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동남권

검색결과 186건 처리시간 0.031초

감염 전담 병동 간호사의 COVID-19 환자 간호업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Nurses' Performance of Care in COVID-19 Wards)

  • 김윤선;김미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678-688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nurses' performance of care in COVID-19 ward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32 nurses who worked in COVID-19 wards at three hospitals, and were recruited from April 1 to May 31, 2021.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WIN 24.0 program. Results: Nursing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ethical sensitivity (r = .75, p < .001), nursing professionalism (r = .67, p < .001), and social support (r = .67, p < .001). Nursing professionalism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thical sensitivity (r = .64, p < .001) and social support (r = .55, p < .001).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nursing performance revealed that the most significant factor was ethical sensitivity (β = .47, p < .001). Ethical sensitivity, nursing professionalism, and social support explained 66.0% of total variance in nursing performance. Conclusion: Ethical sensitiviy, nursing professionalism, and social support significantly influence nurses' performace of care in COVID-19 wards. It suggests that intervention programs should be directed at improving nurses' ethical sensitivity, bolstering social support, and enhancing nursing professionalism.

한국형 위성항법 시스템(KPS)을 활용한 메가시티 UAM 운용방안 (How to Operate UAM in Megacities Using Korean Positioning System)

  • 조상근;차도완;이돈구;이동민;심준학;박상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3호
    • /
    • pp.259-263
    • /
    • 2022
  • 우리나라는 도시화의 진전으로 수도권, 중부권 및 동남권 중심으로 메가시티가 형성되고 있다. 또한, 미래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메가시티에서 운용할 수 있는 도심항공 모빌리티(UAM)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우주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2035년까지 자체적인 위성항법시스템(KPS)을 구축할 예정이다. 따라서 도심항공 모빌리티와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위치정보 서비스를 복합하여 활용한다면 미래 메가시티에서 안정적으로 도심항공 모빌리티를 운용할 수 있을 것이다.

패널분석을 이용한 6대 권역별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환경규제와 경제성장 간의 상호관계분석: EKC(환경쿠즈네츠곡선)가설을 중심으로 (The correlation among the GHG (Greenhouse Gas) emission, energy consumption and economic growth for the 6 specific regions in Korea by using Panel approaches:By Testing of the EKC(Environmental Kuznets Curve))

  • 박추환
    • 환경정책연구
    • /
    • 제12권2호
    • /
    • pp.59-86
    • /
    • 2013
  • 1988년부터 2008년까지의 자료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6개 권역을 대상으로 권역별 소득, 환경규제, 오염유발원이 각 권역별 대기오염 물질(황산화물, 질소산화물, 총먼지, 일산화탄소)에 미치는 영향을 지역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즉, 환경 쿠즈네츠 곡선(EKC)가설 검증차원에서 공해배출과 경제성장 간의 관계를 패널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산업시설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황산화물(SOx)의 경우 대부분의 권역에서 EKC가설이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질소산화물(NOx)과 총먼지(TSP)의 경우 6개 권역 중 대경권에서만 EKC가설이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 으며, 일산화탄소(CO)의 경우에도 EKC가설을 충족시키는 권역은 중부권, 호남권, 동남권에 한정되어 있었다. 또한 각 권역별 대기오염 단속규제가 대기오염과 정(+)의 관계를 보임에 따라 환경규제효과가 나타난다고 보기 어려우며, 각 권역별 연료소비와 석유화학제품의 특화 또한 권역별 대기오염을 증가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 PDF

국립부산과학관 천문교육과 행사 (Astronomy Education and Public Events of Busan National Science Museum)

  • 박혁;최준영
    • 천문학회보
    • /
    • 제41권2호
    • /
    • pp.45.3-45.3
    • /
    • 2016
  • 2015년 12월에 개관한 국립부산과학관은 동남권 유일의 종합과학관으로 천문교육을 위한 천체관측소와 천체투영관을 보유하고 있다. 천체관측소에는 국내 최대규모의 구경 350mm 굴절망원경을 포함 다양한 천체관측 및 교육장비를 갖추고 있고, 천체투영관에는 디지털식 투영기와 직경 17m의 돔스크린, 133석 규모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천문시설은 일반개인관람, 학교단체교육, 학교 및 가족이 참여하는 1박 2일 캠프프로그램, 천문행사 등에 활용되고 있다. 개관 1주년을 바라보고 있는 시점에서 지속적인 천문 교육수요 창출을 위해 보다 효율적인 운영방법모색 및 다양한 컨텐츠를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2021년 부산에서 개최되는 제31차 국제천문연맹총회(IAUGA)에서의 국립부산과학관의 역할을 증대시키고자 한다. 이번 발표에서는 국립부산과학관의 천문시설의 활용 현황을 소개하고 타 기관의 우수 사례를 공유하여 국립부산과학관 뿐만 아니라 전국 천문교육의 지속적인 발전 방법을 논의하고자 한다.

  • PDF

동남권 잔골재수급 부족 문제를 해결할 대체골재 확보 가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Securing Alternative Aggregates to Solve the Problem of Supply and Demand of Fine Aggregate in Southeast Region)

  • 김하석;이도헌;김진만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8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328-329
    • /
    • 2018
  • The problem of imbalance between supply and demand of fine aggregates in the southeastern region due to the decrease in collection of EEZ(Exclusive Economic Zone) sea sand has been raised. In this paper, the possibility of securing alternative aggregate as a means to solve the problem of fine aggregate shortage in the southeast region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lternative aggregate is easy to manufacture and its quality can be secured. And, it is suitable to use as an aggregate with less environmental burden. In addition,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are needed for effective utilization and recycling of alternative aggregates.

  • PDF

국립등대박물관 운영 전문성 제고 및 발전 방안

  • 전만희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9년도 공동학술대회
    • /
    • pp.458-460
    • /
    • 2009
  • 박물관은 한 사회의 기억이 저장되어 있는 곳이라고들 한다. 이러한 기억들은 유물이라는 매게체를 통해 현재로 되살아나 자신의 뿌리인 전통을 가시화해준다. 국립등대박물관은 지난 100년간 우리나라의 밤바다를 비춰주고 뱃길을 알려주는 항로표지의 역사를 고스란히 보여주는 곳이라 할 수 있다. 최근 박물관의 변화는 굉장히 빨리 진행되고 있고 다양한 변화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국립등대박물관도 이러한 변화의 추세에 발맞추어 나아가야 한다. 국내유일의 등대전문박물관으로서 위상과 역할을 되짚어 보고 박물관 운영 전문성 제고 및 발전 방안을 수립함으로서 희망을 밝혀주고 꿈을 심어주는 국립등대박물관으로 거듭나고자 한다. 독창적이고 참신한 전시로 관람객에게 최상의 만족도를 선물 할 것이며 쾌적한 관람 환경 및 시설로 동남권 최고의 명소로 자리매김하기 위하여 열심히 노력할 것이다.

  • PDF

현장탐방 - 신세계 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

  •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통권317호
    • /
    • pp.40-52
    • /
    • 2016
  • 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는 교통과 상업시설이 복합 개발되는 국내 첫 프로젝트로서 KTX, 도시철도, 고속 시외버스 등 모든 대중교통을 한곳에서 갈아탈 수 있는 원스톱 환승체계 구축은 물론 쇼핑, 문화, 컨벤션, 테마파크 등 복합문화 시설이 융합된 대구 경북지역의 랜드마크다. 12월 15일 동대구역 신세계백화점 오픈과 함께 준공 예정인 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는 동남권의 신교통 중심지이자 지역사회 활성화 등 새로운 미래를 여는 기폭제라는 의미에서 대구 시민뿐만 아니라 전국에서도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 복합환승센터가 완공되면 직접고용 6천여명에 간접고용 포함 1만8천여개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돼 대구시 전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생산유발효과 2조4천억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4조2천억원에 달할 것으로 기대된다. 150여개의 백화점과 이마트의 풍부한 시공 노하우로 미래를 선도하는 신세계건설이 종합시공을, 쾌적한 환경 조성으로 삶의 질 향상에 적극 앞장서는 (주)우진아이엔에스(대표 홍평우 손광근)가 주요 기계설비를 시공하고 있다. 본지는 백화점 오픈 및 복합환승센터 준공을 위해 마무리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신세계건설 문길남 상무(현장소장)와 이종국 기계설비 부장, (주)우진아이엔에스 전명규 현장소장을 만났다.

  • PDF

의료기관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Employees)

  • 이소연;이정원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15-126
    • /
    • 2018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hypothetical models composed of elements that affect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workers. Methods : From four random hospitals, 33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using IBM SPSS, AMOS 22.0. Results : Self-esteem had a positive effect on intrinsic job satisfaction.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intrinsic and extrinsic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negative effect on the turnover inten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s : This research found that Self-esteem and Self-efficacy affect turnover intention throug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fore, we should implement policies and administration to maximize self-esteem and self-efficacy.

지리가중회귀분석을 이용한 고객특성별 골목상권 매출액 영향 연구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Customer Characteristics on Sales of Alley Market Area Using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 강현모;이상경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611-620
    • /
    • 2018
  • 도시재생사업의 활성화와 함께 주요 사업대상이 되고 있는 골목상권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지고 있다. 골목상권 재생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어떤 고객이 얼마나 많이 매출을 발생시키는 지를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객특성이 골목상권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OLS 회귀분석 결과, 종속변수인 골목상권 매출액과 독립변수인 고객특성, 입지특성, 구조특성의 관계가 상권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공간적 이질성이 확인되어 본 연구에서는 대안으로 지리가중회귀분석을 수행한다. 모형 적합도를 $R^2$과 AICc를 통해 비교한 결과, 지리가중회귀분석이 OLS 회귀분석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OLS 회귀분석을 통해 여성고객 비율과 40-50대 고객비율, 골목상권 내 종사자수, 사업체 창업률, 건축물 밀도, 골목상권 면적이 정의 영향을 주는 반면 20-30대 고객비율, 지하철역과의 거리, 버스정류장과의 거리는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리가중회귀분석의 국지적 회귀계수 값들을 골목상권별로 비교한 결과, 여성고객 비율은 서북권 골목상권 매출액에 가장 큰 영향을 주며 서남권과 도심권, 동북권은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20-30대 고객비율과 40-50대 고객 비율은 동남권과 동북권 골목상권 매출액에 큰 영향을 주며 서남권은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객특성 중 성별과 연령에 한정된 분석만 수행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지만 골목상권별로 매출액 영향 요인을 식별함으로써 상권 활성화방안 수립과 도시재생사업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가 된다.

발명교사교육센터 직무연수의 현업적용도 (Job Implementation of ITEC's In-Service Teacher Training)

  • 문대영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87-104
    • /
    • 2015
  • 이 연구는 발명교사교육센터에서 추진하고 있는 현직교사 대상의 발명교육 직무연수의 현업적용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연수 이수 1년 후 시점에서 이수자가 인식하는 학습 파지도, 연수 유용도, 연수 내용의 교육 활용도, 발명교육 능력 향상도를 알아보았다. 이 연구는 2013년 동남권 발명교사교육센터의 직무연수를 이수한 현직교원 6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현업적용도 조사 연구와 연수 후기에 대한 질적 분석으로 수행되었다. 연수 이수자 60명 중 현업적용도 조사에 응답한 인원은 30명, 연수 후기 작성에 참여한 인원은 12명이다. 동남권 발명교사교육센터에서 2013년에 추진한 현직교원 대상의 직무연수 현업적 용도의 평균값은 5점 만점에 4.07점으로 비교적 높은 점수로 확인되었다. 연수 이수 1년 후 이수자가 인식하는 현업적용도의 하위 항목은 교육능력 향상도 4.39점, 연수 유용도 4.11점, 교육 활용도 3.94점, 학습 파지도 3.82점의 순이다. 현업적용도의 전체 평균 4.07점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교육능력 향상도와 연수 유용도는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고, 교육 활용도와 학습 파지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값으로 확인되었다. 연수 이수자의 현업적용도에 대한 질적 분석 자료로 확보한 12편의 연수 후기에 대한 내용을 분석한 결과, 학습 파지도, 연수 유용도, 교육 활용도, 교육 능력 향상도를 직 간접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사례를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