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결정액

Search Result 17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개 동결정액 희석액에 Pentoxyfilline 첨가가 융해 후 정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 지달영;이장희;김창근;방명걸;박성재;류일선;류재원;이주형;장유민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4.06a
    • /
    • pp.280-280
    • /
    • 2004
  • 본 연구는 개 동결정액 희석액에 pentoxyfilline을 첨가하여 융해 후 정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공시견은 2∼3세의 Beagle, English cockers spania, Collie, Grey hound, Shihtzu 5두를 공시하였다. 정액은 수압법 또는 인공질법으로 채취하였고 채취된 정액은 Rota 등(EYT : Egg-yolk Tris extender, 1995)의 방법에 따라 동결정액을 제조하였다. Pentoxyfilline은 동결 보호제가 들어 있는 2차 희석액에 0 mM, 1 mM, 3 mM 농도로 첨가하였으며, 5℃에서 2시간 glycerol 평형을 한 후에 액체질소에 10분간 예비 동결하여 동결정 액을 제조하였다. (중략)

  • PDF

동결정액을 이용한 싸움소 생산

  • 정연길;송해범;김종열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Embryo Transfer Conference
    • /
    • 2002.11a
    • /
    • pp.93-93
    • /
    • 2002
  • 싸움소(투우)는 1999년 문화관광부지정‘한국의 10대 지역문화 관광축제’로 선정되어, 청도군 투우대회가 한국을 대표하는 축제가 되었고, 상설투우장의 건설로 새로운 레져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싸움소 생산에 소요되는 유전인자 보존 및 생산기반은 전무한 실증이며, 본 연구는 청도군내 우수 종모우을 선별하여 정액채취 및 동결정액을 생산하여 군내 한우번식 농가에서 인공수정을 실시하고 계절별 수태율과 송아지의 성비를 조사하였다. 종모우 번개(나이6세, 체중850kg, 97, 98년 우승)와 사자(나이6세, 체중870kg 98, 99년 준우승) 2두로부터 일반적인 방법으로 인공질을 이용하여 1999년 10월에 정액을 채취하였다. 채취된 정액은 35$^{\circ}C$에서 3~5배정도로 희석하여 정자농도와 활력을 평가하였다. 희석정액은 90분간에 걸처 5$^{\circ}C$ 까지 냉각하면서 글리세롤을 첨가한 난황구염산나트륨액으로 여러번 나누어 희석하여 정자의 충격을 피하였다. 글리세롤평형 2시간 후 0.5$m\ell$스트로에 정자수가 3500만/스트로의 분주.봉인하여, 정액의 동결은 액체질소상에서 4~5cm 위에 스트로를 평행으로 놓아 액체질소 가스로 10~15분간 예비동결한 다음, -8$0^{\circ}C$의 초저온 냉장고에서 케니스터에 넣어 -196$^{\circ}C$ 액체질소에 보관하였다. 인공수정을 실시하고 40일 전후에 직장검사를 통해 임신율과 수태율을 조사하고 분만한 송아지의 성비를 기록하였다. 채취한 싸움소의 정액량은 번개와 사자가 각각 평균 4.6$m\ell$와 3.8$m\ell$이고, 동결전의 정자의 활력은 번개와 사자의 정액이 각각 70.3 vs 75.3%, 동결후의 활력은 37.3 vs 40.3%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번개와 사자의 동결정액으로 각각 44두와 127두를 인공 수정하였고, 40일 전후의 임신율은 26두 vs 80두(59.1 vs 63.0% )였으며, 수태율은 26두 vs 66두(59.1 vs 52.0% )로 이들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번개와 사자의 수송아지의 성비는 각각 65.3 vs 42.4%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싸움소 정액 동결보존과 인공수정으로 싸움소 혈통을 가진 송아지가 생산되었다. 그러나 생산된 송아지가 싸움소의 능력을 가진 것을 선별하여 혈통을 고정시키고, 훈련으로 싸움소의 제질을 발굴하는 것이 앞으로의 연구과제이다.

  • PDF

돼지 정액의 동결융해 후 생존성에 미치는 요인

  • 김성곤;오진영;박동헌;정희태;김정익;박춘근;양부근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3.06a
    • /
    • pp.81-81
    • /
    • 2003
  • 돼지 정액의 동결보존은 돼지 정자가 내동성이 약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아직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여 액상정액을 이용하여 인공수정을 실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돼지 정액의 동결보존을 효과적으로 이룩한다면 돼지 인공수정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우수한 종돈의 보호 및 국제적 돼지 품종의 교류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실험은 돼지 정액 동결시 동결온도와 시간, 항산화제로 알려진 Taurine의 농도별 첨가, 동해보호제 및 융해조건이 돼지 정액의 동결 융해후 생존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수행되었다.

  • PDF

Reproductive Performance of the Female Breeding Pigs after Artificial Insemination Using the Frozen-Thawed Semen (동결정액 인공수정 모돈의 번식성적)

  • Lee, Hyeon-Jeong;Song, Kwang-Lim;Park, Jeong Geun;Lee, Chul Young;Chun, Ki-Hwa
    • ANNALS OF ANIMAL RESOURCE SCIENCES
    • /
    • v.29 no.4
    • /
    • pp.158-165
    • /
    • 2018
  •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of the female breeding pigs after artificial insemination (AI) using the frozen boar semen imported from Canada, thereby finding insights into improving the efficiency of AI using the frozen semen (FSAI). Analyzed in the present study were the records of a total of 626 FSAI in a great grandparent (GGP) farm beginning from May through November of the year of 2016 (Farm A) and 2,024 FSAI beginning from 2015 through 2017 from a second GGP farm (Farm B). Both the total number of piglets born (TNB) and the number born alive (NBA) were greater during May than during September within FSAI (p<0.05) in Farm A (p<0.01 for the effect of the month). In Farm B, no difference was detected between the years in any of the farrowing rate, TNB, and NBA. When the records from Farm A and Farm B were pooled, the farrowing rate was greater for Farm A vs. Farm B (p<0.01), with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farms in TNB and NBA. Moreover, TNB and NBA were less for FSAI than for AI using the liquid semen (LSAI; $10.9{\pm}0.3$ vs. $13.4{\pm}0.1$ and $10.0{\pm}0.3$ vs. $12.0{\pm}0.1$ piglets, respectively, for FSAI vs. LSAI in TNB and NBA, respectively; p<0.01).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eproduction efficiency for FSAI, which is lower than that for LSAI, could be improved by selecting an optimal period of the year for the use of the former.

동결정액의 포장방법이 정액성상과 번식성적에 미치는 영향

  • 김인철;이장희;김현종;김종대;연성흠;정경용;손동수;박창식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1.03a
    • /
    • pp.77-77
    • /
    • 2001
  • 본 연구는 돼지 동결정액의 번식성적을 개선코자 기존의 maxi-straw와 cryogenic-vial을 이용하여 포장방법에 따른 동결방법과 융해방법별 정액성상 및 번식성적을 비교하였다. 동결방법은 두 가지 포장방법 모두 정액의 양(5$m\ell$)과 농도(5.0$\times$$10^{9}$/dose)가 동일한 조건으로 처리하였으며, LYE(Lactose egg york extender) 보존액으로 희석하여 액체질소 상단 15cm에서 20분간 동결하였다. 융해방법은 maxi-straw는 52$^{\circ}C$에서 45초간 cryogenic-vial은 52$^{\circ}C$에서 190초간 융해하여 $25^{\circ}C$로 가온 된 80$m\ell$ BTS (Beltsville thawing solution) 보존액과 혼합하였다. 정액성상검사는 정자자동분석기(SAIS : Sperm Analysis Image System, Korea)를 이용하였다. 총활력(TM : Total motility)과 정자의 빠르기(VCL : Curve linear velocity)는 maxi-straw가 54.3%와 46.6%로 cryogenic-vial의 35.6%와 36.6%보다 우수하였다(P<0.05). 정자의 직진성(STR : Straightness)과 NAR은 maxi-straw가 53.2%와 32.6%로 cryogenic-vial의 47.3%와 29.8%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수태율과 분만율 및 총산자수는 maxi-straw가 77.3%, 68.2% 및 8.0두로 조사되어 cryogenic-vial포장방법의 66.7%, 61.9% 및 7.4두보다 다소 우수하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cryogenic-vial방법이 새로운 돼지 동결정액 포장방법의 가능성을 나타낸다고 사료된다.

  • PDF

Motility of Rooster Spermatozoa under Different Thawing Conditions (닭 동결정액 융해방법이 정자 운동성에 미치는 영향)

  • Kim, Sung Woo;Choe, Seung Rye;Ko, Yeoung-Gyu;Jeon, Ik Soo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 /
    • v.45 no.4
    • /
    • pp.237-244
    • /
    • 2018
  • In this study, to increase the survival rate of frozen/thaw rooster semen, standard protocols of semen thawing procedures were tested by computer-assisted sperm assay (CASA). We tested 4 different thawing protocols for frozen semen, $5^{\circ}C$ for 2 min, $35^{\circ}C$ for 30 s, $54^{\circ}C$ for 13 s, and $70^{\circ}C$ for 7 s. The pooled semen from 5 to 8 Ogye rooster line was diluted in the HS-1 diluent and frozen in 8% methylacetamide (MA) in liquid nitrogen vapors. To determine standard thawing method, straws were plunged into different temperatures and times. The resulting motilities were recorded by the CASA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best viability of the spermatozoa was shown by exposure at $5^{\circ}C$ for 2 min. Moreover, the longevity test of thawed sperm at $5^{\circ}C$ for 2 min also supported the higher viability under low temperature preservation of $17^{\circ}C$ for 1 hr.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ncrease the motility of thawed rooster semen for field application. In addition, the in vivo tests for different rooster lines are also needed for the establishment of avian genetic resource bank.

A Study on Cryopreservation of Semen from Broiler Breeder Males (육용종웅계 정자의 동결보존에 관한 연구)

  • 박창식;이봉덕;이경우;김학규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 /
    • v.30 no.2
    • /
    • pp.91-94
    • /
    • 2003
  • Artificial insemination of cryopreserved semen is not practiced in broiler breeder industry although its benefit has been recognized for years. Thus,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artificial insemination with cryopreserved semen in Ross broiler breeders. Sixty Ross female broiler breeders were artificially inseminated either with fresh or with cryopreserved semen pooled from five male Ross broiler breeders. On.e hundred eighty eggs were collected from each semen treatment and hatched. Fertility and hatchability of fertilized eggs collected from hens artificially inseminated with cryopreserved semen were 68.0 and 47.1%, respectively, compared to 88.3 and 87.2% with fresh semen. Both unfertilized eggs and dead embryos during hatch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the cryopreserved semen­treated group by approximately 2.7­ and 3.2­fold than the fresh semen­treated counterparts. the moderately low fertility and markedly low hatchability of fertilized eggs obtained from cryopreserved semen observed in this study may be of practical interests in broiler breeder industry and deserves further study.

Studies on Viability of Frozen Sperm and Pregnancy Rates after AI with Frozen-Thawed Canine Semen (개 동결 정액의 생존성과 AI 후 임신율에 관한 연구)

  • Lee B.K.;Chung Y.H.;Kim S.K.
    • Journal of Embryo Transfer
    • /
    • v.21 no.1
    • /
    • pp.1-5
    • /
    • 2006
  • 본 연구는 개 채취 정액의 동결후의 생존성과 신선 및 동결 정자의 capacitation, acrosome reaction과 생존성을 조사하고, 아울러 신선 및 동결 정액을 자연 발정 또는 발정 유기 암캐 에게 인공수정 후 임신율을 조사하였다. 개 채취 정액의 동결 융해 후의 생존성은 $64.5{\pm}2.30%$로서 신선 정액의 생존성에 비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5). 신선 및 동결 정액의 capacitation, acrosome reaction 및 생존성은 각각 $52.5{\pm}4.5%,\;9.5{\pm}0.6%,\;68.8{\pm}4.5%$$16.2{\pm}3.2%,\;3.2{\pm}0.5%,\;24.5{\pm}2.5%$로 나타났다. 신선 및 동결 정액을 자연 발정 또는 발정을 유기한 암캐에 인공수정했을 때 임신율은 각각 50.0% 및 33.3%로서 동결 정액을 이용했을 때 임신율이 신선 정액에 비해 낮은 임신율을 나타냈다.

Study on the Motility of Frozen Semen and Characteristics for Frozen Semen Processing of Jindo-Dog (진도개 동결정액 제조를 위한 정액성상과 동결정액의 운동성에 관한 연구)

  • 김흥률;이계웅;공일근
    • Korean Journal of Animal Reproduction
    • /
    • v.26 no.3
    • /
    • pp.253-261
    • /
    • 200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emen characteristic, motility and viability and sperm motion characteristic by CASA test for establishing the Jindo-dog's semen freezing system.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 1. The semen was collected 63 times. Average volume of semen, concentration of sperm, total number of sperm, progressive motility and viability were 3.8 $m\ell$ 145.6$\times$10$^{6}$ cells/$m\ell$, 396.2 x10$^{8}$ cells, 79.7% and 89.5%, respectively. Also, Fawn (Yellow) Jindo-dog comparing with White Jindo-dog showed better concentration of sperm, total number of sperm, progressive motility and viability. Among all dogs, the results of No. 2 Fawn Jindo-dog were the best. 2. The average progressive motility and viability of semen from 46 times were 73.5%, 82.3% before freezing and 51.1%, 64.9% after freezing. So, the freezing of semen has affected the progressive motility and viability. The progressive motility and viability of Fawn Jindo-dog's semen, before and after freezing, were better than White Jindo-dog. And No. 2 Fawn Jindo-dog showed the best results and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dogs (P<0.05). 3. The 44 times-tested .esults by CASA system were as follow; MOT (motility) 65.6%. PROG (progressive motility) 54.8%, VAP (average path velocity) 75.3 ${\mu}{\textrm}{m}$/sec, VCL (curve linear velocity) 90.0 ${\mu}{\textrm}{m}$/sec, VSL (straight-line velocity) 69.4 ${\mu}{\textrm}{m}$/sec and ALH (amplitude of lateral head displacement) 4.4 ${\mu}{\textrm}{m}$. Although the motion characteristic of frozen seme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White and Fawn Jindo-dog, No. 2 Fawn Jindo-dog showed the best results an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dogs (P<0.05). 4. The success rate of frozen semen production between White and Fawn Jindo-dog were 43% (13/28), 94% (33/35), respectively, and the total success rate was 73% (46/63). The freezing-ability of Fawn Jindo-dog's semen was better than the other. Conclusively, the present results indicated that the characteristic and motility of Jindo-dog') semen were suitable for processing frozen semen, artificial insemination and mass production system. Also, the selection of suitable dog-breed was so important because the characteristic and freezing-ability of seme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White and Fawn Jindo-dogs and among all individual dogs.

Comparison of Flow Cytometric and Morphological Assessment on Viability of Spermatozoa during Freezing Process of Boar Semen (돼지 정액의 동결과정중 정자 생존성에 대한 Flow Cytometric 및 형태학적 평가의 비교)

  • ;;L.A. Johnson
    • Journal of Embryo Transfer
    • /
    • v.14 no.1
    • /
    • pp.69-77
    • /
    • 1999
  • 본 연구는 돼지 정액의 동결과정동안 flow cytometric 분석에 의한 정액내 생존정자의 비율을 조사하여 주관적으로 평가되는 활력 및 정상첨체율(normal apical ridge ; NAR)과 비교하여 정자의 손상과 생존성에 대한 적절한 평가법을 찾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동결과정 중 정액채취, 냉각, 예비동결 및 동결융해 후에 flow cytometric 분석에 의한 정자 생존율은 각각 93.0$\pm$3.6, 85.1$\pm$3.9, 28.9$\pm$6.8 및 26.1$\pm$5.9%이었다. 동결처리동안에 생존율은 예비동결 및 동결융해 후 가장 많은 정자사멸로 동결상태 이전의 생존율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p<0.05). 평가기법으로 정액 채취시 활력, NAR율 및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각각 91.0$\pm$4.2, 96.8$\pm$2.5 및 92.2$\pm$3.2%로 NAR율이 생존성 및 활력보다 높게 평가되었으며, 생존율이 활력보다 다소 높게 평가되었다. 그러나 동결융해 후에는 각각 44.0$\pm$8.9, 49.0$\pm$7.9 및 35.6$\pm$9.7%로 활력이 생존율보다 다소 높게 평가되었다. 전체적으로 NAR율은 활력은 생존율보다 높게 평가되었으며, SYBR-14 / PI(propidium iodide) 이중형광염색법에 의한 flow cytometric 평가법으로 생존율은 동결되지 않은 정액에서의 활력 및 NAR 평가보다 다소 민감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보아 SYBR-14 / PI 형광염색에 의한 flow cytometry의 생존성 평가는 동결되지 않은 정액의 평가방법으로는 적절하지만 동결된 정액의 생존성 평가는 부적절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