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시주택지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3초

서울시 고급 주택지역의 형성요인과 분포 분석 (The Formation Factors and Distribution Analysis of High-Class Residential Areas in Seoul)

  • 김민회;김태현;홍선관;김홍규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1-7
    • /
    • 2005
  • 도시화는 현대사회의 가장 큰 특징이며 도시가 성장하면서 과거의 기능이 변화하고 도시내부의 공간구조가 점차 기능적으로 분화하는 경향이 있다. 그 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것 중의 하나는 주거지역의 입지변화와 공간적 확산과정에서 나타나는 주거지 분화현상이다. 도시생태학자 Hoyt은 주거지 이동패턴에 대하여 도시 내의 주거지분포 패턴을 결정짓는 핵심적인 요인으로 최고지대를 지불할 수 있는 부유층의 주거입지 선택에 따라 전체 도시의 계층별 주거분포가 영향을 받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서울은 소규모로 계획된 역사도시에서 인구 1000만의 대도시로 성장하여 오면서 많은 구조적 변화를 경험하여 현재의 공간구조를 이루게 되었다. 현재 전체 서울의 주택지는 동일한 것이 아니고 각종 주위환경에 따른 성격과 특성을 달리하는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 특성을 달리하는 주택지들이 모여서 각기 상이한 역할을 수행하고 서로 기능적 관계를 맺으면서 주택지를 형성하고 있다. 선형이론(Hoyt's Sector theory)에 따르면 고급주택지역의 도시 공간구조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울의 고급주택지역의 분포와 그 입지 특성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고급주택지역의 분포를 형성하는 원인을 규명하는데 있다. 고급주택지의 지역적 분포를 파악하여 그 입지 성향과 특성을 알게 되면 도시의 토지이용계획, 특히 주거지계획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도시단독주택지(都市單獨住宅地) 단위(單位)블록의 유형화(類型化)와 이의 물리적(物理的) 특성(特性)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Unit Block Types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Residential Area in Seoul)

  • 전병권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125-136
    • /
    • 2007
  •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individual residential area, the uniform development of multiple dwellings through site should be avoided. As an alternative to a large scale development of the currently popular high-density and high-rise apartment buildings, which disintegrates and destroys existing communities, a new residential type that is applicable to the individual residential area should be developed. From the new residential type, even for short history of Korea of modem urban residence, a new concept of residence can be formed, changing from the concept of a temporary staying place to the concept of a stable residing place. Also, a gradual improvement that transcends time can be expected, and the present and past appearances can co-exis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a new residential type with unit blocks that can improve the physical structure of existing individual residential area without destroying the structure. That is, among the factors that comprise the individual residential area,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unit block with a medium role between a site and a mega-block, and will suggest a new concept of residential unit in order not to destroy its physical structure.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unit block will also be analyzed.

도시단독주택지 저층고밀형 집합주택 모델의 적용에 관한 연구 - 우이동 국민주택단지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Low-Rise and High-Density Multiple Dwelling Housing Model in Urban Individual Residential Area - Focused on Ui-dong Public Detached Housing Area -)

  • 전병권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101-111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discriminate development occuring as a result of high-density land use per lot in residential areas of Seoul, which mainly consist of detached houses. The primary goals of this study were: (1) to suggest a block unit development method as an alternative architectural method of the current uniform development, in which high-rise and high-density apartments are usually built; and (2) to check the feasibility of the suggested method. Based on the analyses of the existing block composition types of residential areas, the prerequisite planning indices for applying a collective housing model were investigated. Subsequent to applying a collective housing type within each unit block, the collective housing model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es showed that indiscriminate development was rampant in detached urban houses areas, and more than 70% of the buildings constructed before the 1980s needed re-development. The feasibility of the models was investigated depending on the models of low-rise and high-density collective housing, which utilize various block arrangements such as the court type, linear type, villa type, and composite typ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newly applied low-rise and highdensity multiple dwelling housing model in urban individual residential area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creating a good living environment in terms of bo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aspects.

도심주거지에 나타나는 일상문화로서의 도시정원가꾸기에 대한 고찰 - 용산구 용산동2가 해방촌을 중심으로 - (Examination of Urban Gardening as an Everydayness in Urban Residential Area, Haebangchon)

  • 심주영;조경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12
    • /
    • 2015
  • 본 연구는 도시화 과정에서 간과되었던 우리의 일상문화로서의 도시정원가꾸기(Urban Gardening)를 재발견하는 과정으로, 자생적 도심주거지 해방촌에서 나타나는 도시정원가꾸기의 이해와 장소적 특성 고찰을 통해 현대적 의미의 도시정원이 단독주택지 주민들의 삶과 연계하여 물리적 환경 개선과 지역 주민들간 관계 형성을 견고하게 하는 매개로서 기능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연구대상지인 해방촌(解放村)은 자생적으로 형성된 단독주택지지역으로, 1940년대 후반 도시빈민의 임시 정착지로 형성되었으나 '60년대 주거지 양성화와 '70년대~'90년대 자력 재개발사업에 의한 현지 개량을 거치면서 서울 도심의 대표적인 서민 주거지로 자리 잡았다. 특히 이 지역은 용산 미군부대와 남산으로 둘러싸여 섬처럼 존재하는 지리적 여건을 지니며 주거지 개발의 붐에서 비켜 있었으므로 다른 도심주거지에 비해 물리적 환경변화가 적고 주민들 역시 오랜 시간동안 지역에서 거주해온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을 바탕으로 해방촌을 크게 3개의 권역으로 나누고, 도시 조직과 주거형태 변화에 따라 다른 양상으로 전개된 도시정원가꾸기의 특징과 일상문화를 면밀히 관찰하였다. 서울민의 대중적 삶이 적층되어 있는 해방촌의 도시정원가꾸기는 근 현대 주거사의 변천과 생활상 변화에 따라 다양한 공간과 속성으로 변용, 진화해 온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들 장소는 고밀화 된 주거지에서 발현된 자연-정원에 대한 주민들에 욕망의 표현이며, 가꾸기를 통해 드러나는 참여의 장, 실천적 행위의 장소이다. 지역 주민들의 삶의 양식이 누적된 독특한 일상생활문화로서 지역 고유의 경관을 형성하고 있다. 주거와 마당-정원의 원형적 관계가 남아있는 단독주택지에서 도시정원은 반사적 공간의 공공적 공유가 발생하는 특성이 나타나며, 중층적 공간 구조 사이에서 창조적인 공간 사용을 발견한다. 협소한 대지의 효율적 공간 활용으로 나타나는 도시정원은 지역 주민들의 교류를 촉발하는 역할로서 마이크로 규모의 녹지 공간일 뿐만 아니라 복잡한 구조로 만들어진 정원의 도시 이미지를 형성한다. 도시정원에 대한 관심은 도시에서의 먹거리 생산이라는 역할을 넘어 건강과 취미, 교육, 공동체 회복 등 도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측면과 닿아 있다. 일상문화로서의 도시정원가꾸기는 사소한 다수가 발휘하는 고유한 역량과 독특한 특성에 대한 재발견으로 일상생활문화로서의 공간 활용과 장소에 내재된 가능성, 가치의 중요성을 다시금 상기한다.

토지이용을 고려한 주차분석존(Parking Analysis Zone) 기반 주차 공급 및 운영 계획 모형 (PAZ-based Parking Supply and Operation Planning Model Considering Land Use)

  • 유정훈;허겸;류인곤;전교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2권5호
    • /
    • pp.659-669
    • /
    • 2022
  • 최근 주차문제는 구도심의 주택지역에서만이 아니라 계획도시인 신도시의 점포겸용 단독주택지, 근린생활시설, 상업지역 주변 등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주차문제를 신도시 지구계획 단계에서 검토하여 신도시 건설 전에 주차문제를 최소화하는 전략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주차문제는 공급기반과 운영기반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원인에 따른 해결전략을 공급 및 운영측면에서 검토하여 효과성과 적용용이성의 정도에 따라 해결전략 적용 절차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주차문제 검토 단위를 보다 세분화하는 PAZ (Parking Analysis Zone)를 분석 기초 단위로 제안하였으며, 하남 교산지구 토지이용계획을 기본으로 공급기반 주차난 우려지역을 검토하고, 하남 교산지구에 맞게 수립된 적용 절차에 따라 해당 PAZ별 주차난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시각판독 및 수치사진측량을 이용한 하천경관 변화 파악 (River Landscape Change Detection Using Digital Photogrammetry Combined with Visual Interpretation)

  • 안승만;김재철;이규석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81-87
    • /
    • 2007
  • 1960년대 이후 빠른 도시화는 도시 자연환경, 그중에서도 도시 하천을 많이 변화 또는 훼손시켰다. 한강은 서울의 중심을 흐르는 강으로서 60년대 이후 도시화로 인해 유로변경, 천변백사장 망실 등 자연경관이 급격히 변화하였다. 오늘날 하천은 도시의 생태통로로서 뿐만 아니라 천변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로서 그 가치의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다. 따라서 변화된 하천자연경관은 환경복원의 주요 대상이며 이를 위해서는 훼손되기 전 하천경관의 원형파악이 필수적이다. 경관의 원형파악을 위해서는 촬영당시의 지형, 지물의 구체적인 정보들을 보유하고 있는 항공사진과 고해상도 위성영상 등의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 대상지의 지형, 지질, 식생, 토괴 등을 판독하여 자연경관의 변화를 파악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최근에는 항공사진 외에도 IKONOS 위성 영상과 같은 고해상도영상을 판독한 후 이를 수치사진측량기법을 이용하여 경관변화의 계량적 파악을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을 대상으로 1966년부터 2002년까지의 변화를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하천 자연경관변화를 파악하였다. 판독결과 대부분의 하천 변화는 모래사장과 곡류하천이 소멸돼 다른 용도로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래사장은 하천 직강화로 인해 하천으로 변했으며 하천은 단지 및 택지개발에 따른 천변도로 개설로 인해 소멸된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각각 나타났다.

적응적 재사용을 위한 단독주택의 리모델링 사례연구 -부산시 '구포새뜰마을'과 '해리단길'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Remodeling of Detached House for Adaptive Reuse -Focused on 'Gupo-Saetulmaul' and 'Haeridan-gil' in Busan-)

  • 최강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05-216
    • /
    • 2021
  • 지속가능한 도시재생과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적응적 재사용과 리모델링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적응적 재사용을 위한 단독주택 리모델링 방법론에 있어서의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최근 단독주택의 리모델링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부산시의 단독주택지인 '구포새뜰마을'과 '해리단길'을 대상으로 적응적 재사용을 위한 단독주택 리모델링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에 의해 주민 공간 및 시설로 리모델링된 건축물은 적극적인 주민참여와 지속적인 유지관리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민간에 의해 상업용도로 전용된 단독주택지의 건축물은 주거 및 상업용도의 상생이 필요하다. 셋째, 단독주택지 전체 차원에서 가로 및 건축물 리모델링의 계획 및 설계에 관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도시확장강도와 건물침수의 공간적 관계성 (Spatial Relations of the Urban Expansion Intensity and Flooded Buildings)

  • 강상준;권태정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7권4호
    • /
    • pp.759-764
    • /
    • 2017
  • 본 연구는 홍수로 인한 건물침수 발생지역과 시가지 확장현상 사이에 어떠한 공간적 상관성이 존재하는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강릉시 일대를 대상으로 Urban Expansion Intensity Index 와 Hotspot Analysis를 이용하여 공간적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지 분석을 통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물침수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은 도시확장강도가 높으며 또한 그러한 확장이 짧은 기간에 이루어진 가도시화 성격이 강할수록 건물침수 발생 강도가 증가하였다. 둘째, 양호한 도시기반시설이 미흡하다고 여겨지는 구도심지역은 상대적으로 전체 연구대상지의 평균수준으로 건물침수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높은 개발강도와 더불어 체계적인 도시기반시설마련의 가능성을 제한하는 비교적 짧은 기간의 도시개발 또는 가도시화는 주택침수발생현상을 유발한다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개연성은 공동주택지와 같은 신규개발지 증가가 신규개발지 인근 기개발지의 홍수취약성을 인접지역 신규개발 이전 상태에 비해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으므로 이러한 인과관계에 대한 향후 실증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도시지역 토사재해 위험지역의 유형화: 서울시를 사례로 (Categorize Debris Flow Hazard Zones in Urban Areas: The Case of Seoul)

  • 박창열;신상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6권5호
    • /
    • pp.915-926
    • /
    • 2016
  • 본 연구는 도시지역 토사재해 위험지역에 대한 특성을 살펴보고, 다변량 통계분석을 이용하여 위험지역들을 유형화하여 관리전략상의 시사점을 도출한다. 사례분석은 서울시 산재된 토사재해 위험지역 49개소 현장조사 표본자료를 대상으로 하며, 조사항목의 특성정보를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도시지역 토사재해 위험지역에는 계류부 하단 주변에 공원, 택지, 도로 등이 주로 위치하고 있으며, 다수의 주택가가 위험 지역과 인접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군집분석과 판별분석을 통해 토사재해 위험지역은 크게 2가지 유형으로 구분되며, 위험지역에 대해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소는 주변 토지이용과 비탈면 경사임을 확인하였다. 이들 인자를 근거로 각 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도시지역 토사재해 관리전략 상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분석방법과 관리전략상의 시사점은 기존의 산지 중심의 위험지역 관리대책에 더하여 피해 영향권에 해당하는 시가지에 대한 관리대책을 고려함으로써 토사재해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웃협정에 의한 협조형 도시주택의 모델개발에 관한 연구 -순천시의 도심주택지에 있어서 케이스스터디 - (A Study on Model Development of Cooperative Urban Housing by Neighborhood Agreement - Case Study on the Inner Residential Area, Sunchon City -)

  • 김영석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193-204
    • /
    • 2003
  • In connection with the plan for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gradually by analyzing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reconstruction and parcel form of the housing area in a inner area,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cooperative urban housing model based on the neighborhood agreement. The parcel form has a structure that is inappropriate for individual reconstruction; thus, the substantial improvement only throug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has its limitations. As an alternative plan to resolve such limitations, I proposed a system that enables step-by-step reconstruction within the small-scaled blocks through the annexation of the land based on the neighborhood agreement. Nonetheless, I realized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such reconstruction system to individual housing. Therefore, I presented a design concept on the cooperative urban housing project as a residential form for the reconstruction inside blocks. A model plan vouches for its effectiveness. To apply substantially the cooperative urban housing plan based on the neighborhood agreement, we need to supplement the sectional pla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