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플러 쉬프트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Analysis of Satellite image to extract Ocean Currents (인공위성영상을 이용한 해수유동 정보 추출)

  • Lee, Moon-Jin;Kim, Hye-Jin;Hwang, Ho-Jin;Lee, Seung-Hyun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7.05a
    • /
    • pp.35-41
    • /
    • 2007
  • 인공위성영상을 이용한 해양정보 추출을 위하여 SAR 위성영상을 이용한 해수유통 정보 추출을 연구하였다. SAR(Synthetic Aperture Radar) 위성영상의 도플러 쉬프트 정보를 이용한 해수유동 정보 추출은 적용기술의 근본적 한계로 인하여 실제 유속이 아니라 위성궤도의 법선방향에 대한 유속강도만을 제시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한계 및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 촬영과 통일한 시간에 동일한 해역에서 해수유통을 관측하고, 관측된 해수유통 정보를 이용하여 위성영상에서 추출된 해수유동 정보를 보완 검증 하였다. 위성영상 추출 해수유통정보의 위성궤도 법선방향 유속강도는 관측된 해수유통 유향분포도에 근거하여 실제 해수유동 유향에 맞게 보정될 수 있었으며, 보정된 해수유통 정보는 실제 해수유동 분포를 잘 반영할 수 있었다.

  • PDF

Improved Equalization Technique of OFDM Systems Using Block Type Pilot Arrangement (Block Type 파일럿 배치를 적용한 OFDM 시스템의 등화 기법 개선)

  • Kim Whan-Woo;Kim Ji-Heo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5 no.3
    • /
    • pp.113-120
    • /
    • 2006
  •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a equalization technique for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systems based on a block type pilot arrangement over slow fading channels. The bit rates obtained in underwater channels are relatively modest compared to some other communication channels such as cellular phones or indoor wireless systems. Consequently. the Doppler effect is the important parameter in tracking a channel. In case of a coherent demodulation scheme, the residual mean phase errors due to Doppler frequency may be fatal for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The equalizer could not solely handle mean Doppler shift. To account for the common Doppler effect a phase error tracking loop is used with the frequency equalizer. so that the rotation errors are avoided. Furthermore. simulations show that we can reduce the computational load of the tracking loop with negligible effect on performance.

Analysis of Field Noise from High Speed Train Using Dedopplerization (도플러 보정을 통한 고속열차 현장 측정 소음 분석)

  • Lee, Yong Woo;Lee, Duck Joo;Kwon, Hyeok Bin;Yun, Su Hwa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 /
    • v.23 no.5
    • /
    • pp.431-437
    • /
    • 2013
  • Measured acoustic signal from operating high speed train contains frequency change called doppler shift due to its motion. To avoid this doppler shift wind tunnel test is required. But scaledown of model can cause change of source characteristics. And measurements using some part of train cannot reproduce real flow condition. The best way to recognize real noise source characteristics is measurement from operating high speed train but doppler shift makes it hard. So, we developed simple dedopplerization technique for one microphone and applied to field test data of high speed train. Through this, we could capture real frequency of noise from operating high speed train.

Analysis and application of ocean currents information extracted from SAR satellite image (SAR 위성영상 해수유동 정보추출 및 활용)

  • Lee, Moon-Jin;Kim, Hey-Jin;Lee, Seung-Hyun;Hang, Key-Y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3 no.4
    • /
    • pp.21-26
    • /
    • 2007
  • A study on analysis and application of ocean currents information extracted from SAR (Synthetic Aperture Radar) satellite image. The current information extracted from SAR satellite image is not real vector information but scalar information in normal direction of orbital path. To correct current information extracted from satellite image, observation of currents in the field is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and area as those of satellite image. In the analysis, current information extracted from satellite image is corrected by using observed ones. By this correction, the speed and the direction of current can be estimated. The extract current information seem to agree well with the observed ones.

  • PDF

Correction of Mean Phase Error for OFDM and SC-CP Systems using Decision-Directed Method (OFDM 및 SC-CP 시스템에 대한 결정지향 방식의 평균위상에러 정정)

  • Kim Ji-Heon;Kim Whan-Wo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TC
    • /
    • v.42 no.12
    • /
    • pp.77-84
    • /
    • 2005
  • The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technique and the single carrier with cyclic prefix (SC-CP) scheme are very attractive solutions for wireless applications, being computationally efficient since equalization is performed in the frequency domain. The equalizer could not entirely handle significant mean. Doppler shift. This motivates the use of a phase error tracking loop that operates jointly with the frequency equalizer. This paper describes the effect of the mean phase error and the performance of the proportional equalizer coupled with a phase error tracking loop based on decision-directed method. Furthermor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we can reduce the computational toad of the tracking loop with minimal performance degradation.

Uncertainty Analysis on Vertical Wind Profile Measurement of LIDAR for Wind Resource Assessment (풍력자원평가를 위한 라이다 관측 시 풍속연직분포 불확도 분석)

  • Kim, Hyun-Goo;Choi, Ji-Hwee;Jang, Moon-Seok;Jeon, Wan-H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185.1-185.1
    • /
    • 2010
  • 원격탐사(remote sensing)란 관측 대상과의 접촉 없이 멀리서 정보를 얻어내는 기술을 말한다. 기상관측분야에는 이미 소다(SODAR) 장비가 폭넓게 사용되거 왔으나 최근 풍력자원평가(wind resource assessment)를 위한 풍황측정에 SODAR와 더불어 라이다(LIDAR)가 적극적으로 활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참고로 SODAR(SOnic Detection And Ranging)는 수직 및 동서 남북 방향으로 음파를 발생시키고 대기유동에 의해 산란 반사된 에코를 수신하여 진동수 변화와 반사에코 강도를 측정하여 각 방향의 에코자료를 벡터 합성함으로써 풍향 및 풍속을 산출하는 원리이다. 반면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는 비교적 최근에 풍황측정 용도로 개발된 레이저 탐지에 바탕을 둔 원거리 센서로, 공기입자(먼지, 수증기, 구름, 안개, 오염물질 등)에 의해 산란된 레이저 발산의 도플러 쉬프트(Doppler shift)를 이용하여 풍향 및 풍속을 측정하는 원격탐사 장비이다. 풍력자원평가 측면에서 라이다는 그 정확도가 IEC61400-12에 의거한 풍황탑(met-mast) 측정자료 다수와의 비교검증 실측평가(Albers et al., 2009)를 통하여 입증된 바 있다. 한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운용 중인 라이다 시스템은 그림 1의 우측 그림과 같이 1초에 $360^{\circ}$를 스캔하여 50지점에서 반사되는 레이저를 스펙트럼으로 측정하되 설정된 관측높이에서 풍속은 샘플링 부피(sampling volume)의 평균값으로 정의된다. 그런데 샘플링 부피는 설정된 관측높이로부터 상하 12.5m, 총 25m의 높이구간에서 관측한 스펙트럼의 평균값을 그 중앙지점에서의 풍속으로 환산하는 알고리듬(algorithm)을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비선형적으로 변화하는 풍속연직분포 관측 시 풍속환산 알고리듬에 의한 측정오차가 개입될 가능성이 존재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라이다에 의한 풍속연직분포 측정 시 샘플링 부피의 구간 평균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확도(uncertainty)를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라이다에 의한 풍속연직분포 관측의 불확도를 정량평가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