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건축사업

Search Result 204,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도심 재개발사업 현황

  • Korea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 Korean Architects
    • /
    • no.5 s.170
    • /
    • pp.24-26
    • /
    • 1983
  • 다음자료는 서울시가 88올림픽을 앞두고 아름다운 서울로 가꾸기 위해 본격 추진 중인 도시재개발사업을 효과적으로 추진키 위해 사업의 성격과 추진방법 등을 일반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펴낸 ‘도시재개발’ 책자 가운데 회원업무에 도움이 될만한 부분을 발췌 소개한 것이다.

  • PDF

법령과고시 1 - 가스배관 벽체매립시대 열다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77
    • /
    • pp.40-43
    • /
    • 2013
  • 건축물 가스배관이 외벽이 아닌 벽체에 매립됨으로써 건축물 외관의 새 지평을 열게 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도시가스 사용에 따른 국민생활과 기업 활동에 불편을 주는 애로점을 해소하기 위해 건축물 도시가스배관 매립 등의 내용을 포함한 도시가스사업법 시행규칙을 지난 7월 25일 개정 공포하고 시행에 들어갔다. 이로써 7월 25일 이후 공사 입찰 공고분부터 가스배관의 벽체 매립이 적용된다. 그동안 도시가스배관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이 원칙이었으나 이번 도시가스사업법 시행규칙 개정으로 벽에 매립 설치됨으로써 도시가스배관을 이용한 범죄예방효과에 크게 기여할 뿐만 아니라 건축물 미관도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가스계량기의 설치는 계량검침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외부 설치가 유도됨에 따라 사생활 침해와 검침원 사칭 피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였고, 가스콘센트를 설치토록 하여 주민불편과 비용부담이 해소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번 도시가스사업법 시행규칙 개정은 그동안 대한설비건설협회 가스설비공사협의회(위원장 조종택)가 지속적으로 건의하여 받아들여진 것으로, 가스설비공사협의회는 건축물 내 가스배관 설치기준 연구의 정책 기술 자문위원으로 적극 참여한 바 있다.

  • PDF

Interview - "Architects and administrators are demanding more We will solve urban issues based on the public nature of architecture" (인터뷰 - "건축·행정에 건축사 전문성 더 많이 요구돼 건축의 공공성 토대로 도시현안 해결해나갈 것" _ 진희선 서울특별시 행정2부시장)

  • Jang, Yeong-Ho
    • Korean Architects
    • /
    • s.593
    • /
    • pp.140-145
    • /
    • 2018
  • "건축이 가진 본질적인 의무가 인간의 삶을 담는 공간, 더불어 공동체 속에서 살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내는 것이라 할 때, 건축의 공공성을 최우선 가치로 두고 공동체간 소통하며, 공유할 수 있는 공간들을 많이 만들어내는데 힘을 쏟을 계획입니다." 진희선 서울특별시 행정2부시장은 서울시에서도 손꼽히는 건축 도시전문가다. 기술고시 23회 출신으로 공직생활을 시작해 서울시 도시관리과장, 주거재생정책관, 주택건축국장 등을 지내고 지난 2015년 1월부터 도시재생본부장으로 업무를 수행하며 지역별 주거생활권 특성을 살린 정비사업 패러다임을 재정립했다. 개발과 보전의 조화를 통한 서울형 도시재생사업을 총괄해 서울의 건축 도시 기본틀을 마련했다는 평을 듣고 있다. 올 8월에는 서울시 행정2부시장에 임명돼 서울시 도시 건축행정 사령탑을 맡게 됐다. 건축전문가로 서울시 최고위직에 오른 거의 최초의 인물이라 서울시의 질적 성장에 기대가 크다. 작년 'UIA 2017 세계건축사대회' 개최는 우리 건축이 세계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계기가 됐다고 말하는 그는 앞으로 서울이 이전보다 더 주변과 어울려 하나의 공동체 역할을 할 수 있는 공간구조가 되도록 하고, 시민의견을 반영해 여러 도시문제를 조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PDF

Interview - About the local architecture seen from Anyang Art Park _ Architect Choi, Seungwon (인터뷰 - 안양예술공원으로 보는 지역건축에 대해서 최승원 건축사 _ 앙가주망 건축사사무소)

  • Jang, Yeong-Ho
    • Korean Architects
    • /
    • s.589
    • /
    • pp.126-141
    • /
    • 2018
  • 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APAP)는 한국에서 가장 성공적인 공공예술사업으로 손꼽힌다. 낙후된 유원지와 중소 도시 도심에 예술조형물로 활력을 불어넣고, 우수한 국내외 작가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도시의 격을 높여 시민의 자산으로 정착됐다는 평가를 받는다. 서울시의 도시 게릴라 프로젝트나 광주 비엔날레의 도심 조형물 설치 작업인 '폴리 프로젝트'가 벤츠마킹한 대상이 되기도 했다. APAP는 2005년 만안구 안양유원지를 정비해 예술공원으로 조성하는 것으로 시작돼 2007년에는 이를 도시공원화 작업으로 확대하며 평촌 일대에 공공조형물이 조성됐다. 2010년에는 골목 안으로 들어가 주민들과 함께 공동체 복원을 위한 프로젝트로 진행됐다. 특히 안양예술공원 안에 있는 안양 파빌리온(구 알바로 시자 홀)은 포르투갈 출신의 세계적인 건축사 알바로 시자(1992년 프리츠커상 수상)가 설계한 작품이다.(그는 이 작품에 이어 파주출판단지에 '미메시스 아트 뮤지엄'을 만든다.) 당연히 안양시 차원에서 추진된 공공예술사업에는 건축사 등 많은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최승원 건축사는 "지방건축발전에 기회가 오면 건축사가 적극 자문하여야 지방다운 건축이 살아나고 꽃피울 수 있다"고 강조한다. APAP 초창기부터 참여해 역할을 해온 최승원 건축사에게 안양예술공원으로 보는 지역건축에 대해 들어봤다.

  • PDF

해저도시 실증사업 입지선정 및 기후중립성 설계요건 연구

  • 박상욱;이한석;강영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1.11a
    • /
    • pp.94-96
    • /
    • 2021
  • 울산광역시 인근 연근해 해저도시 실증사업 후보지들에 대한 후보시설물의 입지선정 및 설계요건을 확인하고 이들 시설물의 개발, 제작, 시공, 운영, 철거 과정을 포함하는 생애 전주기를 대상으로 하는 기후중립성 설계요건을 제시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Program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Prototype to Support Urban Regeneration Based on System Requirement Analysis (시스템 요구사항 분석을 통한 도시재생사업 수행을 지원하는 종합사업관리 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

  • Yeom, Ji-Woong;Kim, Doo-Whan;Ahn, Byung-Ju;Kim, Ju-Hyung;Kim, Jae-J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9 no.4
    • /
    • pp.85-92
    • /
    • 2009
  • Urban regeneration projects have been actively proceeding all over Korea. Urban regeneration has become a critical issue in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with environmental-friendly construction and high-rise buildings being emphasized. Because these projectstend to become complex, urban regeneration projects require interest and approach on a level of program management that includes traditional project management. This paper develops aprototype for a new program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of a supports the promotion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rough the deduction of the requirements about system. The prototype of the program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includes functions that supply diverse information, support the process and legislation of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manage stakeholders, support decision-making, estimate and manage program risks, and manage the program level.

Interview - "Adding deep introspection as a national policy research institution, I would like to create a future architectural city policy and a new ten-year plan" (인터뷰 - "국책연구소로서 성찰 깊이 더해 미래 건축도시정책, 새로운 10년 만들어가야죠" _ 박소현 건축도시공간연구소장)

  • Jang, Yeong-Ho
    • Korean Architects
    • /
    • s.592
    • /
    • pp.124-129
    • /
    • 2018
  • "건축도시공간이 우리에게 어떤 의미인지, 우리에게 어떤 건축도시공간 서비스가 필요한지 성찰을 통해 국민들에게 다시 공감할 수 있도록 설명해야 할 시점 아닌가요?" "대다수 국민들이 납득할 수 있는 설명을 제시하는 연구, 일상생활에 실질적 도움이 되는 공간 환경 서비스 연구를 전개해 정책활용도와 전략의 현실성을 구체화시켜 나가겠습니다." 환하게 웃는 표정 속에서도 단호함이 묻어나온다. 지난 5월 취임한 박소현 제5대 건축도시공간연구소장을 7월 25일 세종시에서 만났다. 앞으로의 연구소 운영계획 방향에 대해 듣기 위한 취지였다. 2017년을 기해 개소 10년을 맞은 건축도시공간연구소(이하 auri)는 다가올 새로운 10년을 준비하고 있다. auri는 건축서비스산업이 당면한 각종 현안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국가건축정책의 싱크탱크로(Think Tank)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auri가 맡은 역할을 소개하면서, 박소현 auri 소장은 앞으로 "분야별 연계와 다학제 신기술이 기반이 된 연구와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