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동력전달 메카니즘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9초

구면무단변속기를 적용한 병렬형 하이브리드차량 동력전달계 설계 (Design of a Parallel Hybrid Vehicle Powertrain with Semi-Spherical CVT)

  • 김정윤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8-23
    • /
    • 2009
  • 구면무단변속기(SS-CVT)는 구조가 간단하여 변속기구의 부피와 무게를 기존의 변속기구에 비하여 줄일 수 있으며, 별도의 클러치 없이 출력축의 정회전, 역회전 그리고 중립상태 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구면무단변속기의 기구적 특징과 변속메카니즘을 이용하여 직류모터와 가솔린엔진을 장착한 병렬형 하이브리드차량의 동력전달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구면무단변속기의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하고 전용 실험장치를 제작하여 무단변속성능을 검증하였다. 또한 직류모터를 보조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병렬형 하이브리드차량 동력전달계의 설계를 위해 연결기어비와 구면무단변속기의 변속비를 차량주행성능에 맞추어 설정하였으며, 이를 차량가속성능의 수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구면무단변속기의 하이브리드차량 동력전달계의 적용가능성을 검증하였으며, 연구결과로 선정된 구성요소의 설계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시작차량을 제작하였다.

  • PDF

디스포저블 관절경 수술기의 개발 (A Development of Disposable Arthroscopic Shaver)

  • 지영준;임찬양;윤재웅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2권10호
    • /
    • pp.218-224
    • /
    • 2005
  • Arthroscopy is a surgical procedure orthopedic surgeons use to visualize, diagnose and treat problems inside a joint. In usual, since the arthroscopic surgery is more accurate and minimally invasive than through 'open' surgery, the surgery of knee, shoulder, and wrist using auto-shaver is increasing in recent. However, repetitive use of arthroscopic-shaver may induce the second infection, hence the disposable arthroscopic-shaver should be developed. In this paper, a uniqu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using DC motor, gear trains, and link mechanism is proposed for disposable arthroscopic-shaver and some test results of tissue cutting are introduced.

워블메커니즘을 이용한 인버젼 기구의 개발 (Development of Inversion Machine Using Wabble Mechanism)

  • 김형준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6호
    • /
    • pp.5-8
    • /
    • 2006
  • 본 논문은 '거꾸리'라고도 불리는 스트레칭 운동에 이용되는 인버젼 기구의 사용성을 워블메카니즘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개선시킨 가정용 인버젼 기구의 디자인 개발에 관한 것이다. 근래 현대인의 삶에서 건강이 생활의 중심으로 대두되면서 운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났고, 전신 스트레칭이 과다한 업무나 운동의 부작용으로 인한 디스크의 압박 해소에 효과적임이 일반인에게 널리 알려지면서 인버젼 기구의 사용자가 증가하게 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수동 인버젼 기구는 사용자가 테이블의 회전을 위해 무게 중심을 일일이 조정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미숙련자들에게는 사용 미숙으로 인해 테이블이 갑자기 회전하는 안전사고 위험 등의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작고 단순한 구조로 큰 감속비를 내며 역전이 방지되는 워블메카니즘을 테이블의 회전 장치와 발목을 고정하는 장치에 도입함으로써 수동 조작 방식에서 자동 방식으로의 개선을 가능하게 하였다. 그 결과, 다양한 신체 조건의 사용자들에게 편리성과 안전성을 높여 주었고, 동력전달 장치 구조의 단순화를 통한 디자인 외부 요소의 단순성을 구현하였다. 이에 가정에서 사용자의 사용이 편리하고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한 접이식 가정용 인버젼 기구를 개발하였다.

  • PDF

볼 벨런싱 로봇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Ball-Balancing Robot)

  • 김지태;김대영;이원준;진태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63-466
    • /
    • 2017
  • 본 논문의 내용은 기존의 차륜식 로봇과는 차별화된 전-방향 구동이 가능한 모듈 개발을 통하여, 기존 모듈의 이동로봇이 가지는 단점인 측면주행성능 저하, 단순 작업주행 경로, 회전-직진 반복 주행으로 인한 불필요한 주행소요시간의 증대 등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볼-벨런싱 로봇을 구동하기 위한 전-방향 구형휠 구동모듈은 3개의 로터캐스터를 이용한 로봇의 전-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동력전달 메커니즘과 주행을 위한 알고리즘 개발이 요구된다. 3DoF(축) 전-방향 이동 알고리즘이 내장된 드라이버가 모듈에 내장되고, 주행 방향 및 속도를 위한 3DoF(축)의 구동 모터 모듈이 장착된다. 이동 메커니즘으로는 각 구동바퀴의 회전 벡터 합에 따른다. 두 개 또는 세 개의 구동바퀴의 회전과 벡터 합에 따른 다양한 이동방향을 만들어 낼 수 있다. 각 구동바퀴의 회전 벡터장의 여하에 따라 다른 방향으로도 이동이 가능하다. 전-방향 이동을 위한 보다 혁신적인 전-방향 구형휠 구동모듈이 개발되면, 이동로봇의 구동부에 사용되어 로봇의 성능을 기술적으로 좀 더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구동모듈이 적용된 전-방향로봇 플랫폼을 통하여 기존 차륜식 로봇의 경우 각종 환경에 대한 저항성으로 인해 연속 직진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어서 미주, 유럽과 같은 환경에서 적용될 수 있는 청소로봇, 이동로봇뿐만 아니라 전-방향 주행 기능이 요구되는 안내로봇, 탑승형 로봇, 이동수단 등에 필수적인 기술이 될 것이고 지능형서비스로봇 시장과 미래형 자동차시장의 확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