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동결심도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9초

강원지역 동상 피해조사를 통한 동결심도 산정 연구 (A Study on Compute of Freezing Depth through Frost Damage Investigation in Gangwon Region)

  • 안승우;문범수;정우철;석송희;최송;김용성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97-107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동상피해 발생지역 중 동결지수가 높은 강원산간지역의 콘크리트도상 현장에 대하여 동상피해 원인과 동결심도를 분석하고 동결심도 자료를 바탕으로 콘크리트도상의 동결심도 산정식 및 강원지역의 동결심도 산정식을 고찰하였다. 강원산간지역의 콘크리트도상 동결심도와 강원지역의 동결심도 경향성을 비교한 결과 콘크리트도상은 동결지수 400(℃×일)이하에서는 동결심도가 강원지역의 동결심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동결지수400(℃×일)이상의 구간에서는 강원 지역의 동결심도가 콘크리트도상의 동결심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강원지역의 동결심도 산정식을 제시하여 강원지역의 철도 및 도로 건설사업 시 동상 방지대책 수립에 활용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도로포장 현장 온도데이터를 이용한 동결심도 추정 연구 (Estimation of Frost Penetration Depth of Paved Road with Field Temperature Data)

  • 이재식;조규태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82-82
    • /
    • 2011
  • 현재 도로 포장 설계시 동결심도의 결정은 30년간 관측한 기상자료 분석을 통해서 얻은 동결지수를 근거로 하여 동결심도를 산정한다. 그러나 기후 온난화 현상 등 변화된 기상조건과 대기온도를 근거로 작성된 동결지수와 대기온도에 따른 실제 포장 내부의 온도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설계시 산정된 동결심도와 실제 현장의 동결심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한반도 북부지역을 동결지수에 따라 동결지수 $550{\sim}650^{\circ}C{\cdot}$일, $450{\sim}550^{\circ}C{\cdot}$일, $350{\sim}450^{\circ}C{\cdot}$일, $350^{\circ}C{\cdot}$일 이하로 구분하여 15개 지역을 선정하였고, 각 지역별로 절토부, 절성경계부, 저성토부(2m 이하 성토부) 구간으로 45단면을 구분하여 현장계측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현장계측시스템으로부터 얻어진 대기온도와 포장층별 온도를 이용하여 현장 동결심도를 산정하고 동결심도 산정식의 동결심도와 비교하였다. 또한, 현장 동결심도를 이용하여 동결심도선도를 작성하였다.

  • PDF

파이프라인이 매설된 폐쇄형 동결토의 동결심도 결정 (Determination of the Frozen Penetration Depth of a Freezing Soil Medium including a Pipeline in a Closed System)

  • 송원근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451-458
    • /
    • 2004
  • 본 연구는 동결토의 동결심도 및 매설된 파이프라인의 온도분포를 예측하기 위하여 유효열용량 개념 반영한 수치해석 모델의 개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를 위하여 저자는 사용코드인 ANAQUS를 활용하여 파이프라인이 매설된 폐쇄형 시스템의 화강 동결토에 대하여 비정상 열전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제안된 수치해석 모델은 Frozen Fringe에서 간극수의 상변화 효과가 반영되었다. 제안된 수치해석 모델과 실내 실험으로부터 얻어진 결과들을 비교함으로써 유효열용량 모델의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우리나라의 동결심도(凍結深度)에 관한 연구(研究) (A Study on the Depth of Frost Penetration in Korea)

  • 홍원표;김명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147-154
    • /
    • 1988
  • 우리나라의 지반(地盤)은 겨울에는 동결(凍結)하고 온난한 계절에는 융해(融解)하는 계절적(季節的) 동결지반(凍結地盤)이다. 이러한 계절적(季節的) 동결지반(凍結地盤)에서는 동결(凍結)과 융해(融解) 상태의 순환과정을 반복하게 되므로 토목건축구조물(土木建築構造物)을 축조(築造)할 때는 동결(凍結)의 영향을 받는 깊이를 알아 두어야만 한다. 본 논문(論文)에서는 우리나라 전국(全國)의 최대동결심도(最大凍結深度) 분포도(分布圖)가 작성 제시(提示)되며 최대동결심도(最大凍結深度)를 추정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모색된다. 본(本) 연구(硏究)의 결과(結果), 최대동결심도(最大凍結深度)는 동결지수(凍結指數)의 평방근과 선형(線形) 관계에 있지 않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동결심도(凍結深度)와 동결지수(凍結指數)의 평방근 상이의 비선형성(非線型性)을 보완하고 보다 현실에 근접한 동결심도(凍結深度) 산정(算定)을 위하여 새로운 경험식(經驗式)이 제안(提案)된다. 이 식에는 동결지수(凍結指數) 이외에 흙의 건조단위중량 및 함수비가 고려되어진다. 또한 이 식은 지금까지 사용되어 오고 있는 기존식(旣存式)과 비교(比較) 검토된다.

  • PDF

현장모형실험을 통한 자갈궤도와 콘크리트궤도의 동결심도 및 동상량 측정 (Field Model Tests on Frost Penetration Depths and Frost Heave Amounts in Ballast track and Concrete track)

  • 김영진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506-514
    • /
    • 2016
  • 철도 현장에 실험용 자갈궤도와 콘크리트궤도를 설치한 후 겨울철에 동결심도와 동상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같은 동결지수일 때 자갈궤도보다 콘크리트궤도의 동결심도가 깊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자갈궤도는 하부에 XPS, PE골재층을 포설할 경우 동결심도가 크게 감소하였고, 콘크리트궤도에서는 입도조정층의 두께를 늘릴 경우 동결심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동상량 역시 자갈궤도에서는 하부에 XPS, PE골재층을 설치할 경우 감소하였고, 콘크리트궤도에서는 입도조정층의 두께를 증가시킬 경우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시험도로 자료를 이용한 포장의 동결특성 연구 (A Study on Freezing Characteristics of Pavements Using Data of Test Road)

  • 정진훈;배성호;권순민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7권2호
    • /
    • pp.87-95
    • /
    • 2005
  • 동절기에 대기온도가 영하로 내려감에 따라 포장하부층의 동결 및 응해가 반복되어 포장체의 구조적 성능이 저하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동상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 우리나라 전역의 동결지수선도가 작성되어 동상방지층 설계 등의 도로건설에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포장층의 두께와 재료, 그리고 지형에 따른 동결심도의 변화에 대한 조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현행 동상방지층 설계의 유효성에 대한 평가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도로공사 시험도로에서 측정되는 대기온도 자료와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포장의 깊이별 온도 및 함수량 자료를 이용하여, 시험도로의 동결지수 및 동결가능 깊이를 조사하였다. 또한, 조사된 결과를 기존의 동결심도 추정식에 의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시험도로에서 측정된 동결 관련자료에 대한 초기연구로서 , 장기적인 자료의 축적과 분석을 통하여 보다 신뢰성 있는 결과가 도출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