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독서성취도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3초

생산적 독서 습관과 독서에 대한 해석이 독서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roductive Reading Habit and Construal of Reading on Reading Performance)

  • 이국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565-575
    • /
    • 2022
  • 현 연구는 생산적 독서 습관(PRH)과 독서에 대한 해석이 독서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고, 독서를 지속적으로 하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에게 어떤 심리적 차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309명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PRH이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을 구분하였고, 독서에 대한 구체적(어떻게) 대 추상적(왜) 해석을 점화한 후, 6주간 독서 수행을 조사하였다. 그 후 수집한 자료에 대한 카이스퀘어 분석과 변량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PRH이 높은 집단이 이것이 낮은 집단에 비해 독서한 날 수가 많고, 총 독서 시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PRH이 높은 집단은 독서에 대한 해석에 따라 독서한 날 수와 독서시간이 달라지지 않았다. 반면 PRH이 낮은 집단은 독서에 대해 구체적으로 해석하는 조건일 때가 이를 추상적으로 해석하는 조건일 때보다 독서한 날 수가 많고, 총 독서 시간이 길어지는 효과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PH가 낮은 사람들이 과업을 시작하고 집중을 유지할 수 있게 해주는 것에 구체적 해석이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독서치료가 대학생의 역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ibliotherapy Courses on the Competency of College Students)

  • 이연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561-58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독서치료가 대학생의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독서치료 강좌에 참여한 학생을 대상으로 1) 역량정도의 변화를 양적으로 측정하여 분석하였으며, 2) 독서치료 강좌에 대한 학생들의 경험을 기술한 자료를 토대로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독서치료는 대학생의 자아정체성을 형성하고, 대인관계 형성에 도움을 주며, 문제해결, 성취동기를 강화하는 등 대학생의 역량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에 독서치료 강좌를 편성 운영하는 것에 대한 타당한 근거가 될 수 있다.

학교도서관 운영 인력이 학생들의 독서행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chool Library Personnel on Students' Reading Behaviors in Korea)

  • 박주현;변우열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23-147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 운영 인력이 학생들의 독서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학생들의 독서행태에 대한 학교간의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전국 154개교의 초, 중, 고등학생 5,349명을 대상으로 독서환경, 학교도서관, DLS와 관련된 내용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분석결과, 사서가 근무하고 있는 학교보다 사서교사가 근무하고 있는 학교의 학생들이 독서하는 시간이 더 많았고, 다양한 독서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으며, 읽을 책을 선정할 때 사서교사의 도움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책을 더 많이 대출하였고, DLS를 이용한 경험이 많았으며 DLS에 대한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간 차이는 '사서선생님의 수업', '대출권수', '책 선정시 사서선생님의 도움', '하루 평균 독서시간', '가정 보유 책 수', '학교도서관에서 책읽기'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간의 교육환경에 대한 불평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학교도서관 운영 인력을 배치하고 이들의 전문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범교과 학습주제를 적용한 진로독서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areer Reading Program Applying Cross-curricular Learning Themes)

  • 송지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67-29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 교육과정과 연계할 수 있는 범교과 학습주제의 성취기준을 분석하고, 학교도서관에 활용할 수 있는 진로독서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범교과 학습주제를 10개 주제로 범주화하고, 진로교육의 세부 내용요소를 통합적으로 다룰 수 있는 범교과 학습 활동을 통해 독서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수업모형을 설계하였다. 둘째, 중학생 5개 반 137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범교과 기반의 진로독서 수업모형을 통해 자기이해, 진로탐색, 진로설계 영역의 진로독서 수업을 실행하였다. 셋째, 연구의 분석을 위해 진로독서 평가 자료를 구축하여 분석하였으며 일화기록과 체크리스트의 다각적인 관찰과 실행연구를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진로독서 스토리텔링과 흥미유형의 진로 멘토 중심 도서목록 자료를 제시하고, 학교 현장에서의 진로독서 교육 활동을 제안하였다.

학습만화에 대한 초등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분석 연구 (An Analysis on the Perception of Students & Parents to Comics for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s)

  • 이종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27-246
    • /
    • 2012
  • 출판업계가 불황을 타개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이른바 학습만화를 고안해 내면서 만화를 통해 교과학습 및 관련 사물을 이해하려는 학생들의 수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만화에 대한 유해성이 높은 독서자료라는 과거의 인식은 아직도 많은 학부모들로 하여금 자녀들의 만화독서를 금지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다면 실제 만화를 독서하고 있는 학생들과 이를 대하는 학부모들은 만화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가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3개 초등학교 3학년부터 6학년까지 한반씩 총 12개 반의 291명의 학생들과 203명의 학부모 설문지가 유효하다고 판단하여 분석한 결과, 상당수의 학생들이 학교도서관 등의 정보원으로부터 학습만화를 입수하여 독서한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학습만화가 학업성취에 상당히 도움이 되고 있으며 두 집단에서 학습만화 독서가 일반 독서로 이어지는 독서전이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교 도서관운영자는 학습만화를 중요한 교수학습매체로써 인식해야 하며 아울러 독서흥미유발을 위한 견인매체로써 학습만화를 활용하여야 하고 정규교과목 시간에서도 교수학습활동에 학습만화를 보조교재로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디지털 협력수업이 독서 리터러시에 미치는 효과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Digital Co-Teaching on Reading Literacy)

  • 박주현;강봉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211-230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으로 진행된 교사 간 디지털 협력수업이 학생들의 독서 리터러시 향상에 어떠한 효과가 있었는지를 확인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사전검사를 하였고, 2차시에 걸쳐 교사 간 디지털 협력수업을 실시한 후 사후검사를 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 사전과 사후 검사에서 결측값이 없는 101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OECD의 PISA 독서 리터러시 평가틀과 요인분석을 통해 표현능력과 이해능력 및 정보활용능력으로 구성된 독서 리터러시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자기보고 식으로 독서 리터러시 역량의 변화도를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디지털 협력수업은 고등학생의 표현능력과 이해능력 및 정보활용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OECD가 주관하는 PISA의 독서 리터러시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디지털 협력수업이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학업성취와 자율적 행동역량 : 독서시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into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Key Competency of Acting Autonomously : With a Special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Book-reading Hours)

  • 이정민;이강이
    • 아동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1-13
    • /
    • 2011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hours spent on book-read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Key Competency of Acting Autonomously.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Korean Assessment of the Key Competencies of Youth in 2009', which was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participants were 2,781 elementary school students, 2,770 middle school students and 3,599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selected from 12 areas of Korea. The data was analyzed by means of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also through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1)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hours spent in book-read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competency of acting autonomously, 2) the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on the competency of acting autonomously was partially mediated by the hours spent in book-reading, 3)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the most influential when it came to elementary students, followed next by middle school and then finally high school students.

다중지능이 도서 선호 양상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 Analysis of Multiple Intelligences' Effect on Book Selection Preferences)

  • 최영임;한복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101-115
    • /
    • 2009
  • 본 연구는 다중지능 이론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다중지능 유형에 따른 도서 선호 양상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학업 성취 수준 간에 비교분석하였다. 자료조사를 위하여 충남 천안의 인문계 고등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자료를 기초로 하여 학업 성취도 상위집단과 하위집단 각각 50명을 표본으로 학생 개개인의 다중지능에 따른 도서 선호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효과적인 독서지도를 위한 자료로서 후속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연구행태 분석 - 2001년-2014년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Research Behaviors in Bibliotherapy Programs: Focusing on Journal Articles during 2001-2014)

  • 이명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47-169
    • /
    • 2014
  •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분야의 독서치료 프로그램 수준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 2001년도부터 2014년도까지 학술지에 기록된 총 6가지 전공분야의 독서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논문들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논문들의 연구경향, 전공영역별 내용과 연구주제별 내용, 연구주제별 세부주제 등을 분석한 결과, 일반적으로 연구자의 신분은 교수 강사의 비중이 대학원생보다 높았으나 문헌정보학과 심리학 분야에서는 대학원생의 비중이 교수 강사의 비중보다 높았다. 또한, 모든 분야에서 초등생을 대상으로 학교와 도서관에서 프로그램이 자주 실시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주제별로는 자존감 관련 프로그램이 가장 많이 진행되었으며 그 외에 우울증, 결손가정, 사회성, 학업성취, 대인관계 등의 주제들이 다루어지고 있었다. 연구주제별로 세부주제와 측정도구, 활용자료 등이 제시되었다. 제언으로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추후 독후 활동에 대한 분석, 심리학적 제 이론의 적용 등을 제시하였다.

TIMSS 2015에서 과학 성취도와 흥미에 영향을 주는 교육맥락변인 분석 (Effects of Educational Context Variables on Science Achievement and Interest in TIMSS 2015)

  • 곽영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13-12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TIMSS 2015 결과를 분석하여 성취수준별로 학생들의 과학성취도와 흥미에 영향을 주는 교육맥락변인을 탐색하고 집단 특성에 맞는 교수 학습 방법을 도출하려는 것이다. 과학 성취와 흥미에 미치는 교육맥락변인의 영향력을 비교하기 위해 위계선형모형에 의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4학년 과학성취도의 경우에는 우수수준 이상 학생들의 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도서보유량, 부모학력, 수업에 대한 학생 인식이었고, 보통수준 이하 학생들의 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도서 보유량으로 확인되었다. 8학년 과학성취도의 경우에는 우수수준 이상 학생들의 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도서 보유량, 수업에 대한 학생 인식, 재학생의 경제적 배경으로 확인되었고, 보통수준 이하 학생들의 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도서 보유량과 과학 수업에 대한 학생 인식으로 확인되었다. 학년을 막론하고 도서 보유량과 과학 수업에 대한 학생 인식은 학생의 과학 성취도와 흥미에 주는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초등학교와 중학교 과학과 교수학습에 주는 시사점을 모든 학생들을 위한 체계적인 독서 프로그램 제공, 중학교 학생참여형 과학 수업을 활성화, 초등학교 보통수준 이하의 학생들을 위한 탐구실험 체험과 개념 연계 수업 등의 측면에서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