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형

Search Result 2,073,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Study on Service Classification System for Urban Intelligent Geospatial Information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서비스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 Kim, Eun-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9a
    • /
    • pp.277-282
    • /
    • 2010
  • IT를 매개로 서로 다른 분야의 기술들이 상호 융합되어 새로운 서비스 또는 기술을 제공하는 유비쿼터스 패러다임은 도시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 있다. u-City는 첨단 정보통신 인프라와 유비쿼터스 정보서비스를 도시공간에 융합하여 도시생활의 편의 증대와 삶의 질 향상, 체계적 도시관리에 의한 안전보장과 시민복지 향상, 신산업 창출 등 도시의 제반기능을 혁신시킬 수 있는 차세대 정보화 도시를 의미한다. 성공적인 u-City 건설을 위해서 기존의 지자체GIS 개념을 확대한 지능형 도시공간정보의 개념이 필요하며, 지능형 도시공간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가 요구된다. 이러한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서비스는 도시 전반의 영역에서 제시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서비스를 도출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능형 도시공간정보의 개념을 살펴보고, 기존 u-City 관련 서비스 분류에 관한 선행 연구내용을 중심으로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서비스 분류체계를 제시였다.

  • PDF

A Study on the Plate Waste of the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 (초등학교 급식의 잔식량에 관한 연구)

  • 박금순;민영희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
    • v.13 no.1
    • /
    • pp.30-39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ood services and plate waste of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the urban, rural and suburban areas of Taegu and Kyoungpook province.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programs for Crosstabs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erving size of rice was greater in suburban area than in rural and urban area by the physical estimation. The amount of soup given was the greatest in rural area. The rate of waste in soup was higher than that of rice. Among side dishes, plate waste rate of braised potato was the highest in rural, then suburban and urban area.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p < .001) among the schools in the three areas. Especially, plate waste rate of cucumber and cabbage salad was the highest in all three areas. Then finally the serving size and plate waste rate of Kimchies were the greatest in rural, then suburban and urban school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ice pickled cabbage'(p < .001) and 'spice pickled radish'(p < .01) among the three areas. Plate waste amounts of egg soup and pine mushroom soup in urban area were greatest. In rural area, side dishes except egg soup, cabbage salad and Kimchies had a greater amount of plate waste. In suburban areas, there were smaller plate waste amount in rice, but plate waste amounts of pine mushroom soup and beef soup were great. Plate waste rate of rice and 'Kimchies' by children's rating estima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rural than suburban and urban area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late waste rate of the given food except braised chicken (p < .001), soup (p < .001) and 'Kimchies' (p < .05) between the physical estimation and the children's rating estimation. Increased satisfaction on food service in most menus resulted decreased plate waste rate. There was a significant degree of satisfaction on the amounts of food served.

  • PDF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ervice model of facility in urban (지능형 도시시설물 공간정보 모델)

  • Kim, Eun-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9.04a
    • /
    • pp.315-316
    • /
    • 2009
  • 급속도로 발전하는 정보통신 기술과 함께 유비쿼터스 기술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유비쿼터스 기술은 도시정보 서비스에 대한 새로운 기능을 제시하고 있다. u-City는 첨단 정보통신 인프라와 유비쿼터스 정보서비스를 도시공간에 융합하여 도시생활의 편의 증대와 삶의 질 향상, 체계적 도시 관리에 의한 안전보장 등 도시의 제반기능을 혁신시킬 수 있는 차세대 정보화 도시이다. 성공적인 u-City 건설을 위해서는 기존 지자체GIS 서비스를 확대한 지능형 도시공간정보의 개념이 필요하며, 이를 기반으로 한 효율적인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다양한 분야에서의 도시공간정보에 대한 연계통합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도시공간정보의 효율적 활용과 상호운용성 기반의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연계통합을 위한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연계통합 모델'을 제시하도록 한다.

  • PDF

A Study on Standardization Structure for Urban Intelligent Geospatial Information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서비스 표준체계에 관한 연구)

  • Kim, Eun-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238-247
    • /
    • 2008
  • 최근 IT(Information Technology)산업의 가장 핵심적 키워드는 산업 내 혹은 산업간의 융합화 즉 컨버전스(Convergence)라 할 수 있다. 즉, IT를 매개로 서로 다른 분야의 기술들이 상호 융합되어 새로운 서비스 또는 기술을 제공하는 융합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융합의 핵심에는 유비쿼터스라는 패러다임이 있으며, 유비쿼터스 패러다임은 도시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였다. u-City는 첨단 정보통신 인프라와 유비쿼터스 정보서비스를 도시공간에 융합하여 도시생활의 편의 증대와 삶의 질 향상, 체계적 도시관리에 의한 안전보장과 시민복지 향상, 신산업 창출 등 도시의 제반기능을 혁신시킬 수 있는 차세대 정보화 도시로 정의된다. 성공적인 u-City 건설을 위해선 기존의 지자체GIS 개념을 확대하여 지능형 도시공간정보의 개념이 필요하며, 지능형 도시공간정보를 효율적으로 서비스하기 위한 서비스 표준체계가 필요하다. 즉, u-City의 실질적 구현 및 운영을 위해서는 정보(컨텐츠)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선 도시공간정보의 상호운용성의 확보가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능형 도시공간정보의 개념과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서비스 표준체계를 제시하도록 한다.

  • PDF

Study on the Conformance Test Model for Intelligent Urban Geospatial Information Services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서비스 적합성 평가모델에 관한 연구)

  • Kim, Eun-Hyung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9 no.3
    • /
    • pp.23-31
    • /
    • 2011
  • As demands of intelligent urban geospatial information services are increasing in u-Cities, development and use of service standards for the cities are required to make the services interoperable. Conformance tests can be conducted for the standards to implement the services more interoperably and consistently. To improve the interoperability between services, it is necessary to build an evaluation model for services in a perspective of conformance tests. In the context, this study reviews the related references and establishes a conceptual model of the conformance tests for the services and provides an application of the model to a monitoring service for flowing water quantity to prove its usefulness.

Relationships between Eating Behavior, Dietary Self-Efficacy, and Nutrition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Food Service Type in Gangwon Province (강원지역 초등학생들의 급식유형(도시형, 농어촌형 및 도서벽지형) 별식행동과 식이자기효능감 및 영양지식과의 관계)

  • Won, Hyang-Rye;Shin, Gi-Beu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1 no.5
    • /
    • pp.638-646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a relationship between eating behavior, dietary self-efficacy and nutrition knowledge by comparing these item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food service type. The survey was made through a questionnaire from 759 students in the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39 Gangwon Province. The average score of eating behaviors according to food service type was highest for urban type, followed by agri-fishery type, and finally remote island and country type, for the questions asking about the application of nutrition knowledge and the frequency of eating out. The average score of nutrition knowledge according to food service typ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questions about eating snacks before going to sleep and weight increase as well as calorie comparisons between foods. For the correlation of eating behavior, dietary self-efficacy and nutrition knowledge, the agri-fishery type showed positive in all of the three items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mote island and country type,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self-efficacy, and between eating behavior and dietary self-efficac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correlation between nutrition knowledge and eating behavior. In order to confirm the predictable variables for eating behavior, a regression analysis was made by injecting variables in every stage with independent variables of dietary self-efficacy and nutrition knowledge, which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eating behavior. The results showed that, in the urban type, dietary self-efficacy and nutrition knowledge affected the eating behavior and, in the agriculture type and the remote island and country type, only dietary self-efficacy affected the eating behavior.

The Development Method and The Current Situations in South Korea's Health Cities Based on Health-friendly Models (건강친화성(健康親和性) 모델에 기초(基礎)한 우리나라 건강도시(健康都市) 현황(現況) 및 발전방안(發展方案) 개발(開發))

  • Jeong, Gil-Hoo;Na, Baeg-Ju;Lee, Moo-Sik;Kim, Keon-Yeop;Jeong, Gye-Rim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339-342
    • /
    • 2009
  • 본 연구는 대한민국건강도시협의회 회원도시 23개 자치단체 건강도시 추진 담당자에게 건강도시 추진현황 및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2007년 2월부터 2007년 12월 까지 대한민국건강도시협의회 회원 도시 담당자들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건강도시 사업 일반현황, 건강도시 사업 기본현황, 건강도시 발전방향 등에 대하여 조사 분석 하였으며 모든 처리 방법은 SPSS 12.0 version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지자체 일반현황은 23개자치단체중 도시형(47.8%), 농촌형(52.2%)이며, 가입년도별로는2004년(17.4%), 2005년(30.4%), 2006년(26.1%), 2007년(26.1%)로 나타났다. 2. 건강도시 사업추진현황을 보면, 장기계획수립(43.4%), 생활터접근(69.5%), 민정보제공(78.2%), 협력대학(82.6%), 부서협력잘됨(34.7%), 네트워크적극참여(34.7%), 세미나실시(47.8%)로 나타났다. 3. 건강도시 발전방향 으로는 추진 시 가장 어려운 점은 사업개발(39.0%), 우선순위로는 부서협력(30.4%), 핵심인물단체장(82.6%), 발전가능성지속발전(65.2%), 발전기여(86.9%), 시행주체국가주도(52.1%)로 나타났다. 4. 도시형태별 건강친화성 평가점수는 69점이하 도시형(8.60%), 70~79점농촌형(21.7%), 80~89점 도시형(26.0%), 농촌형(17.3%), 90정이상 도시형(13.0%), 농촌형(13.0%)로 나타났다. 5. 조직구성여부별 건강도시 기본현황 추진실태를 살펴보면, 조례제정여부 조직구성(100%), 미 구성(81.8%), 운영위원회 구성 조직구성(100%), 미 구성(54.5%), 프로파일작성 조직구성(100%), 미 구성(81.8%), 예산확보 조직구성(100%), 미 구성(81.8%)로 나타났다. 조직구성이 건강도시 사업추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된다. 향후 건강도시 사업추진 시에는 건강도시를 추진하는 담당부서 구성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판단되며, 건강도시 사업추진은 먼저 시작한 도시가 건강친화성 평가 점수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건강도시 사업은 일시적인 사업이 아닌 끊임없이 노력하는 도시가 되어야 하며, 건강도시 사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국가주도하에 실시하는 것이 절실히 필요 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ssessing Productivity of Elementary School Lunch Foodservice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Area (대구ㆍ경북지역 초등학교 급식소의 급식생산성 분석)

  • 박영숙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
    • v.19 no.3
    • /
    • pp.286-294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ood service management practices and productivity in 49 elementary schools in the Daegu and Gyeongsangbuk-do areas. Survey questionnaires were used to obtain a variety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formation, including general food service management and productivity, on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 systems. Descriptive analysis, $\div$2-test, t-test and one-way ANOVA analysis were used as the statistical methods in this study. Eighteen elementary schools were located in urban areas, 13 in provincial areas and 18 in isolated areas. The average number of meals was 565.1,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between the areas. The average cost per a meal was 1151.0 Won,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between the areas. The productivity Index (meal/hour) was 13.5,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between the area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of the productivity Index between the total number of meal, the number of employees, the total food cost, meals per employee and the employee's working period.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roductivity Index and the number of side dishes, the lost per meal, the labor cost per meal and the employee's job satisfaction degree index (JDI).

A review of DEM resolution based on flood inundation analysis (DEM 해상도에 따른 홍수범람해석 검토)

  • Lim, Jae Deok;Park, Su Hee;Park, Chan Hee;Yoo, Sang 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23-223
    • /
    • 2022
  • 최근 도시지역의 홍수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홍수방어대책이 중요해지고 있다. 제방 축조 및 배수시설 개선 등의 구조적 대책이 우선되어야 하나, 계획빈도 이상의 호우로 인한 피해 발생시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비구조적 대책 또한 중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의 비구조적 대책 수립을 위해 하천 제방 붕괴로 인한 홍수범람 해석을 수행하였다. 도시지역의 홍수범람 해석은 일반적으로 확산형의 흐름 특성을 가져, 홍수의 잠재성이 크다고 판단되는 도시지역에 대해 확산형 범람 해석을 통해 홍수의 전파양상을 심층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Flumen 모형을 적용하였다. "홍수위험지도 작성에 관한 지침(2020, 환경부)"에서는 2차원(확산형) 홍수범람 분석시 LiDAR 기반 1m급 DEM 자료를 권장하고 있으나, 영산·섬진강권역(제주도 포함) 내 1m급 DEM 자료는 약 11,320km2가 구축되어 전체면적(17,756km2) 대비 64%만 구축되어 도시지역 전체 적용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과 농경지가 포함된 도시지역(농촌형 도심지역)을 대상으로 1m급 DEM과 5m급 DEM을 구분하여 2차원(확산형) 홍수범람 분석을 수행하였다. 도시지역으로는 지방하천 순천동천이 관류하는 순천시가지를 선정하였고, 농촌형 도심지역으로는 지방하천 광치천이 관류하는 남원시가지를 선정하였다. 2차원 홍수범람 해석을 위해 주요 지점별 파제 시나리오는 각 지구별 동일하게 작성하였으며, DEM 자료에 따른 검토 결과, 도시지역의 경우 지하차도 등과 같은 시설로 인한 차이가 발생하였으나, 농촌형 도시지역의 경우 DEM 해상도에 따른 침수양상 및 면적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검토되어 농촌형 도시지역의 경우 5m급 DEM 자료의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추후 전국 지방·도시하천에 대한 홍수위험지도 제작이 완료된다면 홍수로 인한 침수피해에 대해 사전에 대비하고, EAP, 재해지도 제작, 수해방지대책 수립 등 관련 계획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 PDF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ervice Model of Urban Spatial Information for u-UIS - Focused on Urban Ground and Underground Facilities (u-UIS 도시공간정보 연계통합 모델 - 지상.지하시설물을 중심으로 -)

  • Kim, Eun-Hyung;Choi, Hyun-Sang;Kim, Tae-Hoon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11 no.1
    • /
    • pp.189-194
    • /
    • 2009
  •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technologies, the adoption of ubiquitous technologies is increasing for the realization of new effective u-City services. u-City is defined as a next-generation informatization city that can innovate a city's various functions, such as improving the welfare of the citizenry, ensuring safety based on systematic urban management, improving the quality of lives, and increasing convenience in city life, by merging cuttingedge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infrastructures and ubiquitous information services with urban space. There is therefore a need to recognize that a successful u-City implementation strategy involves developing the previous UIS into a ubiquitous technology-based UIS and integrating UIS's various urban informations with effective u-City services. In this paper, for UIS-based u-City implementation, the intelligent integration model of urban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interoperability is propo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