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하천의 수질기준

Search Result 56,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Study on the Compatibility of Urban River Water Quality Evaluation using Water Quality Index (수질지수를 활용한 도시 하천의 수질 평가 적합성 연구)

  • Lee, Sang Ung;Jo, Bu Geon;Kim, Chan Hui;Kim, Young 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70-170
    • /
    • 2022
  • 최근 기후변화 및 환경변화로 인해 하천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변화로 하천 오염원의 다양화가 발생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BOD, T-P 항목으로 수질을 관리하고 있으나, 중·소하천에서는 다양한 오염원의 영향이 나타나 BOD, T-P 항목의 관리는 한계가 발생한다. 따라서 수질오염 영향인자들을 고려한 하천의 종합적인 수질 평가 기법의 도입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한강 유역의 경기도 지역은 인구밀도 및 불투수면적이 높고 중소하천의 분포가 넓은 유역으로 다항목 수질의 종합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국내·외에서는 하천의 종합적인 수질을 평가하고자 수질지수(Water Quality Index, WQI)를 점수 및 등급으로 산정하여 하천의 수질을 평가하였다. 수질지수는 평가 목적 및 계산 방법, 평가되는 수질 항목, 등급 체계의 차이로 다양한 종류의 수질지수가 개발되었다. 국내에서는 통계분석과 수질지수를 활용하여 하천의 시공간적 변화를 파악하고 하천 생활환경기준과 비교를 통해 수질지수의 적용성을 검토하는 효율적인 수질관리에 대해 연구 되고 있다. 국외에서는 주요 오염원 및 영향인자를 식별하기 위해 수질지수를 활용하여 하천의 수질 변화를 평가하였다. 하천의 주요 영향인자는 유역특성에 따른 차이가 발생하여 유역 특성에 적합한 수질지수를 활용한 맞춤형 수질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하천의 효율적인 수질관리에 기여하고자 유역 특성을 반영한 수질지수를 활용하여 도시하천의 종합적인 수질을 평가하고자 한다. 군집분석을 활용하여 도시 유형을 분류하고 요인분석으로 도시하천의 수질 인자별 관계성을 도출하여 유역의 도시 현황별 영향인자를 파악하고자 한다. CCME WQI, NSFWQI 등 기존 국내·외에서 개발된 수질지수를 도시하천의 주요 영향인자로 산정하여 도시하천의 종합적인 수질을 평가하고자 한다. 산정된 수질지수의 점수 및 등급과 하천 생활환경기준의 적용성을 검증하여 도시하천에서 발생되는 수질오염 관리 및 대응의 의사결정 도구로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f Effects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by Sea Water Conduction in the Urban River (해수도수에 의한 도시하천의 수질개선효과 연구)

  • Shon, Tae-Seok;Kal, Byung-Seok;Shin, Hyun-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063-2067
    • /
    • 2009
  • 하천의 효율적 이용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 변화로 도시하천의 친수공간에 대한 관심과 이용증가 추세에 따라 도시하천의 수질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하천유량에 해수가 지배적인 하구가 바다에 접한 감조하천의 경우 해수도수에 의한 하천 수질개선방안들이 강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하천에 해수 유입에 따른 하천에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수질모의를 통해 수질개선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대상하천으로 도시하천이며 감조하천인 부산광역시 소재 동천으로 하였고, 수질모의모형으로 WASP7(Water Quality Analysis Simulation Program Ver, 7)과 RMA-4를 이용하여 수질분석과 대상물질의 이송과 확산을 분석하였다. 현재 동천의 경우 목표수질을 하천수질기준 중 DO 농도를 기준으로 하고 있어 본 연구에서도 DO 농도를 주 분석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동천의 WASP7 모형과 RMA-4 모형을 구축하고 현재 동천의 수질이 목표수질에 도달할 수 있는 적정 해수도수량을 산정하였다. 그리고 효율적인 수질개선을 위하여 도수한 해수를 분배하여 방류하는 방안을 검토하여 적정 분배지점과 적정 분배유량을 산정하였다. 향후의 연구에서는 염도 등 기타 수질항목의 검토가 필요하고, 본 연구에서 수행한 루틴은 다른 하천에서의 해수도수에 의한 수질개선효과 분석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PDF

The Effect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by Supply of Reused Water in Urban Stream (도시하천 내 재이용수 공급에 따른 수질 개선 효과)

  • AN, SONG HEE;JANG, DONG WOO;KIM, DAE WOONG;CHOI, YE J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12-212
    • /
    • 2020
  • 도시하천의 경우 비 강우시 하천의 유지용수가 부족하고, 도시지역에서 유입되는 오염물질로 인하여 수질악화, 악취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최근 생태하천 및 친수 공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이에 정부는 도시하천 복원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수환경개선을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굴포천은 인천 부평구에서 경기도 김포시로 이어져 있는 국가하천으로서 수질 향상 및 유지용수 확대를 위한 굴포 하수처리수의 재이용수 활용 계획이 수립되었다. 이에 2019년 3월 자연생태하천 조성사업이 준공되었고, 굴포하수처리수에 오존처리과정을 거친 유지용수가 굴포천 상류부에 공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굴포천 내 오존처리 재이용수 공급 전·후의 수질 개선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하천수 수질기준을 활용하여 계절 별 주요 수질인자의 농도를 정량적으로 비교하였다. 유지용수 방류지점과 굴포하수처리수 방류 위치를 기준으로 굴포천 내 해석구간을 나누고, 재이용수 공급전·후 각 1년에 대하여 주요 수질을 분석하였다. 하천수 수질환경기준에 사용되는 DO, BOD, COD, TOC, SS, T-P를 중심으로 분기별 수질 분석을 한 결과, 굴포천 모든 지점에서 DO 농도는 평균적으로 증가하였고, 다른 주요 수질 인자의 농도는 감소되어 수질 개선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기별 하천수 수질등급 비교 결과 재이용수 공급 전 '매우 좋음(1a)'였던 수질인자는 재이용수 공급 후에도 동일 등급을 유지하였고, 모든 수질 항목에서 계절에 따른 편차가 있었지만 재이용수 공급 이후 모든 수질등급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stimation of Stream Water Quality Changes Brought by a New Town Development (신도시 개발 후 도시하천의 장래수질 평가)

  • Park, Ji-Young;Lim, Hyun-Man;Yoon, Young-Han;Jung, Jin-Hong;Kim, Weon-J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6 no.1
    • /
    • pp.58-66
    • /
    • 2014
  • Water pollution problems of urban rivers due to the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have been the subject of public attention.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cycle of each basin change dramatically through the development of new towns, a large number of concerns about future water quality have been raised. However, reasonable measures to predict future water quality quantitatively have not been presented by this moment. In this study, by the linkage of annual unit load generation based on long-term monitoring results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MOE) to a semi-distributed rainfall runoff model, SWMM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we proposed a new methodology to estimate future water quality macroscopically and testified it to verify its applicability for the estimation of future water quality of a small watershed at G new town. As a result of the estimation using Y-EMC (Yearly based Event Mean Concentration), future water quality were simulated as BOD 18.7, T-N 16.1 and T-P 0.85 mg/L respectively which could not achieve the grade III of domestic river life guidance and these criteria could be satisfied by the reduction of domestic wastewater discharge load by over 8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hown to be utilized for one of basic tools to estimate and manage water quality of urban rivers in the course of new town developments.

A Study on Improvement of River Water Quality in Gyeonggi-do Using Big Data Analysis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경기도내 하천수질 개선방안 연구)

  • Lee, Sang Ung;Jo, Bu Geon;Jung, Woo Suk;Kim, Young 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60-160
    • /
    • 2021
  • 과거 대규모 댐 건설 등 물 개발 중심에서 벗어나 효율적이고, 균형 잡힌 물관리 중심으로 '물관리 패러다임'이 변화되고 있다. 물관리 일부인 수질은 생활하수, 산업폐수, 농·축산 폐수에 의해 하천 및 호소 오염의 심각성이 대두되어, 수질 개선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강 유역은 한강, 남한강, 북한강 등 여러 수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울을 포함한 주요 도시지역을 포함하고 있다. 한강 유역은 도시 및 농촌지역이 혼재되어 있으며, 도시지역의 경우 수변구역이 주민생활과 밀접한 유역이 많다. 한강대권역관리계획, 지자체별 총량제도를 통하여 관리를 하고 있으나, 각각의 유역별 특성이 다양하여 여러 이슈와 환경적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어 유역에 적합한 수질개선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국내에서는 수질오염총량제도를 통해 수계의 수질을 관리하고 있지만, 오염물질의 부하량을 기준으로 수립하여 데이터의 다양성을 나타내기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수계를 단위유역 단위가 아닌 중권역 단위로 구분하여 수질 인자의 농도를 활용하여 인자 간의 관계가 하천에 주는 영향을 보고자 한다. 수질 측정망에서 수집된 수질 데이터를 활용하여 여러 기법의 데이터 분석을 통해 한강 유역 수질의 특성과 경향을 시각화 그래프로 나타낸 결과를 토대로 유역특성을 반영한 수질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Determination of Criteria for the Evaluation of Flow Width-Channel Width Ratio for River Environment (하천환경성 평가를 위한 수면폭-하폭비 평가 기준 결정)

  • Lee, Choon Ho;Lee, Tae Geun;Lim, Dong Hwa;Sim, Gyoo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406-40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하도에 대한 하천환경성을 평가하기 위해 관련연구 및 환경관련사업 분석을 통해 환경기능을 대표할 수 있는 환경생태수심, 수면폭-하폭비, 횡단구조물, 수질 등 4가지 요소를 결정요소로 선정하였다. 각각의 결정요소에 대해서 관련지침, 연구, 설계기준 등을 토대로 평가 기준을 설정하였다. 이 중 수면폭-하폭비에 대한 정량적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자연하천과 도시하천을 대상으로 환경생태유량 적용을 통한 수리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통해 평가 기준을 결정하였다. 자연하천으로는 자연성을 비교적 잘 유지하고 있는 평창강, 영강, 남강을 포함한 8개 하천, 도시하천은 안양천, 중랑천을 포함한 24개 하천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자연하천은 도시하천에 비해 수면폭-하폭비가 크고, 분포가 고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시하천은 수면폭-하폭비가 자연하천과 비교하여 작은 구간이 많으며 각종 하천사업으로 인해 분포가 고르게 분포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시하천 중 복개구간을 포함하는 하천은 인위적인 하폭 및 수면폭 형성으로 인해 수면폭-하폭비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하도의 환경성 평가를 위한 수면폭-하폭비 기준은 0.33으로 결정하였으며 이를 특정하천에 활용할 경우, 측점별 수면폭-하폭비를 산정하고, 하천 전체 연장 대비 해당 값에 만족하는 구간연장을 점수화 하여 수면폭-하폭비 평가 결과로 활용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는 하천환경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함으로써 향후 하도계획 수립 시 하천환경성 증진을 위한 기반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Change of Urban River according to Installation of Interceptors and Wastewater Treatment Plant (차집관로와 하수처리시설의 설치에 따른 도시하천의 수질변화 특성)

  • Zhou, Juan Juan;Lim, Bong S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6 no.12
    • /
    • pp.813-820
    • /
    • 2014
  •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change of the three streams in Daejeon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expanded installation of interceptors and wastewater treatment plant (WTP). Gabcheon 5 (Singu Bridge) location showed the maximum difference of the highest and lowest concentrations in the last decade. However, the recent water quality of this location was worse than other locations, because of the impact of the effluent from the WTP. In the upstream of the WTP, the Daejeon stream was relatively better than the other locations in organic pollution reduction, and this was caused by the investment for the management of the interceptors in three streams of Daejeon. According to the water quality standard of the stream water quality, the recent water quality of the three streams in Daejeon was acceptable within them in the most of the water quality items, but because the total phosphorus concentration of the upstream such as Daejeon stream, Yudeng stream, Gabchen 3 location did not reach the standard values, a better management of the interceptor was required in the upstream of WTP than its downstream. The upstream of WTP also required a better management of the interceptor than the downstream.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WTP was required a high efficiency because the water quality of the effluent from the WTP incurred an adverse effect to the target water quality in the location of the total water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Assessment of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in a watershed according to stream flow conditions (하천 유량조건에 따른 유역별 수질변동특성 평가)

  • Jung, Woo Suk;Jo, Bu Geon;Kim, Young Do;Kwon, Jae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91-91
    • /
    • 2021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성 집중호우 증가로 인한 돌발홍수와 강수일수는 감소하고 강수량의 계절적·지역적 편중현상이 심화하여 가뭄의 발생빈도 및 기간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가뭄에 따른 환경학적 피해로 하천유량의 감소와 더불어 영양물질의 부화로 인해 하천의 수질악화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집중호우로 인한 비점오염원 유입이 취약한 유역인 경우 장기적으로 부영양화를 초래하고 지속적인 오염원 축적을 통한 수질오염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유역별 유량조건에 따른 수질오염원 특성을 파악하고 맞춤형 수질관리를 위한 유역평가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수계 22개 중권역을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중권역별 맞춤형 수질관리를 위한 유역진단을 실시하였다. 유역유출모형인 HSPF을 통해 산정된 기준유량을 기준으로 저유량, 고유량 시기를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요인분석 결과값인 각 요인별 수질변동특성을 요인분석 네트워크 그래프를 활용해서 수질변동특성을 분석하고, 유황별 수질환경적 오염원 영향인자들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중권역별 하천 유량조건에 따라 어떠한 오염원에 기인하는지 분류하고 평가하였다.

  • PDF

Estimation of citizen's willingness to pay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on urban rivers (도시하천 수질개선을 위한 시민의 지불의사액 추정 연구)

  • Kang, Jiyoon;Yang, Jinwoo;Hwang, Youngsoon;Kim, Keewoo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6 no.3
    • /
    • pp.225-233
    • /
    • 2023
  • Urban rivers and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s have been altered due to factors such as rapid economic growth and urban development. This alteration have caused the rivers to lose their original value and become exposed to various pollution, resulting decrease in citizens' quality of life. This study aims to estimate citizens' Willingness To Pay (WTP)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Suyeong River in Busan. To estimate the non-market value of the Suyeong River, the WTP of Busan citizens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was estimated, apply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The WTP for improving the water quality from Grade 4(polluted water) to Grade 2(game fish like bass can live in it) was estimated using the water quality ladder concept of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assuming annual donations for five years. For the CVM, the logistic distribution and Spike Model were adopted. As a result, citizens residing in the surrounding area of Suyeong River expressed a higher WTP. Considering more than half of the Busan citizens are aware of the "conservation of nature and ecosystems" as a major function of the Suyeong River, this higher WTP could serve as a basis for improving the value of urban rivers.

Calculation of Total Amount of Pollutant Load by Sub-Watersheds in the Anyangcheon Watershed (안양천 유역의 소유역별 오염총량 산정)

  • Lee, Kil-Seong;Kim, Kyung-Tae;Kim, Sang-Ug;Chung, Eun-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981-1984
    • /
    • 2008
  • 기존 하천에 실시되고 있던 농도 규제의 근본적인 한계를 극복하고자 우리나라 4대강에 오염 총량관리제도가 실시되었다. 그러나 1999년부터 약 8년 동안 실시된 오염총량관리제도에 기술적 제도적 문제들이 발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오염총량관리제도의 많은 문제점들 중에 기준유량에 대한 문제점과 오염부하량의 할당에 대한 문제점에 중점을 두었다. 총량관리단위유역은 대표적인 도시하천 중 하나이며 한강의 지류인 안양천 유역이며, 목표수질은 1991년 환경부 하천환경수 질기준인 5등급으로 결정하였으며, 관리물질은 1차관리물질인 BOD(Biochemical Oxygen Demand)이다. 기준유량은 평균저수량과 평균갈수량을 사용하여 비교하였고, 발생부하량을 계산하였으며, 발생부하량에 의한 배출부하량을 계산하고, HSPF(Hydrologic Simulation Program - FORTRAN) 모형을 사용하여 배출부하량으로 인한 유달부하량을 산정하여 허용부하량을 계산하였다. 마지막으로 목표수질을 만족시키기 위해 삭감부하량을 계산하였고, 삭감부하량을 안양천 유역의 각 소유역별로 할당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