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력발전시스템

Search Result 151,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Analysis of Development Trend for the Integrated Power System of Naval Vessels to Perform the High-Power and Energy Mission Load Platform (고출력 에너지 사용 체계 플랫폼 실현을 위한 해군함정의 통합 동력 시스템 발전 경향 분석)

  • Lee, Hyung-Min;Cho, Byung-Jin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5 no.6
    • /
    • pp.796-801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work presented here was focused on analysis of development trend for the integrated power system of naval vessels to perform the high-power and energy mission load platform. These mission loads are affected by the high level of military technologies, digitalization of the ocean battlefield, high power sensor system for maximization of the ship survivability. All electric power including propulsion power for ship should be controlled by integrated single system in order to carry various high power density weapon system such as Electromagnetic Aircraft Launch System, Electromagnetic Rail Gun[feasible precision striking at long distance 200NM(370km) or over]. As the analyzing the present state of things, mechanical propulsion system is shifted into hybrid or fully electric propulsion systems to realize integrated power system at the developed countries. Such challenges include reduced dependency on foreign-supplied fossil fuel, increasing demand for installed ship power, controlling life-cycle costs.

A Study on Design of the Compensation System for Wind Energy Generation by Power Storage Apparatus (동력저장장치를 이용한 풍력발전 보상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 윤석암;차인수;백행래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6 no.1
    • /
    • pp.43-48
    • /
    • 2001
  • In conventional wind generation systems, since the blade rotates at low speed when the velocity of wind decreases their operations are possible only under limited conditions. Therefore they are in trouble of self-generation without the help of auxiliary generation devices outside. In addition, most of them have very low usage efficiency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 changes of wind. For the solution of these problems and for enough generation regardless of districts and geographical features the rotation energy stored in a spring drives a compact generator and then electric power is stored at battery and supplied to the load continuously according to the lack of wind force. In this paper, the fabricated system consisting of a wind generator and power storage apparatus was introduced and its operation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 PDF

Analysis of Output Power Characteristics for Inshore Wave Power Generation System (연근해 파력발전 시스템의 출력 특성 분석)

  • Han, Sang-Heon;Yoon, Young-Doo;Sung, Yongjun;Choi, Yoon-hoi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5.07a
    • /
    • pp.279-28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연근해 파력발전 시스템을 제안한다. 바다에는 부력체와 동력전달부만을 설치하고, 나머지 시스템은 육상에 설치하여, 기존의 원해 파력발전 시스템에 비해 초비 투자 비용이 저감된다. 연근해 파력발전 시스템의 축소 모형을 제작하였으며, 이를 통해, 연근해 파력발전 시스템의 출력 특성을 분석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의 출력 특성이 풍력발전 시스템의 특성과 비슷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실현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 PDF

동력 의족의 기술 동향

  • Gyeong, Gi-Yeong;Lee, Yeong-Sam
    • ICROS
    • /
    • v.21 no.2
    • /
    • pp.31-38
    • /
    • 2015
  • 의족은 선천적 또는 후천적으로 하지의 일부를 상실한 사람의 신체를 대신하는 보조기구이며, 의족의 가장 이상적인 목표는 사람의 신체를 온전히 대체하는 것이다. 기존의 수동 의족은 신체의 구조적인 해석과 기계적인 에너지 보존을 통하여 절단 환자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선에서 그쳤지만, 최근에는 로봇 공학과 반도체 공학 등 다양한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의족에서도 동력을 사용하여 근육의 역할을 대신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기술 논문에서는 하지 절단 환자를 보조하기 위한 동력 의족을 사람의 신체와 비교하여 어떤 기구적인 제약조건을 가지고 있는지 설명하고, 정상인의 보행과 동력 의족의 구동 알고리즘을 비교함으로써 동력 의족에서 사용하고 있는 유한 상태 제어기의 한계점에 대해 언급한다. 마지막으로 근전도를 활용한 동력 의족을 통해 새로이 시도되고 있는 의지적 제어에 대해 소개하고, 동력 의족의 연구가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다.

  • PDF

풍력발전시스템용 증속기 설계에서 치형 전위가 동하중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이근호;이용범;최용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98-98
    • /
    • 2004
  • 풍력발전시스템은 풍력을 동력원으로 하여 풍차 블레이드를 회전시킴으로 발생하는 동력이 발전기를 작동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무공해 발전시스템의 하나로서 현재 대체 에너지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저 회전 고 토크 특성의 풍력에너지를 고 회전 저 토크 특성으로 작동되는 발전기로 전달하기 위하여 증속기를 사용한다. 풍력발전시스템용 증속기는 지상에서 높고 제한된 공간 내에 위치하게 되어 보수가 용이하지 못하므로 최적화한 구조 및 높은 신뢰수명이 요구된다.(중략)

  • PDF

초점기획- 1. STEPI 국제심포지움 「신흥공업국의 기술혁신과 경쟁력」주제발표(요약)자료

  • Science & Technology Policy Insisute
    • Science & Technology Policy
    • /
    • v.7 no.7 s.100
    • /
    • pp.22-36
    • /
    • 1997
  • 목차 1. 학습경제에서의 발전 전략 2. 개발도상국의 산업화과정에서 연구개발과 기술이전의 역할 3. 전환기를 맞은 한국의 기술혁신시스템 4.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의 기술혁신시스템 5. 수요기업의 진입과 한국 자본재산업의 발전 6. 계약, 기업능력 그리고 경제발전: 신흥공업국에 대한 함의 7. 인터넷 기반의 국가혁신시스템이 아시아에 주는 의미 8. 국제기술협력과 기업의 동력 :NIEs의 의미 9. 삼성반도체의 동태적 기술경영능력에 대한 사례연구 10. 수평적 기술정책에 대한 학습론적 접근: 진화론적 인식 11. 아시아 신흥공업경제국가들의 효과적인 기술혁신 12. 한국의 산업발전과정에서 과학기술정책의 역할

  • PDF

A Study on Performance Evaluation and Development of 1kW Linear Generation System using Hydrogen Fueled Power (수소연소 동력시스템용 1kW급 리니어 발전기 개발 및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 Noh, Tae-Seok;Kong, Min-Seok;Lim, Hee-Su;Oh, Si-Doe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28-32
    • /
    • 2007
  • 최근 대두되고 있는 에너지 문제와 더불어 대체에너지 개발 및 에너지의 이용효율을 높이려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수소에너지는 비 탄소계 연료로서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수소에너지를 이용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수소는 재순환이 가능하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기 때문에 미래형 에너지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수소이용 기술 중 연료 전지는 에너지 변환효율이 높고 유해 배출물이 생성되지 않아 차세대 발전시스템으로 유망하지만 비용과 기술적 제약으로 단기간에 상용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저비용, 고효율의 수소에너지를 이용 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리니어동력/발전시스템은 저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기존 기술의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는 장정과, 크랭크 기구가 없기 때문에 얻어지는 변환손실, 열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율의 장점 때문에 고효율의 수소 이용 기관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소이용 통력시스템의 직선운동을 전기적인 에너지로 변환 할 수 있는 고효율의 리니어 발전시스템 개발을 위해 Prototype의 평판형 및 원통형의 리니어발전기를 제작했고 각각의 성능에 대한 평가와 엔진과 발전기의 연계운전 결과를 비교하여 시스템 전체에 대한 성능예측을 했으며 연계운전을 통해 출력된 발전기의 출력파형을 PCS로 변환하여 정현파의 AC 출력을 얻었다.

  • PDF

PCS Design for Hydrogen Fueled Linear Power/Generator System (수소연소 리니어 동력/발전 시스템용 PCS 개발)

  • Choi, Jun-Young;Lee, Seung-Hee;Jeong, Seong-Gi;Oh, Si-Doek;Suh, In-Young;Baek, Seung-Tae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8.10a
    • /
    • pp.184-186
    • /
    • 2008
  • 리니어 발전기는 리니어 엔진의 시동에 필요한 연소조건을 만들기 위하여 전동기로 동작하다가 연소가 안정화되면 발전기로 동작을 하여 PCS(Power Conditioning System)를 통해서 전력을 계통으로 보내주게 된다. 리니어 엔진의 초기 시동을 하기 위하여 발전기는 운동주파수와 운동방향, 그리고 힘의 크기를 제어해야 하며, 발전 시에는 엔진의 동작에 맞도록 전력을 제어해야 한다. 이를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MSC(Machine Side Converter)에서 상전류를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H-bridge로 각 상을 구성하였다. LSI(Line Side Inverter)는 DC-Link 전압을 제어하여, MSC의 동력/발전 동작에 따라서 전력을 계통에서 받아오거나 전력을 계통으로 보내는 동작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리니어 발전기 모델링를 통해서 PCS 제어 알고리즘을 확인하고 전체 시스템과 연동을 한 실제 운전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