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시설물

Search Result 56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Study of Collaboration between GIS and Census Data for Urban Analysis and Location Analysis (도시현황분석과 시설물 입지분석의 과학화를 위한 센서스와 GIS의 연계 활용방안 연구)

  • Koo, Cham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3 no.3
    • /
    • pp.31-44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how could GIS along with digital maps and census data be used for scientific urban analysis and location analysis for a proposed project.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fter digital maps being completed, the census tract system being adopted, and major urban data being inputted in the computer file, GIS could be used intensively for various reliable urban analysis. With graphic statistical, and overlay functions of GIS, various physical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urban areas could be presented for analysis in the form of thematic and datapoint maps on the computer screen. Second, the locational analysis for a proposed project is a major part in the building permit review process, which tends to become disputable and time consuming as society become pluralized. Along with various GIS functions scientific decision-making methods could be developed, and the methods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for faster and scientific location analysis. As such, GIS would play an important role for faster and reliable urban analysis and location analysis and these functions finally would play important roles to improve public services and administration of local governments.

  • PDF

Establishing PC-based Object-Oriented Urban Infrastructure Information System using GPS and TotalStation (GPS 및 Total Station을 이용한 PC용 개체지향 도시 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 구축)

  • 유상근;이규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18 no.1
    • /
    • pp.41-49
    • /
    • 200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ablish PC-based Urban Infrastructure Information System(UIIS) using GPS and TotalStation as an alternative to UNIX-based UIIS. After carryig out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erived: PC-based UIIS costs less time and money than UNIX-based UIIS. The coordinates of the control point of the site were obtained using DGPS, then based on this point, locational data were obtained using RTK GPS and TotalStation in the site with realtime data capture to enhance the accuracy of locational data. And image data were also entered into database together with the text data. So, the multimedia database is possible in UIIS.

  • PDF

Construction of Facilities management System Using VideoGIS (VideoGIS를 이용한 시설물관리시스템 구축)

  • 구흥대;정동기;제정형;유환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125-131
    • /
    • 2004
  • 최근 급속한 도시화와 국토개발에 의해 대규모의 사회기반시설이 확충되면서 각종 재해와 환경오염이 우리의 생활환경을 위협하고 있다. 따라서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시설물을 관리하기 위한 핵심기술로서의 GIS는 정보화시대에서 그 활용성이 높이 평가되고 있다. 이러한 지리 정보시스템에 비디오 데이터 연계 기능을 더하여 영상을 기반으로 직접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하며 공간 데이터를 분석, 관리, 출력하는 비디오 지리 정보 시스템(Video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Video GIS)이 GIS 분야에 있어서 새로운 연구 분야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급변하는 도시지역의 시설물들을 실시간적으로 관리를 하기 위해 비행선촬영시스템을 통하여 취득된 비디오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를 공간정보와 연계시켜 도시지역에 존재하는 각종 시설물을 관리할 수 있는 동영상 정보시스템을 prototype으로 구축하여 그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The Studies for Forest Fire Danger Characteristic of Facilities in Wild Land Urban Interface (산림 인접시설의 산불 위험특성에 관한 연구)

  • Park, Houng Sek;Lee, Si Young;Kwon, Chun Geun;Lee, Byung Doo;Koo, Kyo San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65-65
    • /
    • 2011
  • 도시의 확대와 산림의 개발을 통해 산불은 산지의 피해뿐만 아니라, 인접지에도 피해를 입히고 있다. 이는 일반적인 사례가 되어, 이에 대한 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상북도의 울진군, 봉화군, 경주시를 대상으로 산림에 인접한 시설물의 빈도와 거리를 분석하여, 산불 발생 시 대피 및 진화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도시형으로 선정한 경주시가 전체 시설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산악형으로 분류한 봉화군이 가장 빈도가 낮았다. 가옥의 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봉화군이 축사의 빈도가 특히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산림인접시설물의 산림과의 평균거리분석결과 산악형의 시설물의 평균 산림 인접 거리가 가장 가까우며, 도시형인 경주시의 인접거리가 가장 먼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산악형(봉화 군)은 인접 시설의 산림과의 평균 거리가 100m이내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산불 발생시 큰 피해가 예상되는 가옥, 의료/복지시설, 주유소, 축사 등 전 시설물의 산림인접 100m 이내 비율도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산불 발생 시 인접지의 피해가능성이 높은 산림 이격 거리를 100m 이내로 가정할 경우, 봉화군의 경우 산불발생 시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연구를 보다 확대하여 향후 산불 발생에 대비한 지역단위 진화와 대피교범과 기준 제작으로 발전시키며, 인접지역 시설물에 대한 산림 위험 시설에 대한 정책수립의 근거로 삼아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Web Server Construction for the Adjacent Facility Management of Subway (지하철 인접 시설물 관리를 위한 웹 서버 구축)

  • 강준묵;강영미;엄대용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1 no.3
    • /
    • pp.193-198
    • /
    • 2003
  • The population is increased in the area of a subway station because the accessibility of passengers is improved. Therefore, facilities for commercial purpose are concentrated in this area. To develop the station area as the center among the most urbanized area, overall mater plan should be constructed far the station area. This study was to construct web server for management a variety of 3D spatial object database of station areas using GIS and web 3D technology. These results will be used to manage efficiently a urban space by the connection of a subway station and a adjacent facilities.

Evaluation of sewerage facilities design rainfall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total rainfall (총강우량 비교를 통한 하수도시설물 설계강우의 적절성 평가)

  • Yu, Byeong-Wook;Woo, Seung;Bae, De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17-117
    • /
    • 2019
  • 최근 전 지구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국지성 집중호우와 도시화로 인해 내수침수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각 도시에서는 하수도 정비기본계획을 수립하고 하수도시설물을 운용하고 있다. 그러나 하수도정비기본계획에 활용되는 설계강우가 실제강우의 특징을 모두 반영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하수도 시설 설계 시에는 설계강우의 특징을 파악하고 실제강우와 비교하여 차이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강우와 설계강우의 총 강우량을 비교하여 하수도시설물 설계강우의 적절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지역은 국내 대표도시 7곳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실제강우는 과거 침수피해 기간에 대한 기상청 관측 강우자료를 활용하였다. 비교평가를 위해 실제강우 기반의 설계강우를 산정하였으며, 국내 하수도 정비기본계획에서 제시한 설계강우 산정기법을 활용하였다. 적절성 평가는 총 강우량 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우량주상도와 총 강우량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우량주상도 비교 결과 설계강우에 비해 실제강우는 단기간에 강우량이 집중되는 형태를 보였으며 강우 지속기간이 길어질수록 첨두 강우강도에 근접한 강한 강우가 연속되는 경향을 보였다. 총 강우량 비교 결과 설계강우의 총 강우량이 실제강우의 총 강우량 보다 높은 경우에도 침수피해가 발생한 사례가 있었으며, 대부분 지속시간이 6시간 이하의 단기 집중호우 기간에 속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각 도시별 하수도정비기본계획 수립 시 설계강우 산정 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velopment of optimal operating standards for deep stormwater storage-drain facilities for urban flood defense. (도시유역 홍수방어를 위한 대심도 빗물저류배수시설 최적운영기준 산정기법 개발)

  • Yoon, Jun-Seo;Moon, Hyeon-Tae;Moon, Yo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84-284
    • /
    • 2022
  • 최근 세계적으로 급변하는 기후는 연 강수량이 여름에 집중되는 한국 강우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도시화된 대도시의 배수 시설 능력 부족은 돌발 강우, 국지성 집중 호우로 인한 침수 피해를 야기한다. 미국, 유럽, 일본 등의 선진국의 경우 대심도 저류배수터널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시설운영기준 및 매뉴얼 개발 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국내에는 이와 같은 시설물에 대한 운영사례가 없고, 시설물 내 복잡한 수리 현상에 대한 수리모형 실험도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시 강서·양천 일대에 설치된 대심도 터널인 신월 빗물저류배수시설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안정적인 운영계획 수립을 위한 최적운영기준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도시유역 강우유출모의에 적합한 XP-SWMM 모형을 활용하여 강우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수직구별 유입유량, 도달시간 등의 유출특성을 반영하고 수문개방시간을 고려한 시설물 운영기준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유역 홍수예방을 위한 빗물저류배수시설의 안정적인 운영계획 수립 및 시설물 운영 매뉴얼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f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of u-City (u-City의 도시통합운영센터 구축 연구)

  • Yoo, Jae-Duck;Park, Hong-Tae;Shin, Hyun-Sik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2 no.3
    • /
    • pp.191-198
    • /
    • 2007
  • It needs an Integration Management Center in u-City to mange all events for an efficiency of city function, to enhance an installed infrastructure of information, and to provide u-Service like residence, administration, and culture in real time. Integration Management Center is a place to provide a city information from gathering data of communication network, traffic network, and facilities. The u-Services in Integration Management Center need an Integrated Platform to integrate verticality and horizontality between service layer. This paper study an infrastructure of Integration Operation Center and Integrated Platform. Lastly the topics are suggested how to make it a success in u-City.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pplication-model in UIS using GSIS -A case of changwon city- (GSIS를 이용한 도시종합 정보체계의 응용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창원시를 대상으로 -)

  • Park, Jung-Nam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4 no.2 s.8
    • /
    • pp.99-108
    • /
    • 1996
  • Recently, the view of value and the national consciousness are expressed in various fields because of a rapid urban expanding, enforcement of local self-government system and tendency of democratization over the whole fields of society. It is difficult to satisfy this tendency of social environment change with only existing data management system. Therefore, we would use GSIS mainly used in facility management to develop the integrated urban management system which is connected the related information to related Agency. As a result, we can expect the efficient development, maintenance-management of urban and much civil affairs. On this study, firstly, we select a study area and present a basic direction of various urban facility management system. secondly, we develop the integrated urban information system with related Agency that combined the various urban facility management. Finally, we intended of its expression. It aims to manage as far as the step which is presented a model of urb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t the study a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