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독락당 일곽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4초

독락당(獨樂堂) 일곽(一郭)과 향단(香壇)의 해체예술론(解體藝術論)적 고찰 - Christopher Norris의 해체예술의 세 특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ok-Rak-Dang and Hyang-Dan, Upper Class Houses of Chosun Dynasty, with The Perspective of Deconstructionist Art Theory)

  • 권태일
    • 건축역사연구
    • /
    • 제15권4호
    • /
    • pp.87-105
    • /
    • 2006
  • Dok-Rak-Dang and Hyang-Dan, upper class houses of Chosun Dynasty on the early and mid 16th century, are generally known as specific style houses among traditional residences in Korea. Architectural singularities of these two residences are summarized as double facades, uncertain circulation, self-secluding construction, dilemmatic structure, and rotative circulation that are far from architectonic principle of that time. Characters of Deconstructionist Art, deconstruction of binary oppositions, double session, displacement without reversal, and paradox, are very similar to those of two residences both as a material phenomenon and as a metaphysical idea. Thus, this paper attempt to analyze architectural singularities of Dok-Rak-Dang and Hyang-Dan with the perspective of Deconstructionist Art Theory.

  • PDF

독락당(獨樂堂) 일곽(一郭)의 계획개념과 설계원리 (The Planning Concepts and Design Principles of Dok-Rak-Dang Block)

  • 장선주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93-101
    • /
    • 2013
  • This research purposes to understand architectural aim which the owners of buildings in the Doa-Rak-Dang block pursue through the history of family and construction. Moreover its other purpose is to find the design concepts which were selected to achieve the aim and the design elements which were applied to realize the design concepts. To accomplish the objects, it got rid of a stationary viewpoint but it approached with a dynamic viewpoint which can read the changes in the steps during various periods. Through the 100-year history of construction, the architectural aim of the Doa-Rak-Dang block is to establish the tradition of the Ok-San-Pa family to get over the social limitations of the family of a child by a concubine which began from Lee, Eun-Juk's mistress. The design concepts which were used by the owners of the Dok-Rak-Dang block to achieve the purpose are the extension of public territory and the enrichment of territoriality which have social-political, economical and symbolic means. The geometric applications such as axises and regulating lines were the design elements which were chosen to fulfill the concepts. If the establishment of the architectural aim and design concepts, the process of selecting and constructing proper design elements, and the geometric application in the process are the design principles of the Doa-Rak-Dang block, the principles can be summarized as the geometric applications of axises and regulating lines interacting as the standard of the extension of public area.

독락당 원림 경관조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naging the Landscape in Dok-Rak-Dang Garden)

  • 정윤영;성종상;배정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96-105
    • /
    • 2011
  • 이 연구는 문헌고찰과 현지관찰을 통해, 회재 이언적이 조영한 독락당 원림 내 장소들의 위치를 추정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원림의 경관조영특성을 분석하였다. 회재가 은거를 위해 독락당과 함께 조영했던 원림 즉 자계주변공간은, 회재 이전에는 있는 그대로의 자연이었지만, 회재가 그곳을 거닐고 관찰하면서 산과 물과 바위를 선택하고, 거기에 이름을 붙임으로써 '사산오대'라는 특별한 장소가 되었다. 사산오대의 사산은 독락당 일곽을 위요하고 있는 북에 도덕, 남에 무학, 동에 화개, 서에 자옥산을 말하고, 오대는 자계계곡 경치 좋은 곳에 위치한 바위에 이름 붙인 세심, 관어, 영귀, 징심, 탁영대를 말한다. 독락당 원림의 경관조영 특성은 자연과 합일하는 미적 체험의 태도인 '인공과 자연의 공간적 연결', 자연 내의 공간을 체험적 관점에서 '유기적으로 영역화', 자연을 관찰하고 경관을 취하여 이름을 붙이는 일련의 과정을 통한 '사유화된 자연의 장소화'에 있다. 원림 내에서 사산오대는 자연을 미적으로 체험하기 위한 경관 거점이자 요소로 기능한다. 그 특성은 자연을 인위적으로 변형하는 구축적 조형 태도와는 구별되는, '있는 그대로의 자연을 즐기는'전통적인 자연관에서 비롯되었고, 조영자의 사상적, 미학적 관점이 취경과 명명의 방법으로 의도된 공간 질서를 만들고, 미적 체험을 통해 '장소화'가 이루어짐으로써, 구축 중심의 정원조영과는 구별되는 실천적인 한국적 정원조영의 태도를 보여 준다. 연구의 결과는 전통정원의 미학적 연구에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