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돌발 홍수 기준우량

Search Result 16,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Estimation of Threshold Runoff for Flash Flood Prediction (돌발홍수 예측을 위한 한계유량 산정)

  • Kim, Dong-Phil;Kim, Joo-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319-319
    • /
    • 2012
  • 최근 GIS의 발달로 지리정보를 정확하게 분석한 후 각종 수리 해석에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수문지형학(Hydrogeomorphology)은 Rodriguez-Iturbe(1971)가 유역의 지형학적 인자를 기초로 하여 순간단위도를 유도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시작으로 Rodriguez-Iturbe와 Gonzalez-Sanabria(1982)가 지형학적 순간단위유량도(GIUH, Geomorphologic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매개변수와 유효우량만으로 함수를 표시하는 지형기후학적 순간단위유량도(GcIUH, Geomorphoclimatic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를 유도하여 오늘날까지 발전해 오고 있다. GIS를 활용한 돌발홍수 및 지형학적 지형 기후학적 순간단위도 유도 및 한계유출량에 관한 연구에서 Sweeney(1992)는 돌발홍수능의 표준적인 산정 알고리즘을 제시하였고, Carpenter 등(1999)은 GIS와 연계하여 돌발홍수능을 산정하는데 중요한 한계유출량 산정방법에 관해 연구하였으며, 국내에서는 김운태 등(2002)은 GIS를 이용한 미소유역 규모의 한계유출량 산정 시스템을 개발한 바 있으며, 황보종구(2007)는 국내 유역에 적합한 GcIUH 산정방안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1995년부터 운영해 온 설마천 유역에 대하여 GIS 기법을 활용하여 강우-유출 해석시 GcIUH의 매개변수를 산정하여 유역에 적합한 돌발홍수 기준우량을 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GIS 기법의 적용결과를 통해 산정된 설마천 유역의 지형학적 특성은 <표 1>과 다음과 같다. 한편, 돌발홍수의 개념에서 한계유출량( )은 소하천의 제방을 월류하기 시작하여 홍수를 일으키기 시작할 때의 유효우량으로 정의되며, 유역전반에 걸쳐 균등하게 내리는 단위유효우량으로 인해 발생하는 직접유출 수문곡선이므로 제방이 가득 찬 상태의 유량 즉, 제방이 월류하기 시작할 때의 유량은 등류상태의 흐름을 해석하는 Manning의 공식으로부터 산정할 수 있으며(Chow et al., 1988), 설마천 유역의 경우 50년 빈도 홍수량에 해당하는 수위와 한계유량을 산정하였다. 향후 2011년 홍수 분석을 통해 한계유량 및 기준우량의 적합성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설마천 유역의 돌발홍수예측을 위한 기준우량의 산정 등을 통해 산지 특성을 고려한 돌발홍수예측시스템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

Estimation of Trigger Rainfall for Threshold Runoff in Mountain River Watershed (산지하천 유역의 한계유출량 분석을 위한 기준우량 산정)

  • Kim, Dong Phil;Kim, Joo Hun;Lee, Dong Ryul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4 no.4
    • /
    • pp.571-580
    • /
    • 2012
  • This study is on the purpose of leading Geomorphoclimatic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GcIUH) by using GIS Techniques, and estimating trigger rainfall for predicting flash flood in Seolmacheon catchment, mountain river watershed. This study leads GcIUH by using GIS techniques, calculates NRCS-CN values for effective rainfall rate, and analyzes 2011 main rainfall events using estimated GcIUH.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case of Memorial bridge does not exceed the amount of threshold runoff, however, the case of Sabang bridge shows that simulated peak flow, approximately $149.4m^3/s$, exceeds the threshold runoff. To estimate trigger rainfall, this study determines the depth of 50 year-frequency designed flood amount as a threshold water depth, and estimates trigger rainfall of flash flood in consideration of duration. Hereafter, this study will analyze various flood events, estimate the appropriateness of trigger rainfall as well as threshold runoff through this analysis, and develop prototype of Flash Flood Prediction System which is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mountain river watershed on the basis of this estimation.

The Study of the Fitness on Calculation of the Flood Warning Trigger Rainfall Using GIS and GCUH (GIS와 GCUH를 이용한 돌발홍수 기준우량 산정의 타당성 검토 연구)

  • Shin, Hyun-Suk;Kim, Hong-Tae;Park, Moo-J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7 no.5
    • /
    • pp.407-424
    • /
    • 2004
  • Using geomorphoclimatic unit hydrograph(GCUH), we estimated the fitness to calculate the mountainous area discharge and flash flood trigger rainfall(FFTR). First, we compared the GCUH peak discharge with the existing report using the design storm at the Dukcheon basin. Second, we compared the HEC-HMS(Hydrologic Engineering Center-Hydrologic Modeling System) model and GCUH with the observed discharge using the real rainfall events at the Taesu stage gage. Third, GCUH and NRCS(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were used for calculating FFTR and proper calculation method was shown. At the Dukcheon basin, the comparison result of using design storm was shown in Table 11, and it was not in excess of 1.1, except for the 30 year return period. In case of real rainfall events, the result was shown in Table 12, and GCUH discharges were all larger than the HEC-HMS model discharges, and they were very similar to the observed data at the Taesu stage gage. In this study, we found that GCUH was a very proper method in the calculation of mountainous discharge. At the Dukcheon basin, FFTR was 12.96 mm in the first 10 minutes when the threshold discharge was 95.59 $m^3$/sec.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Urban Flood Prediction and Warning system at Coastal Area Based on SWMM and HEC-RAS Models (SWMM과 HEC-RAS 모형을 이용한 해안 도시 홍수예경보 시스템 구축)

  • Shin, Hyun-Suk;Park, Yong-Woon;Kim, Hong-Ta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816-82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해안 도시 하천의 범람으로 인한 홍수 재해 발생시 예상될 수 있는 피해에 대해 적절한 홍수예경보 및 피난대책을 수립하고자 대표적인 해안 도시 하천의 특성을 가지는 부산시 온천천 유역을 대상으로 수치지도에서 각종 지형자료를 추출하였고 수문 GIS 자료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하천 수리 분석을 위한 한계유출량 산정을 위해 HEC-RAS 모형을 이용 조위의 영향을 고려하여 홍수위 및 한계유출량을 산정하였고 수문 분석을 위한 도시 돌발 홍수 기준 우량 산정을 위해 PCSWMM 2002를 이용하여 기준 우량을 산정하였다. 전형적인 해안 도시 지역 유역 특성을 나타내는 부산시 온천천 유역에 대한 경보발령 기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선정지점 세 곳의 한계수심 $H_{c1},\;H_{c2},\;H_{c3},\;H_{c4}$가 발생할 수 있는 강우량(위험 홍수량을 유발하는 위험 강우량(Trigger Rainfall))을 산정하였고 PCSWMM을 이용한 모형화 기법으로 해안 도시 돌발 홍수 기준 우량을 산정하였다. 산정 결과 온천천 유역의 홍수예경보 시스템과 이에 따른 홍수예경보 발령흐름도, 운영체계가 결정되어 해안 도시 돌발 홍수예경보 방안이 구축되었다. 해안 도시의 홍수 관리는 도시 우수 시스템, 하천, 해안 특성이 복합된 문제이다. 현재 해안 도시 지역의 홍수예경보 시스템 구축 실적이 전무한 실정임을 볼 때 현실적으로 실용화 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을 해내는 것이 무엇보다도 시급하고 중요한 문제이다. 앞으로 더욱 심도있게 연구하여 주요 하천에 대한 홍수예경보 시스템 구축이 절실히 요구된다.

  • PDF

Determining the Flash Flood Warning Trigger Rainfall using GIS (GIS를 활용한 돌발홍수 기준우량 결정)

  • Hwang, Chang-Sup;Jun, Kye-Won;Yeon, In-S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9 no.1
    • /
    • pp.78-88
    • /
    • 2006
  • This paper is to apply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 supported Geomorphoclimatic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GCIUH) approach for the calculated flash flood trigger rainfall of the mountainous area. GIS techniques was applied in geography data construction such as average slope, drainage area, channel characteristics. Especially, decided stream order using GIS at stream order decision that is important for input variable of GCIUH. We compared the GCIUH peak discharge with the existing report using the design storm at Chundong basin($14.58km^2$). The results showed that derived the GCIUH was a very proper method in the calculation of mountaunous discharge. At the Chundong basin, flash flood trigger rainfall was 12.57mm in the first 20 minutes when the threshold discharge was $11.42m^3/sec$.

  • PDF

Flash Flood Simulation using F2MAP Model in Mountainous Area -Case Study (F2MAP 모형을 이용한 산지유역에서의 돌발홍수 모의-Case Study)

  • Kim, Byung-Sik;Bae, Young-Hye;Hong, Se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25-230
    • /
    • 2009
  •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기후는 최근 국지적인 집중호우를 빈번하게 발생시키고 있으며, 이는 개수율이 높은 국가하천 및 지방하천에서보다는 산지지역에 위치한 소하천에서의 피해가 심각하다. 또한 우리나라는 국토의 2/3가 산악지형이며, 많은 지역이 개발되어 집중호우에 의한 돌발홍수에 취약하다. 1990년대 후반 이후 돌발홍수는 우리나라의 가장 빈번한 자연 재해 중 하나로 자리 잡았으며, 인구밀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경우 돌발홍수에 대한 위험도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으며 기존의 대 유역 수위, 우량관측소 위주의 홍수방재 시스템으로는 그 한계가 있다. 따라서 실시간으로 돌발홍수의 위험성을 모니터링하고 예측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개발한 돌발홍수예보모형인 F2MAP 모형을 이용하여 과거 돌발홍수가 발생한 경북 봉화군과 강원도 인제군을 대상으로 돌발홍수 모의를 실시하였으며, 돌발홍수 모의를 실시한 결과를 피해가 발생한 실제 위치 및 시간과 비교하였다. 모의결과, 실제 피해가 발생한 위치의 돌발홍수기준(Flash Flood Guidance, FFG,)이 낮게 산정되었으며 돌발홍수에 취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Flash Flood Guidance Estimation for Busan's Local River (부산시 지방하천의 돌발홍수능 산정)

  • Son, Tae-Seok;Kang, Dong-Ho;Im, Yong-Kyoun;Park, Jae-Beom;Shin, Hyun-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341-134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 44개 지방하천을 대상으로 하여 홍수량 산정지점을 기준으로 175개의 소단위지구의 한계유출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지형상관인자를 소단위지구별로 조사하였다. 한편, 한계유효강우는 한계홍수량에 해당하는 돌발홍수능(FFG, Flash Flood Guidance)을 산정하기 위한 전단계로 김홍태(2009) 등이 지형수문단위도 개발에서 제시한 KGCUH 공식을 이용하여 유역규모 $50km^2$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적용하였다. 빈도별 지속시간별 한계유효강우를 산정하였으며, SCS유효우량 산정법을 이용하여 부산시 44개 지방하천 175개의 소단위지구별 및 빈도별(2, 10, 30, 50, 80, 100년) 돌발홍수능을 산정하였다.

  • PDF

Establishment of Flood Monitoring Criterion Considering Watershed Characteristics on small river (중소하천 유역특성을 고려한 지자체 홍수 모니터링 기준 수립)

  • Choi, Hyun Gu;Ryu, Jong Hyun;Kim, Hwa Young;Kim, Jong C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405-405
    • /
    • 2019
  • 최근 기후변화 및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집중호우, 돌발홍수, 가뭄 등 기상 이변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물관리의 불확실성과 복잡성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대규모 하천의 경우 다목적댐과 다기능보를 이용하여 홍수 및 가뭄에 대응이 비교적 용이하나, 중소하천의 경우 하천길이가 짧고 하천경사가 급해서 홍수파의 이동시간이 짧기 때문에 홍수대비를 위한 시간이 매우 짧다. 또한 중소하천 관리를 담당하는 지자체는 열악한 재정 여건과 전문인력 및 기술력 부족으로 인해 예방보다 사후복구에 집중하는 상황이며, 최근 하천 고수부지를 수변공원, 천변주차장 등으로의 공간적 활용이 증가됨에 따라 홍수발생시 위험성도 증가하고 있어 예방 및 대응 중심의 홍수 모니터링 기준 수립이 시급하다. 이에 K-water는 공익사업의 일환으로 K-water의 홍수 및 하천관리 노하우를 지자체와 공유하고 있다. 해당지자체의 과거 기상 및 수문자료들을 활용하여 홍수분석을 수행하고 지자체 중소하천에 최적화된 우량 및 수위 홍수 모니터링 기준을 수립하여 선제적 홍수대응을 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였다. 또한 해당지자체의 우량 수위관측소의 분포와 용수전용댐 및 농업용저수지를 반영하여 유역특성을 고려한 홍수분석모형을 구축하였으며, 예상강우에 따른 주요 지점별 예상수위 및 도달시간 분석으로 지자체 담당자의 홍수대응을 지원하고자 한다. 하천 수위국 기준의 우량 알람은 하천 수위 상승 전 예비 알람의 성격으로 수위국의 수위가 상승하기 전 대비할 수 있는 선제적 대응 예방시간 확보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단계별 수위모니터링 기준에 의거하여 보행자 및 차량 통행제한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제방월류 전 사전대응시간을 확보할 수 있어 자자체에서 능동적으며 선제적인 홍수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하천 수위국의 상황이 홍수에 따라 변화될 수 있으며, 홍수량 재산정 또는 하천기본 계획의 재수립 등 정책적, 현실적인 상황의 변화로 인해 모니터링 기준이 변화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지속적인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lood Prediction and Warning System at Ungaged Coastal Urban Area - On-Cheon Stream in Busan - (미계측 해안 도시 유역의 홍수예경보 시스템 구축 방법 검토 - 부산시 온천천 유역 대상 -)

  • Shin, Hyun-Suk;Park, Yong-Woon;Hong, Il-Py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0 no.6 s.179
    • /
    • pp.447-458
    • /
    • 2007
  • In this study, the coastal urban flood prediction and warning system based on HEC-RAS and SWMM were investigated to evaluate a watershed of On-Cheon stream in Busan which has characteristics of costal area cased by flooding of coastal urban areas. The basis of this study is a selection of various geological data from the numerical map that is a watershed of On-Cheon stream and computation of hydrologic GIS data. Thiessen method was used for analyzing of rainfall on the On-Cheon stream and 6th regression equation, which is Huff's Type II was time-distribution of rainfall. To evaluate the deployment of flood prediction and warning system, risk depth was used on the 3 selected areas. To find the threshold runoff for hydraulic analysis of stream, HEC-RAS was used and flood depth and threshold runoff was considered with the effect of tidal water level. To estimate urban flash flood trigger rainfall, PCSWMM 2002 was introduced for hydrologic analysis. Consequently, not only were the criteria of coastal urban flood prediction and warning system decided on the watershed of On-Cheon stream, but also the deployment flow charts of flood prediction and warning system and operation system was evaluated. This study indicates the criteria of flood prediction and warning system on the coastal areas and modeling methods with application of ArcView GIS, HEC-RAS and SWMM on the basin. For the future, flood prediction and warning system should be considered and developed to various basin cases to reduce natural flood disasters in coastal urban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