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동기획득

검색결과 339건 처리시간 0.031초

탐색 창을 갖는 이중드웰 직렬 동기획득 방식에 대한 수학적 모델링 및 성능분석 (Mathematical modeling and performance analysis for the double-dwell serial search algorithm with a search window)

  • 이성주;김재석
    • 전자공학회논문지S
    • /
    • 제36S권9호
    • /
    • pp.9-17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파일롯 채널(pilot chanel)이 존재하는 직접확산 코드분할 다중접속 방식(DS-CDMA)에서 탐색 창을 갖는 이중도웰 직렬 동기획득 방식에 대한 수학적 모델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성능을 분석하였다. 성능 분석을 위한 유도된 수학적 모델들은 부호 검출 함수, 오보 함수, 부호 miss함수, 그리고 평균 동기 획득 시간 등이었다. 또한 유도된 식을 IS-95 순방향 링크에 적용하여 수학적 모델에 의한 평균 동기획득 시간을 계산하였고, 이것을 기존의 동기획득 알고리듬과 비교하였다. 그리고 탐색 창을 갖는 이중드웰 직렬 동기 획득 방식에 대하여, 적분 시간과 탐색 창의 크기가 평균 동기획득 시간에 미치는 영향도 분석하였다. 성능분석을 위해 사용된 채널 모델은 북미의 PCS 채널 모델인 JTC 채널로 설정하였다. 성능 분석 결과, 탐색 창을 갖는 이중드웰 직렬 동기획득 방식이 평균 동기획득 시간에서 기존의 동기획득 알고리듬보다 약 17%~25% 정도 단축됨을 보였다.

  • PDF

DS/CDMA 시스템에서 하이브리드 동기 획득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evaluation of hybrid acquisition in CDMA systems)

  • 강법주;강창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914-925
    • /
    • 1998
  • 본 논문은 코드분할다중접속 순방향 링크에서 파일롯 선호가 존재하는 경우 하이브리드 동기 획득에 대한 성능을 평가한다. 하이브리드 동기 획득 방식은 병렬 및 직렬 동기 획득 방식의 결합된 형태이다. 제안된 동기 획득 방식의 성능 평가는 평균 동기 획득 시간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평균 동기 획득 시간은 두 가지 유형(유형 1, 2)을 고려하여 유도하였다. 여기서 유형l은 정확한 코드 위상 오프셋들이 하나의 부분 탐색 구간에 모두 포함되어 있는 경우이고 유형 2는 정확한 코드 위상 오프셋틀이 두개의 부분 탐색 구간에 분포되어 있는 경우이다. 또한 신호 검출, 오경보, 그리고 miss 확률들은 다경로 페이딩과 다수의 정확한 코드 위상 오프셋이 존재하는 상황을 고려하여 유도하였다. 수치해석 결과는 탐색 및 확인 모드에서의 후치 검출 적분 길이, 부분 탐색 구간 크기, 그리고 동기 획득 시간에 따른 I/Q 넌코히런트 상관기의 수 등의 시스템 설계 파라미터에 대한 하이브리드 동기 획득 성능을 분석하고, 하이브리드 및 병렬 동기 획득에 동일한 하드웨어를 적용했을 경우에 대하여 동기 획득 시간의 관점에 서 두 가지의 동기 획득 시스템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 PDF

MC-CDMA 시스템용 PN 부호 동기획득 구조의 구현 (Architecture Design of PN Code Acquisition for MC-CDMA Systems)

  • 노정민;이성주;김재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0권2호
    • /
    • pp.117-125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저전력 및 고속의 특성을 갖는 MC-CDMA 시스템용의 동기획득 구조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탐색핑거라는 새로운 구조를 설계하였다. 제안한 탐색핑거는 기존의 핑거를 수정한 구조로써, 원래의 핑거 기능 이외에 탐색기의 기능을 갖고 있다. 초기 동기획득시 탐색핑거는 탐색기와 함께 탐색기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초기 동기획득 시간을 단축시킨다. 그리고 초기 동기획득이 끝난 후에 본래의 핑거로 동작한다. 제안한 구조를 5㎒ MC-CAMA 시스템에 적용할 경우, 동기회득을 수행하는 블록에서 게이트카운트론 비교하였을 때, 약 63%의 하드웨어 복잡도 감소와 동시에 동기획득 시간을 5배 단축할 수 있었다.또한, 20㎒ MC-CDMA에서는, 약 75%의 하드웨어 복잡도를 감소시키면서 평균 동기 획득 시간을 최대 19배 단축할 수 있었다.

CDMA-MIMO 통신 시스템에서 빔형성기 기반의 코드 동기 획득 기술 (Beamformer-based Acquisition in CDMA-MIMO Communication Systems)

  • 김상준;백선영;안진영;손경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1271-1277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CDMA-MIMO 상향링크 시스템에서 프리엠블 탐색을 위한 MIMO 채널에서 코드 동기 획득 기법에 대해 연구한다. 다중 송신 및 수신 안테나가 빔형성을 위해서 사용된다. 송수신 빔형성 기반의 ML 코드 동기 획득 기술의 성능이 동기 획득 확률을 통하여 이론적으로 분석된다. MIMO 코드 동기 획득 시스템에서 동기 획득의 성능과 평균 동기 획득 시간을 평가한다. 다중 송신 안테나가 코드 동기 획득 시스템에 송신 빔 이득을 제공하고 그 결과로 빔형성 기반의 MIMO 시스템이 SIMO에 비교하여 더 우수한 동기 획득 성능을 얻을 수 있음을 보인다.

Rayleigh 페이딩 채널에서 강인한 동기 획득 시스템 (Robust Code Acquisition System in Rayleigh Fading Channel)

  • 장경운;김기채;박용완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723-730
    • /
    • 2000
  • 이 논문은 Rayleigh 페이딩 채널환경에서 가산 백색 가우시안 잡음 제거 필터를 적용한 직렬 탐색 동기 획득 방식에 대한 성능을 분석하고, 임계치를 페이딩 정도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참조 필터를 추가하여 페이딩 환경에서 강인하게 동기 획득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성능 분석을 위해 사용된 채널 모델은 JAKE 모델이며 성능분석 결과, 제안된 동기 획득 방식이 기존의 직렬 탐색동기 획득 방식과 수신된 신호에 대한 칩별 연속 평균을 구해 페이딩에 의한 감쇄요소를 보상하는 가산 백색 가우시안 잡음 제거 필터만을 적용한 동기 획득 방식보다 낮은 신호대잡음비에서 평균 동기 획득 시간이 줄어듬을 알 수 있었다.

  • PDF

DS-CDMA 시스템에서 다중 안테나를 이용한 동기획득방식의 성능비교 (Performance Comparison of Acquisition Schemes Using Multiple Antennas in DS-CDMA System))

  • 강법주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9A호
    • /
    • pp.1058-1066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DS CDMA 시스템에서 다중안테나를 이용한 옹기획득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기존의 다중안테나를 이용한 옹기획득 방식은 다중안테나 결항을 이용한 방법과 고정 다중빔 형성을 이용한 직렬동기획득방식 등이 있다. 그런데, 본 논문에서는 고정 다중빔 형성을 이용한 히이브리드 동기획득 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수치 해석 결과로는 다경로 Raylelgh 페이딩 채널에서 옹기획득시간 측면에서 두 방식에 대한 동기획득 성능을 비교하고 있다.

CDMA 고속초기동기획득을 위한 HW 재사용에 의한 정합필터의 설계 (The design of the matched filter for CDMA rapid initial PN code synchronization acquisition using HW reuse scheme)

  • 임명섭
    • 전자공학회논문지S
    • /
    • 제35S권11호
    • /
    • pp.28-36
    • /
    • 1998
  • 기지국간 비동기방식을 사용하는 CDMA 이동통신 방식에서는 handoff시 초기동기 획득시간이 빠른 초기동기 획득방식이 요구되므로 정합필터를 사용하는 초기동기획득 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 Rayleigh fading 채널에서 non coherent QPSK/DS-SS방식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model에서 정합필터방식으로 초기동기획득을 위해 소요되는 평균 초기동기 획득시간은 직렬상관방식에 비해 정합필터의 길이에 비례하여 단축됨을 분석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정합필터 방식이 초기동기획득시간은 단축되지만 HW복잡도로 인한 구현상의 단점을 보완하기위해 본 논문에서는 기억소자를 이용한 HW 재사용에 의해 상관 연산을 반복해서 할 수 있는 설계방안을 제시하므로써 기존 정합필터의 HW복잡도를 정합필터 분할 길이 만큼 줄일 수 있도록 하였고, Altera MAXPlus Ⅱ FPGA로 simulation하므로써 기능을 입증하였다.

  • PDF

적응형 필터와 상관기의 시간 동기 획득 성능 비교 (A Timing Synchronization Performance Comparison between Adaptive Filter and Correlator)

  • 류탁기;홍대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8C호
    • /
    • pp.697-708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DS/SS (Direct Sequence Spread System) 시스템에서 상관기를 이용한 시간 동기 획득 기법과 LMS (Least Mean Square) 알고리즘 기반 적응형 필터를 이용한 기법과의 동기 획득 성능을 비교한다. 두 가지 기법에 대해 동기 획득 과정에 이용되는 테스트 변수를 통계적으로 수식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동기 검파 확률과 오보 확률을 유도한다. 수식 분석한 결과를 이용하여 시간 동기 획득 성능을 비교 분석하며, 모의 실험을 통해 성능 분석 결과를 검증하고 심화 분석한다. 수식 분석과 모의 실험 결과를 통해 상관기를 이용한 시간 동기 획득 기법이 대부분의 동기 획득 환경에서 LMS 기반 적응형 필터 기법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가짐을 보인다.

다중경로 환경에서 MC DS-CDMA시스템의 직.병렬 혼합 동기 획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ybrid Acquisition Performance of MC DS-CDMA Over Multipath Fading Channel)

  • 김원섭;김경원;박진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1968-1976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페이딩 채널을 모델화 할 수 있는 나카가미-m 확률밀도함수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채널 환경에서 필연적으로 존재하는 페이딩 환경을 고려한 MC DS-CDMA시스템의 직 병렬 혼합 동기 획득 성능을 분석 하였다. 동기 획득 시스템은 검색모드(Search Mode)와 확인모드(Verification Mode)를 갖도록 설계하여 나카가미-m 확률밀도 함수를 이용하여 동기 획득에 필요한 신호검출확률(Probability of Detection), 탐지 실패 확률 (Probability of Miss), 및 오경보율(False Alarm Rate)을 이론적으로 유도하여 직 병렬 혼합 동기 획득 알고리즘의 평균 동기 획득 시간(MAT)를 유도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PN 코드 동기획득에서 다중 임계치의 효과 (Effects of Multiple Threshold Values for PN Code Acquisition in DS-CDMA Systems)

  • 이성주;김재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39권1호
    • /
    • pp.42-48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직접확산 코드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의 PN 코드 동기획득에서 다중 임계치를 사용하는 결정방식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다중 임계치 결정방식을 이중적분 직렬동기획득 알고리듬에 적용하고, 평균 동기획득 시간 측면에서 분석한다. 분석을 위해, 제안된 방식의 수학적 모델을 제시하고, IMT-2000 채널모델에서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수식적인 분석 결과는 제안된 방식이 한 쌍의 임계치를 사용하는 기존 방식에 비해 평균 동기획득 시간에서 약 0.2초 내지 0.5초 정도의 성능향상을 가져오는 것을 보여준다. 이것은 다중 임계치가 하나의 임계치를 사용함으로써 발생했던 탐색 성능 저하를 보상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