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돌발분류

Search Result 36,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nalysis of Flood Water Level Change and Flood Hazard by Natural Stream Restoration - On-Cheon Stream in Busan - (자연형 하천의 복원에 따른 홍수위 변화와 피해 분석 - 부산시 온천천 대상 -)

  • Park, Yong-Woon;Hong, Il-P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187-1190
    • /
    • 2006
  • 최근 급속한 도시화에 따른 토지이용 증가와 토지이용 효율성의 증대는 불투수 표면의 확대, 유역의 조도계수 감소와 함께 유입시간의 단축, 수로망 정비에 의한 첨두유량의 증가, 도달시간의 감소를 발생시켜, 수로의 통수능 증가와 저류량의 급격한 감소 등 전반적인 수문현상의 변화를 가져와 도시 하천유역에 홍수 피해를 빈번히 발생시키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근시안적인 난개발로 인해 하천 생태계가 파괴되는 등 하천 오염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근년에 들어 이런 문제 해결을 위해 하천정비시 자연형 개념을 도입하여 공사가 시행되고 있으며 본 연구의 대상하천으로 선정된 온천천이 부산의 그 대표적인 예라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형 하천의 복원에 따른 홍수위 변화와 피해 분석을 위해 먼저 온천천이 자연형 하천으로 복원되기 이전의 하도 단면과 복원 후 변화된 하도 단면으로 분류하였으며, GIS 기법을 이용해 공간 지형자료를 정량적으로 산출하였다. 하천 복원에 따른 특성 분석을 위하여 부산지방기상청으로부터 수집된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확률강우량을 산정한 후 빈도별 홍수량을 산정하였다. 산정된 빈도별 홍수량을 HEC-RAS(River Analysis System) 모형에 적용하여 복원 전.후의 홍수위를 모의한 결과 온천천의 친수공간을 대표하는 주요지점에 대해 안전하다고 판단되었으나 온천천이 시민들의 친수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는 자연형 하천임을 고려할 때 돌발홍수에 대한 홍수예경보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 PDF

Regional Frequency Analysis for Rainfall Data using the Burr XII Distribution (Burr XII 분포형을 이용한 강우자료 지역빈도해석)

  • Seo, Jungho;Shin, Hongjoon;Ahn, Hyunjun;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62-162
    • /
    • 2017
  • 최근 우리나라는 전 지구적인 기후변화로 인하여 집중호우 및 돌발 홍수와 같은 극치 사상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대한 분석을 위해 극치 분포를 이용한 수문통계적 특성에 대한 접근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충분한 수의 자료가 필요하나 우리나라 강우자료는 지점별로 자료 보유 년 수가 비교적 많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하나의 지역, 즉 주어진 지점을 포함하여 수문학적으로 동일한 조건을 만족하는 주변 지점의 자료를 모두 포함하여 빈도해석을 실시하는 지역빈도해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빈도해석과 두 개의 형상매개변수를 포함하여 다양한 극치 수문통계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고 알려진 Burr XII 분포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강우자료에 대한 그 적용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군집분석을 통한 강우지점의 지역화 과정을 거치고 분류된 지역을 L-moment ratio diagram에 도시하여, Burr XII 분포 영역 내 포함여부를 통해 Burr XII 분포의 적합도를 도시적으로 살펴보고, Hosking and Wallis (1997)이 제안한 적합성 척도($^{IST}$)를 통한 적합성 여부를 판별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강우자료에 비교적 적합하다고 알려진 분포인 generalized extreme value, generalized logistic, Gumbel 분포와의 비교를 위해, 전체 지역에 대하여 재현기간에 따른 상대편의 (relative bias)와 상대평균제곱근오차 (relative root mean square error)를 산정하여 Burr XII 분포형의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 PDF

Assessment of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in a watershed according to stream flow conditions (하천 유량조건에 따른 유역별 수질변동특성 평가)

  • Jung, Woo Suk;Jo, Bu Geon;Kim, Young Do;Kwon, Jae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91-91
    • /
    • 2021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성 집중호우 증가로 인한 돌발홍수와 강수일수는 감소하고 강수량의 계절적·지역적 편중현상이 심화하여 가뭄의 발생빈도 및 기간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가뭄에 따른 환경학적 피해로 하천유량의 감소와 더불어 영양물질의 부화로 인해 하천의 수질악화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집중호우로 인한 비점오염원 유입이 취약한 유역인 경우 장기적으로 부영양화를 초래하고 지속적인 오염원 축적을 통한 수질오염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유역별 유량조건에 따른 수질오염원 특성을 파악하고 맞춤형 수질관리를 위한 유역평가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수계 22개 중권역을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중권역별 맞춤형 수질관리를 위한 유역진단을 실시하였다. 유역유출모형인 HSPF을 통해 산정된 기준유량을 기준으로 저유량, 고유량 시기를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요인분석 결과값인 각 요인별 수질변동특성을 요인분석 네트워크 그래프를 활용해서 수질변동특성을 분석하고, 유황별 수질환경적 오염원 영향인자들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중권역별 하천 유량조건에 따라 어떠한 오염원에 기인하는지 분류하고 평가하였다.

  • PDF

An Empirical Study on the Differential Ratio between Construction Cost for Land Development and Incurred Cost: Case of Housing Business District for Land Development in LH (택지조성원가와 발생원가의 오차에 관한 실증연구 : 택지개발사업지구를 중심으로)

  • Kim, Tae-Gyun;Chang, In-Seok;Lee, Duck-Bok;Kim, Ok-Yon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3 no.1
    • /
    • pp.59-68
    • /
    • 2012
  • The current land development cost price system is classified as the creating land by construction price and composition changes that occur sporadically in the process of completion at the source of the factors by incurred cost price. Housing for land cost price system is a lack of objectivity which scheme of the such a gap due to the land in accordance construction and incurred cost price system so far.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objectivity of costing the costing of predictable surprises should be reflected in the process. Under such a background, this study defined the effective differential ratio as the predictable, estimated them for various characteristics of each business district to reflect. For this, set the properties category of five types to attributes and making the complex category and Look-up table. Which result of model validation is showed a high reliability. Therefore, Continuous accumulation of material in the future, when them to reflect the construction cost, will contribute to the bridge the gap the construction cost between incurred them.

Automated Analysis for PDC-R Technique by Multiple Filtering (다중필터링에 의한 PDC-R 기법의 자동화 해석)

  • Joh, Sung-Ho;Rahman, Norinah Abd;Hassanul, Raja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0 no.3C
    • /
    • pp.141-148
    • /
    • 2010
  • Electrical noises like self potential, burst noises and 60-Hz electrical noises are one of the causes to reduce reliability of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Even the PDC-R (Pseudo DC resisitivity) technique, recently developed, is suffering from the problem of low reliability due to electrical noises. That is, both DC-based and AC-based resistivity technique is subject to reliability problem due to electrical noises embedded in urban geotechnical sites. In this research, a new technique to enhance reliability of the PDC-R technique by minimizing influence of electrical noises was proposed. In addition, an automated procedure was also proposed to facilitate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PDC-R measurements. The proposed technique is composed of two steps: 1. to extract information only related with the input current by means of multiple-filter technique, and 2. to undertake a task to sort out signal information only to show stable and reliable characteristics. This automated procedure was verified by a synthetic harmonic wave including DC shift, burst random noises and 60-Hz electrical noises. Also the procedure was applied to site investigation at urban areas for proving its feasibility and accuracy.

Flood Runoff Simulation using Radar Rainfall and Distributed Model in Imjin River Basin (레이더 강우와 분포형 모형을 이용한 임진강 유역의 홍수 유출 모의)

  • Kim, Byung-Sik;Bae, Young-Hye;Park, Jung-Sool;Kim, Kyung-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738-743
    • /
    • 2008
  • 최근 기상이변으로 인한 돌발홍수의 빈번한 발생으로 인해 신속하고 정량적인 강우예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강우의 거동을 실시간으로 관측하여 예측이 가능한 강우레이더의 활용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1Km 해상도의 격자형으로 제공되는 강우레이더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격자단위의 분석이 가능한 분포형 수문모형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한 선행연구로 배영혜 등(2007)은 레이더 강우와 물리적 기반의 분포형 모형인 $Vflo^{TM}$을 이용하여 임진강 유역에 대한 강우-유출 모의를 실시하였으며 분포형 모형의 입력 자료로 활용된 임진강 유역의 공간자료는 임진강 유역조사 성과 및 GIS/RS를 자료를 이용하여 구축하였다. 배영혜 등(2007)이 모의한 임진강 유역의 홍수 유출 모의 결과 모의치와 관측치 사이의 첨두값은 일치하나 지체 시간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오차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북한의 하천과 연결되지 않은 임진강 영중지점을 대상으로 홍수 유출 모의를 실시한 결과 지상 강우계를 이용한 레이더 강우의 보정 유무보다는 GIS 수문매개변수의 불확실성이 오차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토양분류 체계가 상이하고 현시성이 결여된 토양도의 활용이 수리전도도를 비롯한 토양 매개변수에 불확실성을 초래하여 첨두 유량과 지체시간 등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면적의 약 2/3가 미계측 지역인 임진강 유역의 지리적 특성과 현지조사가 필수적인 토양도의 재구축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점을 고려하여 상대적으로 단순한 가 분포형(Quasi-distributed) 수문 모형인 ModClark 모형을 이용하여 2006년 7월 사상에 대하여 홍수 유출 모의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선행연구를 통해 모의한 $Vflo^{TM}$ 모형의 유출 모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Capacity Analysis Procedure for Freeway Facility System (고속도로 최대통과교통량 산정 및 서비스수준 평가 기법 개발)

  • Lee, Seung-J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4 no.4 s.90
    • /
    • pp.129-148
    • /
    • 2006
  •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develop a capacity analysis and to develop a methodology to evaluate Level of Service over the entire freeway sections by single MOE (Measure of Effectiveness) This study set forth from a following viewpoint. to analyze entire freeway sections as freeway facility system,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exact point where congestion would occur and the extent of the congestion. Therefore, in this thesis, congestion mechanism on freeways was figured out and congestion analysis methodology was developed. Thereby maximum possible throughput rate and maximum throughput rate in bottleneck sections were calculated and a conges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new method and existing Procedures is that maximum possible throughput rate and maximum throughput rate. that can be considered as capacities of un-congested and congested flow in the bottleneck section, are variable capacities dependent on demand flow.

Neural-network-based Driver Drowsiness Detection System Using Linear Predictive Coding Coefficients and Electroencephalographic Changes (선형예측계수와 뇌파의 변화를 이용한 신경회로망 기반 운전자의 졸음 감지 시스템)

  • Chong, Ui-Pil;Han, Hyung-Seob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13 no.3
    • /
    • pp.136-141
    • /
    • 2012
  • One of the main reasons for serious road accidents is driving while drowsy. For this reason, drowsiness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for drivers has recently become a very important issue. Monitoring physiological signals provides the possibility of detecting features of drowsiness and fatigue of drivers. One of the effective signals is to measure electroencephalogram (EEG) signals and electrooculogram (EOG) signal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tract drowsiness-related features from a set of EEG signals and to classify the features into three states: alertness, drowsiness, sleepiness. This paper proposes a neural-network-based drowsiness detection system using Linear Predictive Coding (LPC) coefficients as feature vectors and Multi-Layer Perceptron (MLP) as a classifier. Samples of EEG data from each predefined state were used to train the MLP program by using the proposed feature extraction algorithms. The trained MLP program was tested on unclassified EEG data and subsequently reviewed according to manual classification. The classification rate of the proposed system is over 96.5% for only very small number of samples (250ms, 64 samples). Therefore, it can be applied to real driving incident situation that can occur for a split second.

Electroencephalogram-based Driver Drowsiness Detection System Using AR Coefficients and SVM (AR계수와 SVM을 이용한 뇌파 기반 운전자의 졸음 감지 시스템)

  • Han, Hyungseob;Chong, Uipi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22 no.6
    • /
    • pp.768-773
    • /
    • 2012
  • One of the main reasons for serious road accidents is driving while drowsy. For this reason, drowsiness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for drivers has recently become a very important issue. Monitoring physiological signals provides the possibility of detecting features of drowsiness and fatigue of drivers. One of the effective signals is to measure electroencephalogram (EEG) signals and electrooculogram (EOG) signal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tract drowsiness-related features from a set of EEG signals and to classify the features into three states: alertness, drowsiness, sleepiness. This paper proposes a drowsiness detection system using Linear Predictive Coding (LPC) coefficients and Support Vector Machine (SVM). Samples of EEG data from each predefined state were used to train the SVM program by using the proposed feature extraction algorithms. The trained SVM program was tested on unclassified EEG data and subsequently reviewed according to manual classification. The classification rate of the proposed system is over 96.5% for only very small number of samples (250ms, 64 samples). Therefore, it can be applied to real driving incident situation that can occur for a split second.

Analysis of Dam Break Flow Using Finite Volume Method (유한체적법을 이용한 댐붕괴류 해석)

  • Shin, Eun Taek;Eum, Tae Soo;Chung, Hee Soo;Song, Chang 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99-299
    • /
    • 2020
  • 국내외 발생하는 재난 중 70% 이상이 물과 관련된 재해로 분류되며, 집중호우와 태풍으로 인한 하천범람 및 내수침수 등으로 많은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특히 최근 발생하는 피해 양상은 과거에 발생하지 않았던 극한 강우로 인해 돌발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이에 따라 사전에 예측하여 미리 대비하는 선제적인 홍수 대비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선제적인 홍수 대비 시스템의 구축 여부는 정확한 하천 흐름 예측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하천의 흐름은 댐붕괴, 제방붕괴, 하천 하상의 변동 등 다양한 상황에서 급격한 흐름의 변동이 발생하며, 이는 하천 흐름 예측에 장애물로 작용하여 정확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특히 국내에는 산악지형과 수공구조물에 의한 불연속 단면이 다수 존재하고 있어 그 예측 결과에 대한 정확성에 대한 요구가 더욱 부각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기법들이 개발되어 실무에 적용되고 있으나 어떤 기법이 국내 하천특성에 적합한지 파악할 수 없으며, 그 정확성과 안정성에 측면에서 여전히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불연속 흐름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국내 하천 특성에 적합한 수치 기법을 확인하고자 유량보존특성을 만족하는 유한체적기법 중 국내외적으로 다수 사용되었던 기법들을 비교 및 평가하였다. 불연속 흐름의 대표적인 예제로서 'Dam-break problem'과 충격파 해석 및 홍수기와 갈수기에 따른 하천 하상의 마름/젖음에 대한 평가를 할 수 있는 Toro's Riemann problems에 적용하여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값을 정량적인 수치로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국내 하천 특성에 적합한 수치 기법을 선정하였으며. 향후 국내하천 환경을 만족할 뿐만 아니라 하천 종사자들의 요구에도 부합한 하천흐름해석 모형의 개발 시 많은 기여가 될 것이라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