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독성(毒性)

Search Result 10,976,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Keratinocyte모델에서 발암성 이환방향족아민의 종(species)간 독성 감수성

  • Jeon, Hyang-Suk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12 no.2
    • /
    • pp.26-38
    • /
    • 1999
  • 조리가공 중 생성되는 주요 발암성 이환방향족아민(heterocyclic aromatic amine)인 Trp-P-1 및 Trp-P-2가 human 및 rat keratinocytes에 대해 나타내는 세포 독성을 colony expansion법의 의해 조사, 비교하였다. 특히 Trp-P-2는 human keratinocytes에 대해서는 독성을 나타내지 않은데 반해 rat keratinocytes(계대수 2-5)에 대해서는 독성을 나타내는 선택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Trp-P-2의 종(species)간 독성감수성 차이가 대사 효소계 활성이나 mutagenic activation상의 차이에 기인되는지를 살펴본 결과, CYP4501As 및 독성감수성 차이가 크게 나타났던 human 및 rat keratinocytes의 microsome에서 거의 같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CYP4501A1 및 CYP1B1의 mRNA의 발현정도를 northernblot에 의해 살펴보았던 결과에서도 일치하였다. 반면 Trp-P-2의 대사활성화 및 해독화에 관여하는 효소인 N.O-acetyltransferase(NAT)활성은 rat keratinocytes보다 human keratinocytes에서 높았다. 일반적으로 독성물질의 해독화에 관여하는 glutathione S-transferase(GST) 또한 rat keratinocytes보다 human keratinocytes에서 높게 나타났다. Trp-P-2가 mutagenic metabolite로 활성화되는 정도를 salmonella microsome microsuspension assay로 살펴본 결과, 독성 감수성 차이가 크게 나타났던 human 및 rat keratinocytes간의 활성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DNA 및 단백질 adduct형성능의 경우, human 및 rat keratinocytes간 DNA adduct형성능에는 차이가 없었고, 단백질 adduct형성능의 경우만 Trp-P-2에 대한 독성감수성 정도가 컸던 rat keratinocytes가 다른 세포들에 비해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CYP1A- 또는 CYP1B1-관련 마이크로솜 효소활성이나 mutagenic activation은 human 및 rat keratinocytes간에 나타났던 독성 감수성의 차이를 설명할 수 없으며, 해독화에 관여하는 효소활성이 종간 관찰되었던 독성 감수성의 차이에 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 PDF

Toxicity Evaluation of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Using Human HepG2 Cell Line, Lumbricus rubellus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HepG2 인간 세포주, Lumbricus rubellus 및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이용한 내분비교란물질의 독성평가)

  • Sohn, Ho-Yong;Kim, Hong-Ju;Kum, Eun-Joo;Cho, Min-Seop;Lee, Jung-Bok;Kim, Jong-Sik;Kwon, Gi-Seok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16 no.6
    • /
    • pp.919-924
    • /
    • 2006
  • Toxicity evaluation systems for various chemicals and their metabolites have been developed during last decades. In this study, the acute toxicity of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such as endosulfan, bisphenol A, vinclozolin, and 3,5-dichloroaniline, was evaluated using HepG2 cell line, Lumbricus rubellus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respectively. The extents of toxicity of the chemicals in different bioassay systems varied substantially, such as endosulfan>3,5-dichloroaniline> bisphenol A in HepG2 cell line system, endosulfan>bisphenol A>3,5-dichloro aniline in L. rubellus system, and 3,5-dichloroaniline>endosulfan>bisphenol A in S. cerevisiae system. Meanwhile, no cytotoxicity was observed by treatment of vinclozolin in the evaluation systems. Our results suggest that earthworm and yeast are useful to evaluate acute toxicity of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and direct comparison of toxicity data from different bioassay systems is unattainable. Based on our results, we propose that the bioassay system with earthworm or yeast, a rapid, simple and economic system, could be applied as pre-test for the toxicity evaluation using human cell line or animals.

A Study on the Toxic Gases Released from Fire Retardant Finishing Materials (가스검지관법에 의한 방염시료의 연소가스 독성평가)

  • Lee, Hae Pyeong;Park, Young Ju;Lim, Suk Hwan;Kim, Jung In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95-195
    • /
    • 2011
  • 본 연구는 방염성능시험에 의한 필름 및 도료처리 시료를 대상으로 화재 시 발생하는 연소가스 중의 독성에 대하여 NES 713 방법에 의해 분석하고, 독성지수를 확인함으로써 연소 시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간접적으로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기존 방염제품 중 필름과 도료처리 그리고 도료처리 후 기간이 경과한 시료의 3가지로 실험군을 구분하였으며, NES 713 방법으로 연소가스를 분석하고 독성지수를 평가하였으며, 추가로 기존의 국내 노출기준과의 비교를 수행하였으며, 국내 NES 713 방법을 활용한 선행연구들을 참조하였다. 발암가능 추정물질인 아크릴로니트릴은 총 18개의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 포름알데히드는 9개의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염화수소와 브롬화수소는 각각 5개의 시료들에서 검출된 반면에 도료처리된 시료에서는 각각 1개만이 검출되었다. 그 외 일산화탄소와 이산화탄소 그리고 질소산화물은 모든 시료에서 공통적으로 검출되었다. 독성지수는 최소 3.5에서 최고 9.4의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NES 713 분석결과와 독성지수 산출 및 기존 국내 노출기준과의 비교를 수행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현행 국내 기준 상 방염제품의 독성시험 등에 관한 기준이 없고, 둘째, 방염제품에 대한 연소가스 독성 등을 평가한 선행연구가 제한적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독성지수의 적용이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현실에서 산출도나 독성지수의 위해정도를 평가하기 어렵고, 시료의 수량이 총 18개로서 많지 않았다는 점에서 전체 방염제품의 연소가스 독성의 잠재적인 위험성을 추정할 수는 있지만 대표성을 갖기에는 문제점이 있다는 한계성을 벗어날 수 없었다. 따라서 향후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방염제품들을 대상으로 무작위 선정을 통한 연구 설계 및 실험 연구가 수행된다면 보다 객관적이고 대표성을 지닌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FETAX와 Microtox에 의한 대구 금호강 하상퇴적물의 생태독성 평가

  • 이순애;정홍배;문성환;류태권;김소정;정진애;안현미;정세영;김용화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Toocic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133-133
    • /
    • 2001
  • 금호강 하상퇴적물의 오염 상태를 평가하는 일환으로 대구시 외곽 상류지역과 하류지역에서 각각 한 정점씩 선정하여 상ㆍ하류 지역간 생태 독성의 수준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목적상 FETAX와 Microtox bioassay를 생태독성평가 수단으로 활용하였다. FETAX(Frog Embryo Teratogenesis Assay-Xenopus)는 Xenopus laevis의 embryos를 이용하여 환경오인물질의 최기형성과 급성독성을 평가하는 기법이다. (중략)

  • PDF

생태독성 배출관리제도 5개년 계획(2008-2012)

  • Korea Environmental Engineers Federation
    • Environmental engineer
    • /
    • no.6 s.262
    • /
    • pp.14-21
    • /
    • 2008
  • 환경부는 최근 사용 및 배출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수질유해물질의 독성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미지의 독성물질로 인한 수생태계 위해성 저감을 위해 생태독성 배출관리제도를 도입했다. 이에 따라 2011년부터 산업폐수 배출시설 82개 종류중 석유정제품 제조시설 등 35개 종류의 시설과 폐수종말처리시설에는 생태독성 배출허용기준이 적용되며, 관할 행정기관에서는 각 배출시설에 대해 생태독성 배출허용기준 준수여부를 정기적으로 점검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본지는 환경부 산업수질관리과의 도움으로 새로운 제도를 게재한다.(편집자주)

  • PDF

백금항암제 cisplatin에 의한 신장독성 억제물질 개발연구

  • 정세영;박정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3.04a
    • /
    • pp.173-173
    • /
    • 1993
  • kit는 cisplatin 투여 1시간전에 투여하였을때가 동시투여 후투여에 비해 좋은 효과를 나타났으며, 시장독선 지표를 모두 정상치까지 끌어내려 독성이 없으면서 cispltin의 신장독성을 완전히 억제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물질로 생각되었다. BNA는 cispltin투여 1시간후에 투여 하였을때가 동시투여, 전투여에 비해 효과가 좋았으며 용량증가는 오히려 신독성의 증가를 가져왔고 전투여가 특히 독성이 높다. 간 microsomal효도 유도가 cisplatin독성에 영향을 줄지 모른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Reducing effects of taurine on organ toxicity of paraquat

  • Lee, Jeong-Hun;Young, Choung-S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6.04a
    • /
    • pp.231-231
    • /
    • 1996
  • Paraquat(1.1'-dimethyl-4,4'-bipyridinium ion, PQ)는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농약으로 자살 또는 실수로 마시는 경우 예외없이 폐독성으로 사망하게 된다. 하지만 아직까지 임상에 사용되어지고 있는 효과적인 독성 경감제는 전무한 실정이다. 현재까지 밝혀진 paraquat의 주된 독성기전은 NADPH Cytochrome P$_{450}$ reductase에 의해 산화,환원 반응을 거치는 동안 free radical을 생성하여 세포막에 지질과산화를 일으켜서 세포막의 기능상실과 cell death를 일으킨다고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작용이 뛰어난 아미노산인 taurine(TA)의 radical scarvenging 효과에 의한 PQ 독성경감효과를 in vivo에서 검색하였고, in vitro에서 TA의 PQ 독성경감 mechanism을 밝히고자 하였다. in vivo에서 PQ의 간독성(s-GOT,s-GPT), 신장독성(BUN, Creatinine), 폐 및 전신독성(ALP, MDA, G-6-phosphatase)의 정도를 혈액 및 조직균질액 중에서 검색함으로써 TA의 독성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