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rbanization in Pusan City, Korea: Changes of Traffic Volume

교통량 변화로 본 부산의 도시화

  • Kim, Won-Kyung (Department of Geography Information, Silla University) ;
  • Beun, Jeong-Hee (Department of Geograph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김원경 (신라대학교 지리정보학과) ;
  • 변정희 (경북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 Published : 1998.12.31

Abstract

This research concerns with the urbanization in Pusan City, the largest port city of Korea focus on the changes of traffic volume from 1970 to 1994. These results are as follow: (1) Urbanization of Pusan City has progressed with increasing the efficiencies of streets. At the first, it's ribbon developed along the main artery toward inland. Urbanization is the process of bear a resemblance to characteristics of CBD. It has both expansion and diffusion processed, simultaneously. Urbanization has progressed centered certain nuclei and developed with more varieties are ally and temporally. (2) Traffic volumes according to times which go and return to piers affected to the traffic pattern of the some parts within the city, it is one of characteristics in port city. Variation of traffic volumes according to times much greater at the nearer streets the piers and connected street with it than the rest of the areas within the city. Rivers and mountains affecting to the traffic pattern and play roles of diffusion barriers for urbanization. (3) In the mid-1980, regions which locate along the main arteries had reached to as same level of urbanization as central part of the city. And higher ranked central places within Pusan City developed toward pattern of CBD in the past. It suggests that these central places revoluted to the recreation of CBD function in the past. (4) Urbanization has developed as same as cell differentiation in process, and it encouraged the more greater variation among the regions and become clear the hierarchy of central places within the city.

부산의 도시화에 관한 지리학적 논문은 그리 많지 않다. 그리고 도시화의 기본적인 패턴을 제시하고 있는 연구도 거의 없는 설정에 있다. 본 연구는 1970년부터 1994년까지외 교통량의 변화를 중심으로 부산시 도시화의 기본적인 패턴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부산시는 동쪽과 남쪽에 해안을 두고 서쪽으로는 낙동강을 끼고 있으며, 서북쪽이 산지로 둘러싸인 배산임해(背山臨海)의 대상형(帶狀型) 지형이기 때문에, 교통량은 남북방향의 주간선도로인 중앙로에 집중되어 있다. 대량의 차량이 중앙로로 집중하여 도시 전체의 교통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되고 간선도로의 원활한 운영은 부산시 교통문제의 큰 과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남북체제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것을 보완하여 동서체계가 확립된다. 그러나 부산은 우리나라에서 최악의 도로율을 가지고 있는 도시로서 교통문제가 가장 심각한 도시 문제의 하나로 등장하고 있다. 교통량에 관한 지리학적 연구는 이러한 것을 해결하는데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부산의 도시화는 하위계층의 중심지가 그 인근의 상위계층 중심지의 기능을 분담하면서 진행되고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지역간의 교통량의 차이가 점점 커지고 있다. 이것은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도시내부의 계층구조가 더욱 뚜렷해 진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또한 도시화는 세포분열과 같은 진행과정을 거치면서 지역차가 커지고, 계층구조가 더욱 명백해지는 현상이라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