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화

Search Result 1,57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The Research on the Gloabl Water Market (글로벌 물시장 동향 연구)

  • Kim, ShangMoon;Jang, SeokWon;Lee, ByoungChul;Suh, Jinsuhk;Park, Im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79-79
    • /
    • 2016
  • 오늘날 물산업은 인구증가, 도시화, 시설투자 증가 등으로 연간 수천조원 규모의 물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2050년 세계 인구는 96억 명으로 증가가 전망되며, 특히 도시화의 속도는 더욱 가속화되어 2030년이 되면 도시화율이 60%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UN, 2014). 인구증가, 도시화, 기후 변화 등으로 물시장 규모가 바쁘게 성장함에 따라 많은 국가 및 기업들이 물시장으로 진입한지 오래이며, 우리 정부 및 기업들 또한 지속적인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다음 그림은 물 관련 투자 분야를 분류한 주요 4개 분야이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 분석을 통한 글로벌 물시장 트렌드 및 분야별 시장 전망 등을 살펴봄으로써 국내 기업의 보다 활발한 해외 시장 진출을 돕고자 한다.

  • PDF

Urbanization Analysis of Major City in North Korea Using Landsat Imagery (Landsat 영상을 활용한 북한 주요도시의 도시화 지수 분석)

  • Jun Hyun, Ki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3 no.4
    • /
    • pp.277-286
    • /
    • 2015
  • This study calculated the NDVI and the NDBI of the land-use change in major cities at North Korea through Landsat imagery, and analyzed the spatiality(LISA) with difference discretization of the UI index. As a result of the research, we could identify that the degree of urbanization has been increased in both Gaesung and Pyeongyang, but showed opposite spatial tendency to each other. The urban index of Pyeongyang, a nucleus district of North Korea, has been progressed quicker than Gaesung since 1994, while the urbanization development was being progressed also in general, as it expanded from the existing downtown area. On the other hand, the urbanization took place intensively at one region in Gaesung by developing the vegetation area that forest transfers into a built-up area, which has been judged from the great dynamic range of NDVI values. In conclusion, it is possible to extract necessary data for understanding the degree of urbaniza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 through the UI and the LISA analysis that are considered to propose useful methodology in investigating changes in North Korean cities and political levearage.

Urbanization in Pusan City, Korea: Changes of Traffic Volume (교통량 변화로 본 부산의 도시화)

  • Kim, Won-Kyung;Beun, Jeong-H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4 no.2
    • /
    • pp.1-14
    • /
    • 1998
  • This research concerns with the urbanization in Pusan City, the largest port city of Korea focus on the changes of traffic volume from 1970 to 1994. These results are as follow: (1) Urbanization of Pusan City has progressed with increasing the efficiencies of streets. At the first, it's ribbon developed along the main artery toward inland. Urbanization is the process of bear a resemblance to characteristics of CBD. It has both expansion and diffusion processed, simultaneously. Urbanization has progressed centered certain nuclei and developed with more varieties are ally and temporally. (2) Traffic volumes according to times which go and return to piers affected to the traffic pattern of the some parts within the city, it is one of characteristics in port city. Variation of traffic volumes according to times much greater at the nearer streets the piers and connected street with it than the rest of the areas within the city. Rivers and mountains affecting to the traffic pattern and play roles of diffusion barriers for urbanization. (3) In the mid-1980, regions which locate along the main arteries had reached to as same level of urbanization as central part of the city. And higher ranked central places within Pusan City developed toward pattern of CBD in the past. It suggests that these central places revoluted to the recreation of CBD function in the past. (4) Urbanization has developed as same as cell differentiation in process, and it encouraged the more greater variation among the regions and become clear the hierarchy of central places within the city.

  • PDF

Effectiveness Analysis of Alternatives for Water Resources Management Considering Climate Change and Urbanization (기후변화 및 도시화를 고려한 수자원관리 대안의 효과 분석)

  • Park, Kyung-Shin;Chung, Eun-Sung;Kim, Sang-Ug;Lee, Kil-Se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2 no.12
    • /
    • pp.1103-1111
    • /
    • 2009
  • This study derived the analysis results of alternatives for integrated watershed management under urbanization and climate change scenarios. Climate change and urbanization scenarios were obtained by using SDSM (Statistical Downscaling Method) model and ICM (Impervious Cover Model), respectively. Alternatives for the Anyangcheon watershed are reuse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 effluent, and redevelopment of existing reservoir. Flow and BOD concentration duration curves were derived by using HSPF (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 - Fortran) model. As a result, low flow ($Q_{99},\;Q_{95},\;Q_{90}$) and BOD concentration ($Q_{10},\;Q_5,\;Q_1$) were very sensitive to the alternatives comparing to high flow($C_{30},\;C_{10},\;C_1$). Although urbanization makes the hydrological cycle distorted, effective alternatives can reduce its damage. The numbers of days to satisfy the instreamflow requirements and target water quality were also sensitive to urbanization. This result showed that the climate change and urbaniz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the water resources/watershed and environmental planning.

Analysis of Influential Factors on Nitrate Distribution in Ground Water in an Urbanizing Area using GIS (도시화 지역에서 GIS를 이용한 지하수 질산성질소 분포 영향요인 분석)

  • Won J.S.;Woo N.C.;Kim Y.J.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7 no.6 s.169
    • /
    • pp.647-655
    • /
    • 2004
  • To identify the influential factors and their relative significance on spatial distribution of $NO_3-N$ in urban ground water, spati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GIS and statistical approaches in the Seongnae-Koduk watersheds, where rapid urbanization has been proceeded. Several factors were considered including land-use type, distance to sewage lines, the ratio of impervious surface, and the ratio of green area. The spatial distribution of $NO_3-N$ in the land-use types shows differences between urban and crop field possibly due to the sewage networks in urban areas and the agrochemical uses in crop field. Nitrate concentrations in ground water were decreased with the distance to sewage lines to approximately 60-75 m. Concentrations of nitrate and distances to sewage line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indicating that the nitrate contamination was induced from the sewage system and specially significant in urban areas. The negative correlation of the ratio of impervious surface to the nitrate concentration in urban areas also suggested that the source materials of nitrate are introduced from the surface. Consequently, in areas of urbanization processes, systematic management of past-and-present land-use types and sewage systems are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in preventing ground water from nitrate contamination.

Development of water cycle analysis systems and evaluation of Urbanization for the Gap river basin using SWAT (SWAT 모델을 이용한 갑천 유역 물수지 분석 및 도시화 영향 평가)

  • Kim, Jeong-Kon;Son, Kyong-Ho;Noh, Jun-Woo;Jang, Chang-Lae;Ko, Ich-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30-134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하천 복원과 관리에 필수적인 하천의 특성 분석 및 물순환 분석시스템 구축에 있다. 연구 대상지역으로 최근 하천의 생태 기능 회복을 위해 도심생태하천조성 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대전 3대 하천유역을 선정하였다. 대전 3대 하천 유역의 물수지와 도시화에 따른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SWAT을 이용한 물순환 분석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모형적용 결과, 유출량과 지하수 수위 변화 등 대전 3대 하천 유역의 특성을 관측치에 가깝게 모의할 수 있었다. 모델의 검보정 실시결과에서 나타난 모델의 계산 값들의 관측된 유출량뿐 아니라 기저유출량 및 지하수 수위와의 높은 상관관계는 본 연구에서 구축한 모델의 구조나 변수의 유효성에 많은 신뢰도를 제공한다고 판단된다. SWAT을 이용하여 대전 3대 하천 유역의 물수지 분석 및 도시화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였다. 물수지 분석결과에 의하면, 전체적으로 총 유출량 중 지하수 유출량이 47%정도, 중간 유출량이 31% 그리고 지표유출량이 22%이다. 각 소유역의별 유출 성분 분석결과는 각 소유역의 토지 이용도, 토양 그리고 지형적 특징에 따른 유출 특성을 확인하였다. 도시화 영향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1975년에서 2000년까지 갑천 유역의 약 5%가량의 도시화는 총 유출량의 변화에 있어서는 현저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각 유출 성분의 경우에는 많은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표유출량은 45% 가량의 증가를 보였고, 전체 유역의 지하수함양 량이 5%정도 감소한 반면, 도시화가 31%정도 진행된 소유역의 경우에는 17%정도의 현저한 감소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물수지 분석 및 도시화 영향분석 결과는 향후 대천 3대 하천의 생태하천복원을 위한 물순환 정상화 대책마련 및 하천의 유량확보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득증대를 꾀함으로 농촌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를 통해 GIS 와 RS의 기술이 농촌분야에 더 효율적으로 적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농업기술센터를 통한 정보제공을 함으로써 대농민 서비스 및 농업기관의 위상이 제고 될 것으로 기대된다.여 전자파의 공간적인 가시화를 수행할 수 있었다. 본 전자파 시뮬레이션 기법이 실무에 이용될 경우, 일반인이 전자파의 분포에 대한 전문지식을 습득할 필요 없이, 검색하고자 하는 지역과 송전선, 전철 등 각종 전자파의 발생 공간 객체를 선택하여 실생활과 관련된 전자파 정보에 예측할 수 있어, 대민 환경정보 서비스 질의 개선측면에서 획기적인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사료된다.acid$(C_{18:3})$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야생 돌복숭아 과육 중의 지방산 조성은 포화지방산이 16.74%, 단불포화지방산 17.51% 및 다불포화지방산이 65.73%의 함유 비율을 보였는데, 이 중 다불포화지방산인 n-6계 linoleic acid$(C_{18:2})$와 n-3계 linolenic acid$(C_{18:3})$가 지질 구성 총 지방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함유 비율을 나타내었다.했다. 하강하는 약 4일간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주식투자기간은 24개월이하의 중단기가 적합함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행태적 측면과 투자성과측면의 실증결과를 통하여 한국주식시장에 있어서 시장수익률을 평균적으로 초과할 수 있는 거래전략은 존재하므로 이러한 전

  • PDF

An operation of Pangyo experimental catchment to assess the variation of stream hydrology and water quality by urbanization (도시화에 따른 하천 수문.수질 변동 영향 평가를 위한 판교 시험유역의 운영)

  • Jang, Cheol-Hee;Kim, Hyeon-Jun;Kim, Chul-Gyum;Noh, Seo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865-1869
    • /
    • 2006
  • 도시화는 수문학적으로 산림이나 농경지와 같은 투수지역을 건물, 도로 등의 불투수지역으로 변화시키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홍수파의 도달시간이 줄어들고 첨두유량이 증가하는 등의 수문변화를 수반하게 된다. 도로나 건물 등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도시지역에서는 지표면이나 식생으로부터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증발산량이 농촌이나 산림지역보다 상대적으로 적으며, 강우시 토양중의 침투량과 지표면의 저류량도 도시지역에서는 매우 적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화로 인하여 대규모의 토지이용 변화가 예상되는 신도시 개발예정지구인 판교 운중천 유역을 시험유역으로 선정하여 장기적인 수문/수질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으며, 향후 판교 시험유역에서 계측된 자료와 유역수문모형을 활용하여 개발 전후의 홍수 및 장기유출 특성을 분석하여 도시화가 하천의 수문 및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4년과 2005년에 시험유역내의 운중천과 금토천에 매송2교, 삼평교, 판교교, 운중저수지, 저수지 용수로, 내동교 등 총 6개의 수위관측소와, 매송2교와 내동교의 2개 우량관측소를 설치하여 실시간 계측을 수행하고 있으며, 인근의 기존에 운영되고 있던 탄천 본류의 성남과 궁내 수위관측소와 운중천의 낙생 우량관측소 자료를 활용하여 유역 수문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장단기 유출분석을 수행한 결과, 택지개발공사가 시작되기 전인 현재로서는 택지개발 대상지구인 운중천 유역이나 비대상지구인 금토천 유역, 그리고 하류의 운중천 본류 유역 모두 강우시나 무강우시 비슷한 유출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도시화가 점차적으로 진행됨에 따라서 이러한 유출 특성의 변화 양상을 파악해 나간다면, 도시화에 따른 유출 특성의 변화는 물론 수질 변화에 대해서도 정성적, 정량적인 규명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TEX>의 범위이고, 2차 처리수의 유입수의 T-N, T-P 농도와 유사하였다.적인 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첨두홍수량을 저류하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넓은 저류면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난다. 대등한 수위감소값의 홍수저감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On-Line 저류지 면적은 Off-Line 저류지에 비 두배 이상이 필요한 것으로 보여졌다.들에 관한 정보는 종종 현장관측에서 조차 무시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질모형의 매개변수 중 특히 수리특성에 관련된 매개변수들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적용된 수질모형은 QualKo를 사용하였으며, 대상 하천은 낙동강 본류 경남구간 시점 부근인 회천 합류 전부터 낙동강 본류 경남구간 종점 부근인 밀양강 합류 전까지의 경남 오염총량관리 기본계획 시 구축된 모형 매개변수를 바탕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일차오차분석을 이용하여 수리매개변수와 수질매개변수의 수질항목별 상대적 기여도를 파악해 본 결과, 수리매개변수는 DO, BOD, 유기질소, 유기인 모든 항목에 일정 정도의 상대적 기여도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수질 모형의 적용 시 수리 매개변수 또한 수질 매개변수의 추정 시와 같이 보다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추정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주식투자기간은 24개월이하의 중단기가 적합함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행태적 측면과 투자성과측면의 실증결과를 통하여 한국주식시장에 있어서 시장수익률을 평균적으로 초과할 수 있는 거래전략은 존재하므로 이러한 전략을 개발 및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한국주식시장에

  • PDF

Urbanization and Urban Heat Island Analysis Using LANDSAT Imagery: Sejong City As a Case Study (LANDSAT 영상을 이용한 세종특별자치시의 도시화와 열섬현상 분석)

  • Kim, Mi-Kyeong;Kim, Sang-Pil;Kim, Nam-Hoon;Sohn, Hong-Gy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4 no.3
    • /
    • pp.1033-1041
    • /
    • 2014
  • Rapid urbanization of Korea was an unprecedented example in the world and urban popul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As a result, unbalanced distribution of population is serious problem in Korea because approximately 50% of the population is concentrated in the capital area that is 10% of nation's territory, thereby occurring various urban problems including UHI. Hence, Sejong Special Autonomous City was inaugurated officially on 2 July 2012 in order to decentralize population of capital area and induce more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The Sejong City has been changed drastically over a period of years as developed practically since the late 2000's and is expected to have new problems of urbanization. The land cover change due to urbanization is the main cause of UHI that urban area is significantly warmer than its surrounding areas and UHI is not only affecting urban climate change but also natural environment. S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level of urbanization and UHI effect and to provide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Land Surface Temperature and spectral indices. To achieve this, satellite imagery from LANDSAT were used. NDVI, NDBI, and UI were calculated using red, near-infrared, mid-infrared ($0.63{\mu}m-1.75{\mu}m$) images and LST was retrieved utilizing thermal infrared ($10.4{\mu}m-12.5{\mu}m$) image. Based on each index and LST, Changes of NDVI, UI and UHI through TVI were analyzed in Sejong City. UHI effect increased around newly constructed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the correlation between LST and NDVI was negative and UI was strong positive.

Effect Analysis of Precipitation Events According to an Urbanization (도시화가 강수사상에 미치는 영향 분석)

  • Oh, Tae Suk;Moon, Young-Il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0 no.4B
    • /
    • pp.413-427
    • /
    • 2010
  • Urbanization means the sudden increment of a population and the industrialization. The hydrologic water cycle causes many changes due to urbanization. Therefore, the affects that urbanization influences on the precipitation events were analyzed. But the precipitation events are very much influenced many meteorological and climatologically indices besides the effect of an urbanization. So, an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precipitation data observed in many spots of the Korean peninsula. The analysis data are annual precipitation, the duration 1 daily maximum amount of precipitation, the rainy days, and 10 mm over the rainy days, and 80 mm. seasonal precipitation and seasonal rainy days. The analytical method classified 4 clusters in which the precipitation characteristic is similar through the cluster analysis. It compared and analyzed precipitation events of the urban and rural stations. Moreover, the representative rainfall stations were selected and the urban stations and rural stations were compared. In the analyzed result, the increment of the rainy days was conspicuous over 80mm in which it can cause the heavy rainfall. By using time precipitation data, the design precipitation was calculated. Rainfall events over probability precipitation on duration and return period were analyzed. The times in which it exceeds the probability precipitation in which the urban area is used for the hydrologic structure design in comparison with the rural area more was very much exposed to increase.

A study of urbanization effect to a precipitation pattern in a urban area (도시화가 도시지역 강우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 Oh Tae Suk;Ahn Jae Hyun;Moon Young Il;Jung Min 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894-899
    • /
    • 2005
  • Since 1970s, rapid industrialization brought urbanization nationwide. In this paper, precipitation changes have been studied for Seoul and other 6 major cities using 31 years of precipitation data from 1973 to 2003. In addition, to consider the other global climatic impacts including El Nino events, precipitation change comparisons have been made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Thus,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have been adopted for annual precipitation, summer precipitation, 1 hour annual maxima series, and 24 hour annual maxima series for both urban and rural areas. The result yields that annual and summer precipitation have been increased in urban areas compare to rural area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