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독성한계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26초

하천둔치에 방역용 Deltamethrin 살포 시 하천수 중 잔류변화 (Residual Change of Deltamethrin in Stream Water after Spaying for Pest Control of Stream Levee)

  • 한예훈;박재훈;임종성;이용주;이성규;이규승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8-83
    • /
    • 2013
  • 본 연구는 하천둔치에서 방역약품 deltamethrin을 관행방법으로 살포하였을 때 약제의 수중 잔류수준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전광역시 유성구 반석동하천(A)과 죽동 도랑(B)을 대상으로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방역약품을 살포 시 하천표면 유입량 측정 및 하천둔치에서 방역살포 시 유하거리에 따른 수계 잔류범위조사를 위하여 약제 살포 후 최대 100 m까지 7 지점에서 시료를 채취하였다. 그 결과 A의 경우 5 m 이후부터 수중 잔류량이 검출한계 미만으로 나타났고, B는 최대 14.34 ${\mu}g/L$에서 최소 0.08 ${\mu}g/L$까지 서서히 감소되는 추세를 보였다. A에서의 약제희석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A하천수에 deltamethrin 1.0 mg을 직접 유입 했을 때의 잔류량 조사결과도 5 m 이후부터 검출한계미만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잔류량의 차이는 A하천이 B도랑보다 하천변 폭이 넓어 상대적으로 약제가 하천표면까지 도달하기 어렵고, 유수량이 많아 약제의 희석배수도 크기 때문에, A하천둔치에서 방역약품을 살포하면 잔류량이 급속히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실험지역별 검출된 약제의 최고농도와 문헌상의 독성값을 비교하여 독성영향을 예측한 결과, 모든 장소에서 어류에 대한 급성독성의 영향이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물벼룩에 대해서는 A의 0 m 지점, B의 0 m-20 m 지점 및 1.0 mg deltamethrin을 처리한 0 m 지점의 시료에서 급성독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농도가 검출 되었지만, 흐르는 물에서는 급속히 검출한계 미만으로 낮아지고, 잔류시간도 미미하여 실제 방역 살포시 하천 수계로 투입되는 방역약품의 잔류량은 어류와 갑각류에 큰 영향을 줄 수 없다고 판단된다.

이원 동시 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을 이용하여 증착한 In-Sn-Zn-O 박막의 열전 특성

  • 변자영;송풍근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5년도 제49회 하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253-253
    • /
    • 2015
  • 최근 세계적으로 대체 에너지는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으며 특히 열전 재료는 유망한 에너지 기술로서 주목 받고 있다. 특히 고 직접화 전자 소자의 발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형화와 정밀 온도 제어가 가능한 박막형 열전 소자에 대한 관심이 크다. 박막형 열전소자 중 산화물 반도체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산화물 반도체계 중 In2O3는 BiTe, PbTe 등의 기존의 재료에 비해 독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고온에서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여 고온에서 적용 불가능한 금속계 열전 재료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좋은 성능의 열전 재료는 높은 전기 전도도 및 제백 계수 그리고 낮은 열전도도 특성을 가져야 한다. 비정질 구조를 가지는 박막 열전 재료는 격자에 의한 열 전도도가 낮기 때문에 결정질 구조와 비교하여 전체 열 전도도 값이 낮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비정질 구조를 갖는 ZnO와 SnO2를 동시에 첨가한 In2O3 박막의 전기적 특성과 열전 특성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 PDF

광양만의 유기주석화합물 오염과 생물농축

  • 심원준;김남숙;임운혁;홍상희;오재룡
    • 한국환경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생물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
    • /
    • pp.25-32
    • /
    • 2002
  • 유기주석화합물은 선박방오도료에 살생물제로 쓰이는 독성이 강한 물질로서 내분비계장애물질의 일종으로 알려지고 있다. 광양만에서 유기주석화합물의 오염현황을 파악하고자 표층퇴적물 및 생물체 중의 농도를 정성 및 정량분석하였으며, 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복족류의 임포섹스(암컷에서 수컷의 성기가 발현되는 현상)를 측정하였다. 표층퇴적물 및 생물체 체내에서 phenyltin은 일부 정점을 제외하고는 모두 검출한계 이하의 값을 보였으나, butyltin은 대부분의 정점에서 검출되었다. 표층퇴적물, 참굴, 대수리 체내의 tributyltin (TBT)의 농도는 각각 미검출-29 ng/g, 178-2458 ng/g, 47-236 ng/g 범위를 보였다. TBT 화합물의 공간적인 분포는 선박활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으며, 항구가 위치한 여수 인근을 제외하고는 광양내만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한편 대수리 중의 임포섹스는 11개 정점에서 모두 관찰되었으며, 상대성기길이 지수는 47.9-107.8%의 범위를 보였다.

  • PDF

Ngaione 의 흰쥐에 대(對)한 독성(毒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oxicity of Ngaione in Rats)

  • 이준섭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5-89
    • /
    • 1979
  • Myoporum deserti에서 얻어지는 유독성식물류(有毒性植物油)인 ngaione을 체중(體重) 90~110g의 Wistar계(系) 웅성백서(雄性白鼠)에 복강내(腹腔內)로 주입(注入)한 다음 유독성(有毒性)을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흰쥐에서의 ngaione의 치사량(致死量) ($LD_{50}$)은 체중(體重) kg당(當) 166mg 이었고 95% 신뢰한계(信賴限界)는 체중(體重) kg당(當) 96~287mg이었다. Ngaione 주입후(注入後) 간장(肝臟)에서 언제나 병변(病變)이 관찰(觀察)되었으며 이들의 병리조직학(病理組織學)적 소견(所見)은 소엽중간부괴사(小葉中間部壞死)(midzonal necrosis)였다. Naaione의 주입양(注入量)이 많은 동물(動物)에서는 자주 위벽(胃壁)(점막하직(粘膜下織))과 대장(大腸)의 일부(一部)에서 산만성출혈(散漫性出血)을 동반(同伴)하고 있었다.

  • PDF

화학 공정에서의 폭발 방지 시스템의 기능과 한계

  • 오규형
    • 산업안전기술지
    • /
    • 제1권1호
    • /
    • pp.11-16
    • /
    • 2001
  • 과학과 산업의 발전에 따라 공정안전기술도 새롭게 발전되어 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정산업에서의 폭발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사고가 발생할 경우 대규모의 인명 덴 재산 손실을 초래하여 왔다. 우리나라의 경우 화학장치 산업이 1960년대 시작되어 많은 부분들이 교체되어야 할 주기를 지났거나 교체해야 할 상태에 있고, 이에 따라 신설 또는 증설공사 등으로 폭발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화학공정에는 가연성 위험물이나 폭발성 물질들이 대량으로 취급되고 있기 때문에 비록 적은 공정이라도 화재나 폭발이 발생하면 대규모의 피해를 초래한다. 특히 화학공정산업에서 사고로 발생하는 손실의 2/3 이상이 폭발사고에 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즉 총 손실의 약 75%가 폭발사고에 의한 것이며 약 20%가 화재이고 나머지는 독성과 관련된 것으로 나타나 있다. 화학공정에서의 폭발 사고에 의한 피해 관련정보는 많은 자료에 의해 보고되고 있다. 실제로 막대한 파괴와 인명손실을 가져오는 과압은 일반적으로 폭발에서 발생되는 최대 압력인 6-8kg/$\textrm{cm}^2$ 보다도 훨씬 낮다.(중략)

  • PDF

살충제분해에 관여하는 동양종(東洋種)꿀벌의 효소활성(酵素活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Enzyme Activities of a Honeybee(Apis cerana F.) Associated with the Degradation of Some Insecticides.)

  • 서용택;심재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7-54
    • /
    • 1989
  • 동양종(東洋種)꿀벌 (Apis cerana F.)에 대(對)한 살충제(殺蟲劑)의 독성(毒性) 및 해독능력(解毒能力)을 조사(調査)하고 농약한계 사용량 결정에 기여하기 위하여 7가지 대표적인 살충제의 꿀벌에 대한 독성 및 해독효소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효소 활성은 해독효소로 알려진 microsomal oxidases, glutathione S-transferasecs, esterase와 DDT-dehydrochlorinase를 조사했고 성충(成蟲)일벌의 중장(中腸)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LC_{50}$치의 측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시 살충제중 DDT가 19ppm으로 독성(毒性)이 가장 낮았고 EPN이 0.75ppm으로 독성(毒性)이 가장 강(强)했다. 2. 준치사농도(準致死濃度)의 농약(農藥)이 성충(成蟲)일벌의 microsomal oxidase에 미치는 영향은 malathion 및 demeton S-methyl 처리가 aldrin epoxidase활성을 저해시켰고 N-demethylase활성은 carbayl 처리구에서 증대(增大)되었다. 3. Glutathione S-transferase(DCNB conjugation)활성은 diazinon과 malathion처리구에서 증대되었다. 4. Esterase는 malathion 및 permethrin처리구에서 ${\alpha}-NA$ esterase 활성(活性)의 저해(沮害)를 보였고 carboxylesterase와 AchE 활성은 거의 영향이 없었다. 5. DDT-dehydrochlorinase 활성은 carbaryl, malathion과 demeton S-methyl 처리구에서 저해를 보였다.

  • PDF

서양종(西洋種)꿀벌의 살충제분해효소에 관(關)한 연구(硏究) (Enzyme Activities of a Honeybee(Apis mellifera L.) Associated with the Degradation of Some Insecticides)

  • 서용택;심재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3호
    • /
    • pp.241-248
    • /
    • 1988
  • 서양종(西洋種) 꿀벌(Apis mellifera L)에 대(對)한 살충제의 독성(毒性) 및 해독능력(解毒能力)을 조사(調査)하고 농약한계사용량(農藥限界使用量) 결정(決定)에 기여(寄與)하기 위하여 7가지 대표적(代表的)인 살충제의 꿀벌에 대한 독성(毒性)및 해독효소(解毒酵素)의 활성(活性)을 조사(調査)하였다. 효소활성(酵素活性)은 해독효소(解毒酵素)로 알려진 microsomal oxidases, glutathione S-transferases, esterases 와 DDT-dehydrochlorinase를 조사(調査)했고 성충(成?)일별의 중장(中腸)을 사용(使用)하여 측정(測定)하였다. $LC_{50}$치(値)의 측정결과(測定決果) 공시(供試) 살충제중(殺?劑中) DDT가 58ppm으로 독성(毒性)이 가장 낮았고 EPN이 1.61ppm으로 독성(毒性)이 가장 강(强)했다. 준치사농도(準致死濃度)의 농약(農藥)이 성충(成?)일벌의 microsomal oxidase에 미치는 영향은 malathion 및 permethrin 처리(處理)가 aldrin epoxidase 활성(活性)을 저해(沮害)시켰고 N-demethylase 활성(活性)은 diazinon 처리구(處理區)에서 증대(增大)되었다. Ghtathione S-transferarse(DCNB conjugation) 활성(活性)은 diazinon과 permethrin 처리구(處理區)에서 증대(增大)되었다. Esterase는 malathion 및 permethrin 처리구(處理區)에서 ${\alpha}-NA$ esterase활성(活性)의 저해(沮害)를 보였고 diazinon처리구(處理區)에서 carboxylesterase활성(活性)이 증대(增大)되었으며 AChE 활성(活性)은 거의 영향(影響)이 없었다. DDT-dehy drochlorinase활성(活性)은 carbaryl 및 permethrin 처리구(處理區)에서 증대(增大)되었다.

  • PDF

국내유통 채소류 및 과일류 중 다환방향족탄화수소 분석 (Determining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domestic vegetables and fruits)

  • 하수정;오남수;김수연;이효민
    • 분석과학
    • /
    • 제19권5호
    • /
    • pp.415-421
    • /
    • 2006
  • 채소류 및 과일류 중 PAHs 분석방법을 확립하고 오염실태 파악을 위하여 서울, 춘천, 대전, 광주, 부산의 5대 도시 시장에서 채소류 13종, 과일류 5종 총 210건을 채취하였다. 균질화된 시료를 dichloromethane으로 초음파추출하고 탈수한 후 Sep-Pak Florisil Cartridge로 정제하여 HPLC/FLD로 동시 정량 분석하였다. 시료에 표준물질을 spike하여 전처리 후 기기분석한 결과, 각각의 PAH에 대한 회수율은 약 95~102%였으며, 검출한계는 PAH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0.002~0.5 ng/g 수준이었다. 채소류 및 과일류 중 8가지 총 PAHs의 평균 함량은 0.19 ng/g이었으며 개별 평균 PAH 함량은 benzo(a)anthracene 불검출, chrysene 0.014 ng/g, benzo(b)fluoranthene 0.031 ng/g, benzo(k)fluoranthene 0.016 ng/g, benzo(a)pyrene 0.019 ng/g, dibenzo(a,h)anthracene 0.091 ng/g, benzo(g,h,i)perylene 0.016 ng/g, indeno(1,2,3-c,d)pyrene 불검출 수준이었다.

해충저항성 Bacillus thuringiensis (Bt) 벼의 환경위해성 평가: 해충저항성 Bt벼가 물벼룩(Daphnia magna)에 미치는 영향 (Evaluation and Assessment of Biosafety for Bacillus thuringiensis (Bt)-transgenic Rice: Responses of Daphnia magna Fed on Bt-transgenic Rice Variety)

  • 오성덕;신혜철;손수인;이기종;김효진;류태훈;이장용;박범석;권순종;서석철;박종석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4권4호
    • /
    • pp.296-302
    • /
    • 2011
  • 해충저항성 Bacillus thuringiensis (Bt) 벼와 낙동벼의 비표적 생물체인 물벼룩(Daphniamagna)에 대한 급성독성시험을 실시한 결과, 해충저항성 Bt벼의 48시간-$EC_{50}$은 4,429.13 mg/L(95% 신뢰한계는 3908.130~5020.363 mg/L), 무영향 농도(NOEC)는 1,800 mg/L이었고, 낙동벼는 48시간-$EC_{50}$은 2,889.56mg/L (95% 신뢰한계는 1,073.407~6,854.321 mg/L), 무영향농도는 1,000 mg/L이었다. 처리기간 중 해충저항성 Bt벼와 낙동벼간의 급성독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은 발생하지 않았다.

계절 특성을 고려한 독성 피해예측에 따른 위기대응 고도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dvancement of the Contingency Plan upon Prediction of Toxicity Damage Considering Seasonal Characteristics)

  • 황만욱;황용우;이익모;민달기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23-32
    • /
    • 2016
  • 오늘날 주민 생활공간과 인접해 있는 산업단지의 노후화 문제는 지역사회 안전을 위협하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의 위험도 분석 및 지역사회 고지범위를 제고하기 위해 대안의 사고시나리오의 영향범위와 계절별 기상 최빈값을 활용하여 모사된 영향범위를 비교 분석하였고, 시간대별로 관측된 풍향을 계절별로 검토하여 독성물질 누출 시 피해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예측하였다. 또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한계 대피시간 및 최소 이격거리를 제시하였으며, 비상대응에 활용되고 있는 위해관리계획서를 고찰하여 인근 근로자 및 주민에 대해 한층 더 합리적인 안전대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