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돌려차기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9초

태권도에서 제자리딛기 템포와 돌려차기 유형이 응답시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epping in place tempo and roundhouse kick types on response time in taekwondo)

  • 이종화;송영훈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870-87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제자리딛기 템포와 돌려차기 유형이 응답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는 태권도 4단이며 10년 이상 수련한 남자 15명이 참여하였다. 실험 과제는 메트로놈의 템포에 맞춰 제자리딛기를 하다가 불빛 자극이 제시되면 최대한 빠르게 돌려차기를 하는 것이다. 5가지의 제자리딛기 템포(100, 120, 140, 160, 180 bpm)와 4가지의 돌려차기 유형(앞발 몸통 돌려차기, 앞발 얼굴 돌려차기, 뒷발 몸통 돌려차기, 뒷발 얼굴 돌려차기)에서 3회씩 총 60회를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반복 측정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효과의 대응별 비교는 Bonferroni를 실시하였다. 제자리딛기 템포와 돌려차기 유형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으며, 제자리딛기 템포와 돌려차기 유형에 따른 주효과도 나타났다. 160 bpm의 제자리딛기 템포에서 돌려차기의 응답시간이 제일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140과 160 bpm의 제자리딛기 템포에서 돌려차기 응답시간은 거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앞발 몸통 돌려차기의 응답시간이 빨랐다. 그리고 제자리딛기 템포와 돌려차기 유형에 따라 140 bpm의 제자리딛기 템포에서 앞발 몸통 돌려차기의 응답시간이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돌려차기의 응답시간은 140과 160 bpm의 제자리딛기 템포에서 효과적이며, 뒷발보다는 앞발, 얼굴보다는 몸통 돌려차기가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수행 향상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며, 태권도 경기를 위한 전략에 도움이 될 것이다.

태권도 돌려차기와 몸돌려 후려차기시 태권도화 착용에 따른 기계적 마찰력과 태권도 수행력 연구 (Research about the Effect that Taekwondo Shoes have on the Performance and Friction during the Turing and Turning Back Kick)

  • 박승범;이정호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7-127
    • /
    • 2008
  • 본 연구는 개발된 태권도화에 따른 태권도 돌려차기와 몸돌려 후려차기시 기계적 마찰력과 태권도 수행력에 대하여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A.F.T.S.(Automated Footwear Testing System)과 태권도 수행력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착화감에 대한 설문을 조사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 태권도화 종류에 따라 기계적 마찰력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돌려차기시 최대 자유모멘트의 통계 결과값은 p=.011 이었고, 최대 족저압에 있어서 타입 A 태권도화와 타입 B 태권도화도 사이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착화감 설문 결과 5가지 항목에 있어 타입 A와 타입 B 태권도 사이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타입 B와 타입 C 태권도화에 있어서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태권도화별 기계적 마찰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반면 수행력에 있어서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설문 결과와 수행력 사이에 있어서도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임상 실험 결과와 기계적 마찰력 정도가 태권도 수행에 영향을 주는지 여부와 훈련 시 부상 방지 및 수행력을 향상시키는 태권도화의 생체역학적 설계 및 현 개발 시제품에 대한 후속제품개발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태권도 돌려차기 동작의 운동학적 협응 및 제어과정 (The Process of the Kinematic Coordination and Control of Dollyochagi Motion in Taekwondo)

  • 윤창진;채원식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95-104
    • /
    • 2008
  • 본 연구는 남자 중학교 초보피험자들을 대상으로 태권도 돌려차기 동작의 숙련정도에 따른 운동학적 협응과 제어과정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용된 변인은 최대합성직선속도와 각도 대 각도 도면이었다. 분석결과, 연습후기로 갈수록 인접한 분절간의 운동량 전이가 잘 이루어져 각 분절의 최대합성직선속도가 증가하였으며 무릎관절 최대굴곡 시까지는 엉덩관절과 무릎관절이 동형동조 협응형태로 변해갔으며, 최대굴곡 후 타격 시까지는 모든 숙련 단계에 있어서 이형동조 협응패턴을 나타내었다. 발목관절은 무릎관절 최대굴곡 시까지 배측굴곡 상태에서 저측굴곡으로 변했으며, 최대굴곡 후 타격시점까지는 발목관절은 고정시키고, 무릎관절은 신전시키는 자유도 고정 제어기전을 나타내었다.

태권도 돌려차기 시 분절들의 반동동작 (Countermovement of the Segments During the Tae-kwon-do Roundhouse Kicking)

  • 황인승;이성철;임정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39-152
    • /
    • 2004
  • Two subjects, an expert and a novice, were carefully selected based upon their foot speed. Three dimensional videography was used in the assessment of roundhouse kicking of the Tae-kwon-Do. The local reference frames were imbedded at the trunk, pelvis, thigh and shank. Anatomical angular displacement at the joints were measured by projecting the upper segment's local axes to the lower segment's local reference planes. The local axes again projected to the global reference frames and absolved each segment's movement. The peaks of the anatomical angular displacement curve assessed as the countermovements and the angular movements of the segments in the global space absolved in light of the occurrence of the countermovements. The expert showed larger and more countermovements than the novice at the all segments. The counterrnovement occured more clearly at the trunk than the hip and knee joint and during the preparative movement phase. These countermovements occurrence were due to either by turning upper or lower segments and controlled by the turning direction and sequence of the two nearby segments. It was revealed that the countermovements of the trunk during the preparative movement phase was the important factor of the power kicking.

경호무도로서 공수도 대련경기 기술의 활용 (Application of Karatedo Techniques as Security Guard Martial Art)

  • 정일홍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51-57
    • /
    • 2014
  • 본 연구는 공수도의 대련경기 기술을 통해 경호대상자를 보호하는 완전한 임무수행을 할 수 있으므로 공수도 수련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공수도의 가치는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공수도 대련경기 기술은 손기술, 발기술, 던지기기술로 구분된다. 첫째, 손기술이다. 위해자가 경호대상자를 공격시 가벼운 스텝으로 위해자의 주요급소 부위에 앞손치기 또는 뒷손치기가 효과적으로 상대를 제압할 수 있고, 직선공격이 쉽지 않을 경우 돌려치기로 상대를 제압할 수 있다. 둘째, 발기술이다. 위해자가 경호대상자를 공격시 거리와 방향에 따라 위해자의 주요급소를 향해 앞차기, 옆차기 뒷차기의 직선적인 공격과 앞돌려차기, 앞후리기, 뒤후리기의 곡선적 공격으로 위해자를 제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던지기 기술이다. 손과 다리 그리고 상대의 균형을 이용한 기술로 걸기와 후리기로 무너뜨리고, 손과 발기술로 상대의 급소를 공격하면 완전히 제압된다. 공수도 대련경기기술은 손기술과 발기술 그리고 던지기 기술의 각각의 기술로 위해자를 제압할 수 있지만 다양한 장소와 거리 등 환경에 의해 손기술과 발기술, 발기술과 손기술, 손기술와 던지기 기술, 발기술과 던지기 기술, 던지기 기술과 발 또는 손기술 등 다양하게 습관적으로 대련 경기에서 나오고 있다. 이러한 공수도는 경호무도로서 이상적이라 볼 수 있다.

태권도와 합기도의 돌려차기시 타격 높이가 지면반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arget Height on Ground reaction force factors during Taekwondo and Hapkido Dollyuchagi Motion)

  • 양창수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93-204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rtial art type and target height on the ground reaction force factors during Dollyuchagi motion. Data were collected using force plate. Five Taekwondo players and five Hapkido players were tested during Dollyuchagi motion to three different target heights(0.8, 1.2, 1.6 m). After analysis of kinetics using force plate data, maximum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was 1.62~2.44 BW, and impulse was $0.66\sim1.01 BW{\cdot}s$. Even 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for maximum ground reaction forces and impulse between Hapkido and Taekwondo, as target height was higher, impulse increased. Anterior-posterior and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s at kicking foot take-off were greater with target height,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for medio-lateral force with target height. At impac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for anterior-posterior ground reaction force between Hapkido and Taekwondo players. Taekwondo players' force (range, -0.23~-0.26 BW) was greater than Hapkido players's force (range, -0.08~-0.14 B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