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관

Search Result 6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FEA of Copper Tube Rolling Process Using the Planetary Rolling Mill (유성압연기를 사용한 동관 압연공정의 유한요소해석)

  • Lee, Jung-Kil;Han, Ki-Beom;Kim, Kwan-Woo;Choe, Jong-Woong;Kim, Jae-Hun;Cho, Hae-Yong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4 no.2
    • /
    • pp.303-309
    • /
    • 2010
  • Copper tube rolling process using the planetary rolling mill has been studied by using finite element method. This rolling is process that makes copper tube by three-roll with mannesmann method. Also, rolling process has started from the cold working and finished to the hot working. This rolling process has more advantage that make reduction of process and cost than existing extrusion. This process includes various and complex process parameters. Each of the process parameters affects forming result. Therefore, all of the process parameters should be considered in copper tube rolling. Rolling process for copper tube was successfully simulated and it should be useful to determine optimal rolling condition.

소구경 동관 용접방법의 개선

  • 장인상
    • 월간 기계설비
    • /
    • s.37
    • /
    • pp.98-105
    • /
    • 1993
  • 대한주택공사는 인력 및 자재난에 대처할 수 있도록 단순한 시공법을 개발하는 등 설계 및 시공 개선에 주력하고 있다. 이 방침의 일환으로 주공은 올 하반기부터 배관용 동관의 솔더링 공법을 도입할 계획이다. 본지는 회원사들의 참고가 되도록 이 공법을 게재하며, 앞으로도 주공에서 개선되는 공법은 계속 게재할 계획이다.

  • PDF

글로벌생산체계에서 중국 동관(東莞)지역의 역할과 IT·전자산업클러스터의 발전

  • Lee, Sang-Bin
    • Korea and Global Affairs
    • /
    • v.1 no.1
    • /
    • pp.153-176
    • /
    • 2017
  • 중국 경제성장에 핵심적 역할을 해왔던 광동성(廣東省) 동관시(東?市)는 지리적으로 근접해 있는 홍콩을 이용하여 줄곧 경제발전을 추구해 왔다. 1980년대 초반은 홍콩으로부터 가전산업 관련 중소 다국적 기업이 동관지역에 진출하여 생산 공장을 세우고, 그 후 1990년 중반에는 대만의 PC제조업체의 진출이 잇따르면서 현재 동관에는 정보통신산업과 PC부품 및 전자산업 중심으로 지역 산업클러스터가 발전해 왔다. 동관시 산업클러스터 사례는 개혁개방이후 중국 제조업 산업의 발전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대에 해외직접투자와 아시아지역 후-후발산업국가에서의 지역경제의 성장 및 산업발전과정의 연구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을 줄 수 있는 지역적 사례 중의 하나다. 본 연구는 광동성 동관시 지역산업클러스터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론적으로는 지역산업발전의 내생적 성장요인 분석(NMID) 혹은 글로벌 생산네트워크와의 외부적 연계성을 기초로 하는 산업의 지역적 분화(GPN)에 대한 이 두 관점을 상호 비교하고, 글로벌 생산체계에서 공간적으로 현재 동관시 지역이 가지고 있는 산업클러스터의 위치와 역할을 설명하였다. 또한 산업적인 측면에서 생산네트워크 접근틀과 제도적 역량이라는 이론적 관점을 활용하여 중국 동관시 지역산업과 기업들이 보유하고 있는 상대적 경쟁력을 분석하였다.

Global Production Network and Coupling Strategy of IT Industrial Clusters in Dongguan, China (중국 동관 IT 산업 클러스터의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 및 커플링 전략)

  • Lee, Sang-Bin;Sung, Eul-Hyun;Yeom, Myung-Bae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8 no.7
    • /
    • pp.39-46
    • /
    • 2017
  • Dongguan City of Guangdong province, one of the core areas of the Pearl River Delta, has also pursued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the geographical advantage close to Hong Kong. In the early 1980s, small and medium-sized multinational corporations related to home appliances industry from Hong Kong invested to the Dongguan area and set up a production factory. In the mid-1990s, as Taiwanese PC manufacturers invested, local industrial clusters have developed in Dongguan with core of the IT, PC components and electronic industries. The case of the IT industrial cluster in Dongguan is a typical example of the development of Chinese manufacturing industry after the reform of China. This paper focused on the coupling strategy case of Dongguan City industrial cluster in Guangdong province, and theoretically compared the endogenous growth factor analysis(NMID) of regional industrial development with the regional differentiation of industry based on external linkage with global production network(GPN).

A study on the coaxial-cable propagation characteristic to Frequency bands 12GHz ${\sim}$ 20GHz (12GHz${\sim}$20GHz 주파수대역에 관한 동축케이블 내 전파특성에 관한 연구)

  • Hong, Wan-Pyo;Kim, Hak-Sob;Lee, Jong-B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v.9 no.1
    • /
    • pp.697-700
    • /
    • 2005
  • 일반적으로 고주파인 위성신호를 수신하려면 전송로상의 손실이 생기는데 이러한 손실을 거치지 않고 위성신호를 직접수신하여 고주파대역의 신호의 손실을 줄이기 일반적으로는 도파관을 사용하여야 하나 동관을 이용하여 12GHz${\sim}$20GHz 대역을 통과하는 전파의 특성을 측정하였고 11.71GHz${\sim}$12.01GHz 대에서는 측정이 되지 않는 차단 주파수 현상을 보였으며 13GHz 이상의 주파수에서는 원하는 신호가 측정되었다. 측정 장비로는 Aglient 사의 Network Analyzer에서 11GHz 이상의 신호를 만들어 각각 5C HFBT, 10C HFBT Cable과 동관으로 보낸후 Spectrum Analyzer로 들어오는 신호를 측정하였으며 이에 따른 전송 특성을 분석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