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공반응

Search Result 55, Processing Time 0.02 seconds

The Research on video quality affected to visual emotion (시각 감성에 영향을 주는 동영상 화질변수에 관한 연구)

  • U, Jin-Cheol;Hwang, Min-Cheol;Park, Gang-Ryeong;Lee, Ui-Cheol;Kim, Jong-Hwa;Kim, Chi-Jung;Kim, Yong-U;Kim, Ji-Hy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107-11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동영상 자극이 제시되었을 때 시각적으로 느껴지는 감성을 자율신경계 반응, 동공반응 그리고 주관 설문으로 평가하였다. 20~27세 사이의 대학생 남녀 20명이 실험에 참여 하였고 뉴스, 다큐멘터리1, 다큐멘터리2, 사랑, 스포츠 그리고 전쟁의 6가지 장르의 동영상에서 Gamma, Hue, Lightness 그리고 Saturation의 4가지 화질변수가 변경된 영상을 시각자극으로 제시하였다. 장르를 다르게 한 실험이 총 6회 진행되었으며 장르별로 기본영상 1개와 화질변수가 변경된 영상 16개가 무작위 순서로 제시되었다. 1회 실험이 진행되는 약 14분 동안 PPG, SKT 그리고 GSR 센서를 착용하여 생리 반응을 측정하였고 눈 영상을 기록하여 동공 반응을 측정하였다. 시각자극에 대한 주관적 평가를 위해 1~7점 척도의 불쾌도, 긴장도 그리고 피로도 항목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생리반응, 동공반응 그리고 주관설문 결과를 화질변수 별로 나누고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여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시각 감성이 어떤 화질변수에 의해 유발되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Preliminary Study on Pupillary Light Reflex Measurement using a Smartphone Camera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한 동공반응 검사에 대한 기초연구)

  • Kim, Namik;Lee, Hyeonsu;Im, Soobin;Moon, Chanki;Nam, Yu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534-537
    • /
    • 2015
  • 본 논문은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공 반응 검사를 할 수 있는 스마트폰용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스마트폰의 카메라에 접사 렌즈를 부착한 후, 카메라 렌즈를 실험자의 눈 앞에 위치시켰으며, 빛 자극에 따른 전안부 영상을 촬영하였다. 스마트폰으로 얻은 전안부 영상을 HSV 컬러 모델로 변환 후 전처리와 필터를 걸쳐 동공을 검출하였다. 실험은 5명의 젊은 남성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실험결과 71.2%의 동공 검출률을 얻었다.

Study on Selective Separation of Carbon Dioxide from Land-fill Gas using Hydroquinone Clathrate (하이드로퀴논 크러스레이트를 이용한 매립가스 내 이산화탄소 분리에 관한 연구)

  • Han, Kyuwon;Moon, Donghyun;Shin, Hyungjoon;Lee, Jaejung;Yoon, Jiho;Lee, Gangwo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151.2-151.2
    • /
    • 2010
  • 본 연구는 하이드로퀴논(HQ)을 이용하여 매립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를 선택적으로 분리하고 유기 크러스레이트 형태로 분리 및 저장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로써 하이드로퀴논을 다양한 객체가스와 반응시키면서 열역학적 안정영역을 파악하고 분광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미세구조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alpha}$-HQ를 고압(4MPa)의 이산화탄소와 반응시켜 이산화탄소가 포집된 ${\beta}$-HQ를 합성하였고, 동공 내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를 제거하여 동공을 유지하는 empty ${\beta}$-HQ를 만들었다. 온도를 증가시키면서 XRD 패턴을 측정한 결과 298 K 에서 378 K 사이에서 ${\beta}$-HQ 시료는 서서히 empty ${\beta}$-HQ 의 구조로 전환되었으며 378 K 이상의 온도에서 ${\alpha}$-HQ 구조로 급격히 전환되었다. 또한 생성된 empty ${\beta}$-HQ 동공에 이산화탄소가 포집, 해리되는데 있어서 온도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298K과 343K의 온도에서 실시간 라만분광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298K에서 약 200분의 시간이 지난 후 이산화탄소는 하이드로퀴논 동공 내로 포집되어 안정화되었으며 압력해방 후에는 빠져나가지 않고 동공 내에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343K에서는 급격히 포집되어 30분 이내 안정화되었고, 압력해방 후 동공 내에 존재하지 못하고 빠져나가는 것을 확인하였다. Empty ${\beta}$-HQ의 이산화탄소 선택도를 관찰하기 위해 이산화탄소와 메탄, 수소, 질소의 조성이 각각 30%, 30%, 20%, 20%인 혼합가스와 반응시킨 후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분석을 실시한 결과, empty ${\beta}$-HQ내 포집된 가스 중 이산화탄소의 조성이 약 80% 이상으로 나타나 높은 선택도를 나타냄을 관찰하였다.

  • PDF

Pupil Data Measurement and Social Emotion Inference Technology by using Smart Glasses (스마트 글래스를 활용한 동공 데이터 수집과 사회감성 추정 기술)

  • Lee, Dong Won;Mun, Sungchul;Park, Sangin;Kim, Hwan-jin;Whang, Mi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9.11a
    • /
    • pp.1-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적외선 카메라 기반의 비접촉식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동공 반응 데이터를 수집하여 공감의 사회감성을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추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험에는 10명(남 6명, 여 4명, M ± SD = 24.17 ± 2.16세)의 피험자가 참여하였다. 30초의 참조 데이터 측정 후, 공감 유무에 따라 과제는 얼굴 표정 모방 과제와 얼굴 표정 자발적 표현 과제로 구분되어 두 사람은 표정으로 상호작용하였고, 2번씩 반복 진행하며 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동공을 촬영하였다. 이진화 및 원형 윤곽선 검출법의 영상처리를 활용하여 동공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이동 평균 기법을 활용해 눈깜빡임 노이즈를 제거하고 동공 크기 개인차로 데이터 표준화를 진행하였다. 공감 유무에 따른 동공 크기 데이터는 정규성 검증 및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공감하는 경우(M ± SD = 0.508 ± 1.278)와 공감하지 않은 경우(M ± SD = 1.681 ± 0.968) 동공 크기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18) = -2.313, p = 0.033). 판별분석을 통해 동공 크기에 따른 공감의 유무를 추정하는 규칙을 정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동공 크기 데이터를 이용한 공감의 사회감성 추정 기술은 비접촉식 카메라 기반의 기술로 스마트 글래스와 접목되어 다양한 분야에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research on visual affective assessment of genre (장르에 따른 시각 감성 평가에 관한 연구)

  • U, Jin-Cheol;Hwang, Min-Cheol;Park, Gang-Ryeong;Kim, Jong-Hwa;Lee, Eui-Cheol;Go, Yu-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8.10a
    • /
    • pp.70-73
    • /
    • 2008
  • 본 연구는 이미지의 장르의 차이가 사용자의 시각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실험은 2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각각 다른 감성반응을 위해 선정된 다큐멘터리, 사랑, 뉴스 및 스포츠 장르의 이미지를 각각 10장씩을 보여주고, 그에 따른 시각 피로도를 자율신경계 반응 측정(PPG, GSR,SKT)과 동공 영상 기록(동공 변화율) 및 주관적 설문(불쾌도, 긴장도, 피로도)을 하였다. 유의성 검증을 위하여 이미지의 장르를 독립변수로 그에 따른 종속변수를 개인차가 고려된 생리신호 결과와 동공 변화율(픽셀/초) 및 주관적 설문 응답 결과로 하여 일변량 분산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이미지의 장르에 따라 불쾌, 긴장 및 피로 할 경우 자율 신경계 반응의 특정한 패턴을 발견 할 수 있었다.

  • PDF

Effect of Simulator Sickness Caused by Head-mounted Display on the Stability of the Pupillary Rhythm (머리착용 디스플레이에 의해 유발된 멀미 증상이 동공 리듬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 Park, Sangin;Lee, Don Won;Mun, Sungchul;Kim, Hong-Ik;Whang, Mincheol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1 no.4
    • /
    • pp.43-54
    • /
    • 2018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motion sickness on pupil rhythm. Sixteen volunteers of both genders (8 male, 8 female, mean age $25.67{\pm}2.43$ years) experienced VR contents in both 2D and HMD versions for 15 minutes, and their pupillary rhythms were compared. The irregular pattern of the pupillary rhythms, as demonstrated by increasing mean pupil diameter (mPD)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pupil diameter (sPD), revealed motion sickness after experiencing HMD condition. The pupillary response is strongly related to the cognitive load, and the motion sickness can be interpreted as a change in the cognitive load caused by the increasing volume of visual information that must be processed and the conflict or inconsistency between different sensory modalities. The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could be a non-contact measurement method for the monitoring of motion sickness using a web-camera rather than previous sensor-based methods.

Separation of $CO_2$ from Syngas Using Gas Hydrate Formation (가스 하이드레이트 동공점유특성을 이용한 합성가스로부터의 $CO_2$ 분리 공정)

  • Park, Sungmin;Lee, Seungmin;Lee, Youngjun;Kim, Bomhui;Seo, Yongwo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11a
    • /
    • pp.121.2-121.2
    • /
    • 2011
  • 석탄가스화복합발전과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는 $CO_2$분리법으로 연소 전 탈탄소화는 연료가 연소되기 전에 $CO_2$를 회수하는 방법으로 현재 여러가지 분리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스 하이드레이트의 다양한 응용 분야 중 이산화탄소 격리분야에서 합성가스로부터 $CO_2$롤 효과적으로 분리/회수하기 위하여 가스 고형화법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가스 하이드레이트 형성과정에서의 반응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순수계와 촉진제 첨가계(TBAB, TBAF, THF)에 대하여 반응시간에 따른 가스소모량 및 기상의 $CO_2$ 조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이드레이트 상에 고농도의 $CO_2$가 포집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순수계와 THF 첨가계의 경우 가스 소모량이 다른 계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이는 순수계의 경우 구조-I의 큰 동공과 작은 동공에 모두 기체가 점유되기 때문이며, THF 첨가계의 경우 구조-II의 큰 동공에만 기체가 점유되지만 THF의 첨가로 인해 전환율이 증가되기 때문이다. 반면, TBAF와 TBAB 첨가계의 경우에는 상재적으로 낮은 가스 소모량을 보였다. 기체 소모량이 큰 경우 최종 기상의 $CO_2$ 조성이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모든 실험조건에서 1시간 이내에 하이드레이트 형성반응이 종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촉진제 첨가에 의한 하이드레이트의 구조적인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Raman 분광법과 $^1H$-NMR을 이용하여 혼합가스 하이드레이트를 분석하였다. 본 실험으로 얻어진 결과는 가스 고형화법을 이용한 합성가스 분리 공정 설계 및 개발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upil Center Detection Method using Boundary Distortion Correction (경계선 왜곡 보정을 통한 동공중심 검출 방법)

  • Lee, Injae;Cho, Chul Woo;Lee, Hyeon Chang;Lee, Heekyung;Park, Kang Ryoung;Cha, Ji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3.06a
    • /
    • pp.70-72
    • /
    • 2013
  • 시선추적 인터페이스는 다른 감각기관에 비해 빠른 반응속도를 보이므로 효과적인 인터랙션 수단으로 활용가능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시선추적 기술은 장애인 안구마우스, 운전자 시선정보 분석, 광고 효과 모니터링, 차세대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선추적 인터페이스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을 소개한다. 실제 사용자를 대상으로 시선추적을 수행할 때 눈꺼풀로 인한 동공 가림 현상이 자주 발생하며, 각막반사광으로 인한 동공 경계 왜곡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로 인해 동공 중심이 왜곡되어 시선위치에 오류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눈꺼풀 및 각막반사광으로 인한 왜곡 현상을 보정하여 동공 중심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Change on Lens Accommodation and Pupil Light Reflex in VDT works (VDT작업이 안 조절반응과 동공 대광반사에 미치는 영향)

  • Kim, Eun-A;Kim, Yang-Ho;Jin, Young-Woo;Chai, Chang-Ho;Choi, Yong-Hyu;Moon, Young-Hahan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v.30 no.3 s.58
    • /
    • pp.599-608
    • /
    • 1997
  • We studied on change of lens accommodation and pupil light reflex caused by VDT work in six women and compared them with those of other office work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VDT work the accommodation contraction velocity decreased during the first 2-hr VDT task, then recovered markedly by the end of the one-hour lunch break, and decreased again by the end of the 2nd 2-hr VDT task. Changes of relaxation velocity showed similar pattern although it was less typical than that of contraction velocity 2. There was no marked change in accommodation contraction velocity and amplitude of accommodation in general office work and near-distance office work, and in the near-distance office work accommodation relaxation velocity decreased according to work load without recovery after lunch break. 3. Initial pupil diameter, initial pupil area of light reflex decreased significantly during VDT task only in VDT work and didn't recover after lunch break. These results suggest possibility that changes of accommodation contraction velocity, accommodation relaxation velocity, near point distance, and pupil diameter and area are useful in evaluating characteristics of VDT work. For this, more research adjusted individual differences, circadian rhythm, emotional stress needs.

  • PDF

The Study of Kinetic Visual Acuity in College Students (대학생의 동적시력에 관한 연구)

  • Shim, Moon-Sik;Kim, Sang-Hyun;Kang, Hye-Sook;Shim, Hyun-Suk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17 no.4
    • /
    • pp.419-424
    • /
    • 2012
  • Purpose: We were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studying kinetic visual acuity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in kinetic visual acuity, visual acuity, refractive error, pupil size, and hand reaction time for college students. Methods: We had tested the kinetic visual acuity, visual acuity, refractive error and hand reaction time using the kinetic visual acuity tester (KOWA AS-4A), the hand reaction time program and auto-refractometer for thirty-nine male and same female optometry students with more than +0.1 LogMAR visual acuity in both eyes. And the results were examined gender differences of kinetic visual acuity and the factors correlation. Results: In the measured values of male, pupil size were 6.00 mm, hand reaction time 0.23 msec, refractive error -1.66 D, visual acuity -0.07, kinetic visual acuity 0.59 and pupil size 5.86 mm, hand reaction time 0.24 msec, refractive error -2.08 D, visual acuity -0.02, kinetic visual acuity 0.46 in female. It was significant difference for kinetic visual acuity values but other factors were not. The kinetic visual acuity and left visual acuity had the highest correlation, r=-0.406. The kinetic visual acuity indicated more excellent values in the case of increasing visual acuity and decreasing myopia amount. Conclusions: It was able to see that male college students were better than female for kinetic visual acuity and the visual acuity were related to kinetic visual acu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