pm$11.46%로 증가하여 MEPM과 거의 비슷한 양상을 나타냈다. 이는 guinea pig에서 DHP-I에 의한 IPM의 대사가 CS에 의해 차단됨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사료되며 guinea pig에 존재하는 DHP-I은 MEPM보다 IPM에 대해 더 높은 친화도를 갖는 것으로 사료된다. 5. Carbapenem계 항생제의 약물동력학적 스크리닝을 위한 소동물로는 흰쥐보다도 guinea pig가 적합한 것으로 생각되나 동물종차에 의한 약물동력학적 연구 및 DHP-I의 활성에 대한 연구가 더 면밀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BO-2727, panipenem, biapenem 등 다른 carbapenem 항생제에 대한 광범위한 약물동력학적 연구가 진행되어 새로운 carbapenem계 항생제 개발에 따른 인체내 거동을 예측할 수 있는 치적의 실험동물모델이 확립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