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시설물

Search Result 560,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study on Service Model for Sensor-based urban facilities Management (센서기반 도시시설물 관리서비스 모델에 관한 연구)

  • Kim, Eun-Hyung;Park, Ju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9a
    • /
    • pp.292-294
    • /
    • 2010
  • 그동안 많은 지자체에서는 도시 시설물의 효율적 관리를 위하여 정보기술을 활용한 도시정보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유비쿼터스 기술을 도입한 도시시설물 관리를 추진하고 있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도시정보화 특성은 실시간 시설물 모니터링(즉시성), 시설물에 발생하는 상황인지 및 즉각적인 상황대응(지능성)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들어 센서를 활용하여 도시 시설물 관리의 즉시성과 지능성을 도모한 서비스 수요 및 기술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센서를 활용한 도시시설물 관리 서비스를 구축함에 있어서 서비스 개발시 참조할 수 있는 개념적인 센서기반 도시시설물 관리 서비스 모델을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the Grid Architecture of Urban Facility Management in u-City (u-City 도시시설물 관리 GRID 시스템 아키텍처에 관한 연구)

  • Kwon, Hyuk-Jong;Lim, Hyung-Chang;Kim, Won-Kyun;Oh, Yoon-Seuk;Nam, Sang-K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492-496
    • /
    • 2008
  • 최근 u-City에서 추진되고 있는 도시시설물 관리 관리시스템은 USN을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도시시설물에 센서노드를 구축하고, 수집되는 Sensing 데이터를 활용하여 시설물관리를 지능화하고 있다. 본 논문은 관리 시설물에 따라 부착된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활용함에 있어 GRID 기술을 적용하고, 이 GRID 시스템을 통해 시스템 자원에 대한 효용성을 높일 수 있는 도시시설물 관리 통합 GRID 시스템 구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Research for Compatibility of USN in U-City Facilities Management (유비쿼터스도시시설물 관리를 위한 센서망 호환성에 관한 연구)

  • Lee, Kyoung-Hyoun;Kim, Hwa-Jong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8a
    • /
    • pp.11-14
    • /
    • 2009
  • 유비쿼터스도시서비스에서의 가장 핵심적인 기술을 유비쿼터스도시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된 도시기반시설물과 도시기반시설물로터 정보를 수집하고, 시설물을 관리하기 위하여 설치된 센서이다. 시설물에 설치된 센서는 USN으로 연결되어서 도시통합운영센서와 통신을 하여 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전송한다. 도시통합운영센터에서는 USN을 통해서 센서 또는 시설물을 제어한다. 이러한 USN에는 Zigbee, 6LoWPAN등 센서의 특징에 따른 프로토콜이 있고, 유선네트워크, 무선네트워크 등을 통해서 USN의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도시의 시설물 관리를 위해서 사용되어지는 센서 및 USN의 특성을 분석하고, 센서 및 USN의 다양성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Improvement Programs for Traffic Safety Devices on Urban Freeway (도시고속도로 교통안전시설물 개선방안)

  • 이대원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a
    • /
    • pp.332-341
    • /
    • 1998
  • 본 연구는 지역간 고속도로에 비해 통행수요가 높고, 진·출입램프 간격이 짧으며, 구간의 용량변화가 심하고, 기하설계 기준이 낮은 도시고속도로 교통안전시설물의 설치·운영상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이를 통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도시고속도로 교통안전시설물 문헌조사는 국내외 관련 기준서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현황 조사는 서울지역의 도시고속도로중 올림필대로를 중심으로 시설물의 종류, 설치방법, 시인성등을 조사하였다. 문헌과 현황조사 결과에 의하면 현행 시설물 중에는 설치 기준의 누락 또는 새로이 개발된 시설물 기준 등이 미흡하며, 시설물의 설치 및 운영이 현행 기준에 크게 못 미치는 것을 나타났다. 또한 경제성을 고려한 시설상호간 중복 및 모순을 배제할 필요가 있으며, 시설물의 유지관리체계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초연구를 통한 신개발 시설물의 설치 기준 설정, 현행 기준의 명확한 적용으로 시인성 및 통일성 확보, 시설물의 중복성 배제와 기능성 확립, 유지관리체계 마련, 그리고 도시고속도로 특성에 맞는 시설물 설치 기준서 및 실무지침서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 PDF

Study on a 3D Visualizatiion of Underground Facilities (지하시설물의 3D 시각화에 관한 연구)

  • Kim, Kwang-Ho;Cho, Hong-Beom;Kang, Byung-Jun;Kim, Min-Suck;Kim, In-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232-237
    • /
    • 2008
  • 지하시설물은 상수, 전력, 가스를 공급하고, 하수를 처리하는 동시에 정보통신망을 구축하는 중요한 도시기반시설이기 때문에 지하시설물에 관한 정보가 상당히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기존의 도시시설물들은 지상에 설치되어 왔으나 도시의 집중화에 따른 건설안전, 도시 미관, 유지 관리의 용이성을 위하여 시설물을 지하에 매설하는 경향이 높아짐에 따라 이러한 지하시설물의 효과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시설물 중 상 하수도 정보의 3차원 영상 가시화 기능을 개발하여 도시 지하시설물의 체계적인 관리 기술 및 안전성 확보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한 3차원 영상 가시화 항목은 현행 도시 관리 체계에서 다루고 있는 지리적 범위내의 지하시설물 중 상 하수도 시설물이다. 도시 지하시설물의 3차원 시각화를 위하여 지하시설물의 항목 별 분류를 수행하였으며 지하시설물의 3차원 시각화 적용 방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지하시설물 항목별 데이터 관리 방안을 수립하여 3차원 관리 대상 데이터를 제시하였으며 가시화 테스트를 통하여 3차원 영상 가시화 기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지하시설물의 3차원 시각화 기능은 도시 지하시설물 관리 기술의 혁신을 선도한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Electronic Library for Urban Foundation Facility Management (도시기반시설물 관리를 위한 전자라이브러리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 Jin, Hai-Ming;Kim, Byung-Guk;Park, In-Man;Sung, Jeong-Go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23-27
    • /
    • 2005
  • 현재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각자 도시기반시설물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활용하고 있다. 그리고 GIS DB 구축 시, 같은 속성 값을 가지고 있는 시설물에 대해서도 중복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각 지방자치단체가 관리하고 있는 시설물의 대부분은 공통된 시설물을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DB 속성항목에서 다소 차이가 나고 있다. 이에 공통된 동일 시설물에 대해서는 DB의 속성항목을 표준화하고 시설물의 사양을 표준화하여 각 시설물 사양에 따라 ID를 부여하여 도시기반시설물 전자라이브러리(Electronic Library)를 구축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 PDF

Derivation of System Requirements and Implementation of System Framework for BIM-based Urban Facility Maintenance System (BIM 기반 도시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 요구사항 도출 및 프레임워크 구축)

  • Kim, Ji-Eun;Choi, Hyun-Sang;Gang, Tae-Yo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4
    • /
    • pp.397-406
    • /
    • 2014
  • Recently the existing urban facility management integrating with advanced IT has been created more effective and various service for solving the problems what are the inadequacy of operating system, data continuity and expandability, etc.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 of BIM based urban facility maintenance, and implemented the environment with smart facility maintenance function and facility information system. Also this suggested the BIM based maintenance system framework after considerations as system operation and construction are deducted for development of system managing urban facility like bridge and tunnel. The output will be used as preliminary data for the study of development of maintenance system and derivation of real scenarios.

A Study of Selection of Ground Facilities for Intelligent Urban Facilities (도시 시설물 지능화를 위한 지상 시설물 선정 연구)

  • Nam, Sang-Kwan;Oh, Yoon-Seuk;Choi, Hyun-Sang;Ryu, Seung-Ki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130-134
    • /
    • 2008
  • 최근 대부분의 지자체를 중심으로 u-City 구축을 위한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있고, 몇몇 지자체들은 신도시를 중심으로 u-City라는 이름으로 실제 도시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사업의 배경에는 도시 내의 각종 시설물에 유비쿼터스 관련 센서 네트워크(USN)를 설치하여 각종 시설물을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다는 전제가 있지만, 실제 수많은 도시의 지상 시설물 중 어떤 시설물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연구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의 각종 지상 시설물에 대해 어떤 시설물을 지능화 할 것인지, 또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어떻게 그룹화 및 유형화를 할 것인지에 대해 제시하였다.

  • PDF

The Structure and Functionality of an Intelligent Facility Management Platform (지능형 시설물 통합관리 플랫폼의 구조 및 기능)

  • Lee, Jae-Wook;Oh, Hyung-Jung;Ko, Young-Geun;Baik, Song-Hoon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8a
    • /
    • pp.78-82
    • /
    • 2008
  • 최근 신도시를 중심으로 추진 중인 U-City 사업과 함께 도시시설물 관리분야에 정보기술의 활용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복잡, 다양해지고 있는 도시시설물의 효율적이며 지능적인 관리를 위하여 다수의 도시시설물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통합관리 플랫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개별적인 도시시설물 관리가 가지는 주요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도시시설물 통합관리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아울러 통합관리 플랫폼의 개념을 구조와 핵심 기능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최신 공간정보기술과 상황인지기술을 기반으로 한 통합관리 플랫폼은 도시공간정보와 센서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다양한 도시 상황을 지능적으로 처리함으로써 관리 비용절감과 함께 관리자의 신속한 의사결정을 가능케 한다.

  • PDF

A Method of Measuring Location Coordinates for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지하시설물 관리를 위한 위치좌표 확보 방안)

  • Seo, Dong-Seob;Kim, Gun-Bae;Baik, Song-Hoon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8a
    • /
    • pp.315-318
    • /
    • 2008
  • 유비쿼터스 도시의 개념이 등장하면서 도시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어가고 있다. 특히 지하시설물에 대한 안전한 관리는 안전한 도시를 표방하는 유시티 에서는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공공서비스라 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도시의 지하시설물의 안전한 관리를 위한 체계적인 관리 방안에 대한 연구가 국토해양부를 중심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지하시설물의 특성상 안전하고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지하시설물에 대한 정확한 위치좌표를 알아야 하고 지하시설물에 일어나는 변화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센서적용기술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도시 내 지하시설물 구축과정에서의 절대위치확보 방안과 각 지하매설물별 특성을 고려한 센서적용방안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