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동래(東萊)

검색결과 153건 처리시간 0.029초

골프장에서 등얼룩풍뎅이(Exomala orientalis) 유충의 표본추출과 분포 (Sampling and Distribution of Exomala orientalis (Coleoptera: Scarabaeidae) Larvae, in Golf Courses)

  • 이동운;신종창;권태웅;추호렬;이상명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7-106
    • /
    • 2002
  • 우리나라 골프장 잔디에 가장 심한 피해를 주는 풍뎅이류의 하나인 등얼룩풍뎅이의 골프장 환경에 적합한 표본추출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동래베네스트 골프장에서 수행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303$\pm$32마리/m$^2$의 밀도를 보이는 등얼룩풍뎅이 유충 피해지에서 표본의 크기와 추출 횟수별에 따른 실측치와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5$\times$5cm와 10$\times$10cm, 20$\times$20cm, 30$\times$30cm, 40$\times$40cm의 표본 크기를 횟수를 달리하여 실제값과의 차이를 비교한 바 표본의 크기가 커질수록, 횟수를 많이 할수록 오차가 줄어들었다. 20$\times$20cm의 표본 크기에서 4반복 이상 표본 추출을 할 경우 95% 이상의 정확성을 보였다. 골프장에서 등얼룩풍뎅이 유충 밀도는 조사년도와 코스 부분(티, 페어웨이, 러프, 그린)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초중등학교의 암석원을 둘러보고 (Researching the Rock Garde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 소현숙;성종규;김민석;윤성효
    • 암석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05-108
    • /
    • 2018
  • 부산시교육청 동래교육지원청 관내 초등학교 60개, 중학교 34개, 고등학교 28개 등 모두 122개 학교를 대상으로 2017년 3월부터 2018년 6월까지 16개월 동안 학교 교재원으로서의 암석원을 현장 방문으로 조사하였다. 암석원이 조성된 학교는 122개 학교 중 29.51%인 36개였으며 초등학교는 40.0%, 중등학교(중학교, 고등학교)는 18.18%가 설치되어 있었다. 조사항목은 암석원 암석표본이 교육과정과 관련되는가? 표본 이름이 맞는가? 설명판 내용이 적합한가?로 초등학교의 경우 교육과정과의 관련성이 평균 36.7%, 표본 이름이 맞는지는 평균 55.1%, 설명판 내용이 알맞은지는 평균 55.5%로 나타났다. 중등학교는 교육과정과의 관련성이 평균 83.9%, 표본 이름이 맞는지는 평균 82.8%, 설명판의 내용이 알맞은지는 평균 84.1%로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높게 나타났다.

비금속광상의 황화광염대에 수반되는 산성광산배수의 형성과 지질환경의 오염 : 동래납석광산 산성광산배수의 형성에 관한 반응경로 모델링 (Formation of Acid Mine Drainage and Pollution of Geological Environment Accompanying the Sulfidation Zone of Nonmetallic Deposits: Reaction Path Modeling on the Formation of AMD of Tongnae Pyrophyllite Mine)

  • 박맹언;성규열;고용전
    • 자원환경지질
    • /
    • 제33권5호
    • /
    • pp.405-415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formation of acid mine drainage (AMD) by pyrophyllite (so-called Napseok)-rainwater interaction (weathering), dispersion patterns of heavy metals, and patterns of mixing with non-polluted water in the Tongnae pyrophyllite mine. Based on the mass balance and reaction path modeling, using both the geochemistry of water and occurrence of the secondary minerals (weathering products), the geochemical evolution of AMD was simulated by computer code of SOLVEQ and CHILLER. It shows that the pH of stream water is from 6.2 to 7.3 upstream of the Tongnae mine. Close to the mine, the pH decreases to 2. Despite being diluted with non-polluted tributaries, the acidity of mine drainage water maintains as far as downstream. The results of modeling of water-rock interaction show that the activity of hydrogen ion increases (pH decreases), the goncentration of ${HCO_3}^-$ decreases associated with increasing $H^+$ activity, as the reaction is processing. The concentration of ${SO_4}^{2-}$first increases minutely, but later increases rapidly as pH drops below 4.3. The concentrations of cations and heavy metals are controlled by the dissolution of reactants and re-dissolution of derived species (weathering products) according to the pH. The continuous adding of reactive minerals, namely the progressively larger degrees of water-rock interaction, causes the formation of secondary minerals in the following sequence; goethite, then Mn-oxides, then boehmite, then kaolinite, then Ca-nontronite, then Mgnontronite, and finally chalcedony. The results of reaction path modeling agree well with the field data, and offer useful information on the geochemical evolution of AMD. The results of reaction path modeling on the formation of AMD offer useful information for the estimation and the appraisal of pollution caused by water-rock interaction as geological environments. And also, the ones can be used as data for the choice of appropriate remediation technique for AMD.

  • PDF

경험론적 방법을 이용한 암반사면재해 취약성 분석 (Susceptibility Analysis for Rock Slope Hazard Using the Empirical Method)

  • 김재민;최정찬
    • 지질공학
    • /
    • 제24권4호
    • /
    • pp.473-48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 중심부에 위치한 황령산의 암반사면 재해 취약성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산사태 재해위험지도를 작성하였다. 황령산은 동래단층 및 일광단층 사이에 위치하며 퇴적암, 안산암질 화산암류, 안산암, 반려암 및 화강암질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기존 연구에서의 절리자료, 암반강도 등의 데이터베이스와 야외조사를 통해 얻어진 자료를 대상으로 ArcGIS를 이용한 요소별 주제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의 점검표를 활용한 경험론적 방법으로 황령산 일대의 암반사면재해 취약성을 나타내었다. 연구결과 황령산 일대의 암반사면은 매우 안정-안정 영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나 과거 산사태 발생지와 인접지역은 중간정도의 안정성을 나타내고 있다.

3차원 공간정보 기술을 활용한 지반정보 활용시스템 개발 (Geotechnical Information Application System Using 3D Geo-Spatial Information Technique)

  • 이지영;장용구;강인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2D호
    • /
    • pp.335-342
    • /
    • 2011
  • 현재 국토해양부에서 구축 및 제공 중인 지반정보는 전 국토를 대상으로 약 10만 공 정도이다. 그러나 지반정보 DB가 2차원적인 기능으로 제공되고 있기 때문에 지반의 해석 및 설계 업무에서의 활용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반정보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하여 3차원 공간정보 기술기반의 지반정보 활용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먼저, 부산광역시의 만덕과 동래의 일부 지역을 대상으로 지반정보 활용시스템을 적용하였다. 또한, 10명의 지반정보 관련 전문가들로부터 설문조사 및 의견수렴을 시행하여 시스템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3차원 기반의 사용자 중심의 지반정보 활용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었으며, 적용성 검토 수행을 통하여 활용 가능성을 충분히 확인할 수 있었다.

개항장으로서의 부산항과 기록 (As an Open Port, Busan Port and Related Records)

  • 송정숙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73-298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부산항이 개항장으로 거듭나면서 조선과 일본을 비롯한 국가 간에 체결한 조약과 조선과 일본이 부산항에 설치한 기관과 그 기관이 생산했거나 관련된 기록들, 그리고 부산항의 개발과정에서 생산하거나 관련된 기록들을 살펴봄으로써 개항기와 식민지 시기 부산항을 중심으로 부산에 관한 로컬리티를 재현하는 데 필요한 맥락을 분석하였다. 일본은 조선과 조약을 체결해 가면서 부산항을 중심으로 일본인의 활동범위를 확대하고 초량왜관을 전관거류지로 함에 따라 이 지역을 중심으로 일본영사관, 상업회의소 등을, 조선은 동래감리서, 개항장재판소 등을 설치하였다. 부산항의 개발과 관련해서는 조선총독부 관보 등에 당시 상황들이 잘 나타나 있으나, 관련 기록이 규장각과 국사편찬위원회와 부산시민도서관에도 상당량이 소장되어 있었다. 개항 이후 부산항의 개발과 변모에 관련된 기록들을 국내뿐 아니라 국외에 소장되어 있는 자료들을 망라적으로 수집하여 생산기관별 기록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이다.

도시지역의 홍수위험 매트릭스 개발 및 활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Flood Risk Matrix in Urban Area)

  • 최영제;안재황;차대성;이재응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9년도 학술발표회
    • /
    • pp.64-64
    • /
    • 2019
  • 도시지역은 인구 및 사회인프라시설 등이 밀집되어 있어 홍수 발생 시 타 지역에 비하여 큰 피해가 발생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7년 부산 지역과 2018년 서울 지역에 시간당 최대 100 mm 이상의 강우가 발생하여 인명 및 재산피해를 발생시켰다. 이러한 도시홍수 피해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수방시설물의 유지관리 뿐만 아니라 한정적인 물자와 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홍수예보 방안이 필요하며 정확도 높은 기상예보가 수반되어야 한다. 현재 지자체에서는 기상청의 기상특보를 활용하여 홍수대응을 실시하고 있으나 이는 전국적으로 동일한 기준으로 각 지역의 홍수특성을 반영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국내에서는 정확도 높은 기상예측을 위해 다양한 기상 수치예보모델을 활용하고 있으나 급변하는 기상상황을 정확히 예측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수치예보모델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현재 영국에서는 강우 앙상블 자료를 활용한 영향예보 도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영향예보란 단순 기상상황 뿐만 아니라 기상현상이 발생시킬 수 있는 위험수준과 그 위험수준이 발생할 확률을 함께 예보하는 방안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 동래구 지역을 대상으로 과거 피해 발생 강우량 및 지역의 확률강우량 등을 활용하여 지역특성에 맞는 총 4단계의 강우기준을 제시함과 더불어 기상현상의 발생확률을 조합한 홍수위험 매트릭스(Flood Risk Matrix)를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홍수위험 매트릭스의 활용성 평가를 위해서는 2016년, 2017년 기상청에서 산출한 국지규모 앙상블예측시스템(Local Ensemble Prediction System, LENS)의 강우 앙상블 자료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짧게는 24시간 전, 길게는 72시간 전에 홍수피해 발생의 예보가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 지역을 확대하여 각 지역에 적합한 홍수위험 매트릭스를 개발하고, LENS자료를 활용한 활용성 평가를 통해 실무에 적용 가능한 홍수예보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 PDF

부산시 향토음식과 음식점의 인지도에 따른 차이, 구매의도, 중요도-만족도의 분석 (A Study on Analysis of Differences, Purchase Intentions and Importance-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of Local Foods and Restaurants in Busan)

  • 김헌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1호
    • /
    • pp.45-52
    • /
    • 2021
  • 본 연구는 부산지역의 향토음식과 음식점에 대한 인지도의 중요도-만족도, 인지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정하고자 t-검증과 ANOVA 분석방법 사용하여 지역에 따른 차이, IPA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조사대상은 부산지역 향토음식점을 찾은 관광객을 대상으로 2021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 간 실시를 하였고, 최종 392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산지역 향토음식의 인지도는 이용객의 지역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에서 전 표본에서 돼지국밥, 밀면, 곰장어구이·짚불곰장어, 장어구이·아나고회 순으로 인지도는 높게 나타났고, 반면 산성염소불고기, 동래파전, 산성막걸리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부산지역 향토 음식점의 중요도-만족도 간의 차이에서 '타 지역과 비교하여 차별적인 맛이 있다'는 높은 만족도와 중요도를 나타내고 있다. 셋째, 부산지역 향토음식점의 인지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분석에서 서비스, 시설, 가격이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고, 지역성과 청결성은 기각이 되었다.

포아송 클러스터 강우 모형을 이용한 미래 시단위 이하 강우의 추계학적 모의 (Stochastic simulation of future sub-hourly rainfall using Poisson cluster rainfall model)

  • 박정하;김동균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284-284
    • /
    • 2023
  • 도시 침수의 발생과 규모는 도시 유역이 가지는 짧은 도달 시간으로 인하여 주로 시단위 이하의 짧은 지속시간의 강우의 극한 및 변동성에 따라 결정된다. 미래 기간에 대하여 도시 수문 시스템의 적정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시단위 이하 강우의 특성을 살펴보아야한다. 그러나 기후변화 영향 평가 도구로 활용되는 기후 모형들은 대부분 일단위의 결과물을 제공하여 시단위 이하의 미세 규모 강우의 특성을 나타낼 수 없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후 모형 모의 결과와 포아송 클러스터 강우 모형을 이용하여 미래 시단위 이하 강우 시계열을 모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첫째로, 포아송 클러스터 기반 강우 생성 알고리즘과 폭풍우 재배열 알고리즘을 결합한 최신 모형을 선정하였다. 해당 모형은 광범위한 시간 규모에서 관측된 강우량의 주요 통계와 극값을 재현할 수 있는 모형이다. 그 다음 강우 모형에 적합시킬 관측 강우량 통계(평균, 분산, 공분산, 왜도, 우기 비율)를 계산하였다. 둘째, 강우 통계 간의 선형 관계를 도출하였다. 여기서는 클러스터에 있는 모든 관측소의 통계를 사용하여 회귀의 신뢰도를 높였다. 셋째, 강우 평균 조정을 위한 Change Factor는 제어(2000~2019년) 및 미래(2041~2070년) 기간의 기후 모형 자료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넷째, 조정된 15분 강우 평균은 관측 평균에 Change Factor을 곱하여 계산하고 조정된 강우 평균과 통계 간의 관계를 사용하여 미래 강우 통계 세트를 추정하였다. 여러 통계 세트를 생성한 후 마지막으로 미래 통계에 강우 모형을 적합시켜 최종적으로 미래 시단위 이하 강우 시계열을 모의하였다. 이 방법은 CMIP6에 참여하는 기후 모델의 기후 예측 데이터를 사용하여 용산(415) 및 동래(940) AWS 관측소에 적용되었다. 두 관측소의 미래 강우 모의 결과, 시단위 이하 시간 규모에서 극값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 PDF

굴패각 및 고로슬래그 산업부산물을 재활용한 콘크리트 투수블록의 제조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Manufacturing Permeable Concrete Blocks from Recycled Industrial By-Products of Oyster Shell and Blast Furnace Slag)

  • 어석홍;허원석;하상훈;이창열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6권6_2호
    • /
    • pp.1135-1144
    • /
    • 2023
  • In this paper, bending strength and permeability tests were conducted on concrete permeable blocks manufactured by recycling industrial by-products of oyster shell and blast furnace slag to measure and compare bending strength and permeability coefficient, and present experimental research results. To this end, a total of 54 specimens with a size of 200x200x60mm for surface layer and base layer were manufactured, and bending strength and permeability test were carried ourt accoridng to KS F 4419. Eighteen types of mixing designs were implemented by varying the mixing and replacement rates of oyster shells and blast furnace slag.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higher the mixing ratio of oyster shell, the lower the bending strength and the permeability coefficient. Thereafter, a total of three permeable blocks with dimensions of 200x200x60mm were manufactured and subjected to bending strength and permeability tests according to KS F 4419. As a result of the test, the bending strength satisfies the standard of KS F 4419, and the permeability coefficient is 12 times higher than the standard of KS F 4419. It seems that the proper mixing of oyster shells and blast furnace slag increases the amount of air, and further research on durability and economic feasibility of materials used to manufacture permeable blocks is requ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