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방재대책

Search Result 12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Accessibility of Disaster-prevention Green Space for Earthquake Avoidance - Focused on Jung-gu and Nam-gu Office, Ulsan Metropolitan City - (방재 역할로써의 도시 내 공원녹지의 유형별 접근성 연구 - 울산광역시 중구와 남구를 대상으로 -)

  • Cao, Lin-Sen;Zhang, Zhong-Feng;Xia, Tian-Tian;Kang, Tai-H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5 no.6
    • /
    • pp.90-97
    • /
    • 2017
  • Construction of urban emergency shelters based on disaster-prevention green space is an important part of an urban disaster response plan. The accessibility of disaster-prevention green space is directly related to the disaster prevention service effect of green space. Taking the Jung-gu and Nam-gu districts of Ulsan city as research targets, the accessibility of three green spaces was analyzed by a network analysis method based on information regarding the distribution of population and green space and the urban road network. Two indicators for evaluating the service effect of green spaces were service population rate and service area rat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ccessibility of the emergency refuge parks (5min) and central refuge parks was relatively good but the service area rate and service population rate of the emergency refuge parks (3min) and temporary refuge parks was less than 60%. In view of the overall situation, the service effect of disaster-prevention green space is at this point only general in Ulsan and there is great room for improvement.

대심도 철도에서의 응급의료체계 : 국내 유사한 교통체계에서 상황을 중심으로

  • Wang, Sun-Ju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0 no.3
    • /
    • pp.36-42
    • /
    • 2010
  • 최근 포화된 도시 인구와 교통량에 대응하기 위하여 기존의 버스,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 수단 이외에 광역화된 도시 영역을 빠른 시간 내에 대량의 승객이 이동할 수 있는 신개념의 교통체계로서 대심도 철도가 소개되고 있다. 철도가 광역화되고 인구 밀도가 높은 도시 영역을 빠르게 대량의 승객을 수송하기 위해서 지하 깊이 철도가 다니게 하는 것이 경제성, 효율성 측면에서 합리적일 수 있으나 편리성과 도입에 초점을 맞추다 보니 여기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안전 문제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가 간과되고 있다. 대심도 터널 내에서의 다양한 교통사고와 화재를 포함하여 각종 자연 재해와 인적 재난이 대심도 교통수단의 안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방재 측면에서 대심도 터널 자체의 구조와 기능, 교통수단의 기능 측면을 강조하다 보니 인명 피해, 즉 인간 그 자체의 안전에 대하여 간과하는 측면이 있어 본 내용은 국내 유사 교통 수단인 고속철도에서 심장마비 환자의 응그브이료 구축 사례와 대구 지하철 화재의 초기 응급의료 대응을 통하여 대심도 철도 사고나 응급환자 발생 시 대피와 구조의 어려움을 적절히 대처하고, 인명피해 저감 대책과 대심도 철도의 특성에 맞는 응급의료체계를 개발 방향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Investment in Domestic Disaster Prevention and Planning (국내 재해예방투자 현황 및 계획 분석)

  • Kim, Dae-Gon;Park, Jong-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815-815
    • /
    • 2012
  • 우리나라의 경우 1조원 이상 피해를 입힌 자연재해가 '98년 이후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등 최근 급격한 도시화 산업화 및 범지구적인 이상기후 현상으로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가 점차 대형화 다양화되는 추세이다. 그에 따른 국내 재해관리 및 사전예방의 중요성은 그 동안 여러 차례 기획사업 및 재정계획을 통해 제시된 바 있으나, 대부분 추진계획 수립에 그치고 실질적인 예산 편성시에는 충분히 반연되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재해예방투자사업의 규모와 구체적 계획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재해사전예방 분야의 기존 투자계획으로는 "제1차 국가안전관리 5개년 기본계획"과 "2005-2009 국가재정운용계획", "수해방지대책 백서" 등이 있었으며 그 중 "제1차 국가안전관리 5개년 기본계획"은 정부역사상 처음으로 시행하는 중 장기 국가재난관리정책으로, 풍수해대책, 설해대책 등의 자연재해를 비롯하여 총 17개의 재난유형별 재난관리대책을 포괄하고 있으며, 11개 부처 및 시도에 대해 27개 사업, 36조 8천억원을 투자하는 계획을 제시하였다. 가장 최근에는 2010년 8월에 국무총리실 주도 재난관리 개선 민관합동 TF팀을 구성하여 기후변화 및 기상이변에 선제적 대응 및 기존 방재체계에 대한 근본 패러다임 전환을 통한 선진적 방재시스템 구축을 추진하기 위하여 기후변화대응 재난관리 개선 종합대책을 마련하였다. 일선 경험이 많은 민간전문가 주도로 철저히 현장 중심의 문제점과 대안을 검토하고 대책을 준비함으로서 기존의 재난관리대책 구축방법과 차별성을 띄었다고 할 수 있다. 이번 재난관리 개선 종합대책에서는 5개 시 도의 현장조사와 기존대책을 분석하고, 전문가 의견 등을 검토하여 도시유역종합치수계획, 소하천 및 사방댐 정비, 소규모 시설 정비 등 26건을 포함한 '99년부터 3회에 걸쳐 추진한 재해관련 범정부 종합대책을 검토하여 필요성이 있으나 추진이 미흡했던 과제는 포함시켰다. 또한 기후변화 대응에 필요한 신규과제 및 재해취약요인이 드러난 도시방재를 위한 개선과제를 집중 검토하도록 하였다. 다수부처 관련 쟁점과제에 대해서는 주관부처를 정하거나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조정회의 및 세미나, 공청회를 통해 보완 검토하였다. 그 결과로서 2011년 전년대비 재해예방 관련 사업에 대한 국고 투자규모는 도시침수방지 17%, 수자원 관리 25%, 항만 정비 17%, 산사태 예방 24%, 농업기반시설 정비 20%, 위험지 정비 19%, 재난 예측 및 대응시스템 개선 16% 증가하여 투자계획이 수립되었으며 전체적으로는 약 21% 증가된 투자계획이 수립되었다.

  • PDF

Estimation of Vulnerable Disaster Areas to Establish Busan U-City Model (부산시 U-City 모델 구축을 위한 재해취약지 분석)

  • Jeon, Sang-Soo;Jang, Hyun-M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8 no.2
    • /
    • pp.65-73
    • /
    • 2008
  • Since the damages caused by disasters increase every year associated with wrenching climatic changes and the diversification of the social structure, the efficient management system is required to reduce damages and an assessment of the vulnerable disaster areas is necessary to prevent and mitigate the damages. In this paper, we have estimated the vulnerable disaster areas based on the records of the past damage histories and performed the risk assessment of the social infrastructures in Busan city to provide th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the real-time monitoring system and the systematic approach for disaster prevention system to build V-City model. These results are illustrated by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 and the order of vulnerable disaster areas are also estimated.

Spatial Distribution and Causative Factors of Typhoon Disasters in Korea (한국의 태풍재해의 공간분포와 발생요인)

  • 이은걸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3 no.2
    • /
    • pp.179-190
    • /
    • 1998
  • 한반도에 내습하는 태풍의 발생빈도와 강도는 큰 편은 아니나 우리는 거의 해마다 태풍으로 인한 재해를 경험하고 있다. 특히 태풍에 의한 경제적 손실은 1960년대 이후 경제개발과 도시화로 인한 인구과밀지역에서 크게 나타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태풍재해의 대책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태풍재해를 유발하는 기상적 요인과 더불어 경제.사회적 조건이 재해의 규모 및 강도에 미치는 기여도가 상당히 크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한반도에 큰 피해를 남기는 태풍의 진로는 서해를 따라 북진하다가 반도부를 거쳐 동쪽으로 빠져나가는 E경로로서 한반도의 동쪽을 통과하는 진로를 취할 때 보다 더 큰 영향을 끼친다. 재해지역의 공간분포는 대체로 남해안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태풍재해는 일반적으로 태풍중심에서부터 피해지역가지의 최단거리, 강수량, 최대풍속 등의 기상적 요긴과 피해지역의 토지이용 및 그 지역의 산업구조를 포함하는 사회.경제적 요인 그리고 재해대책수준 및 태풍예보기술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태풍의 피해의 정도가 결정됨을 태풍재해의 공간분포와 발생요인의 분석결과 알 수 있었다. 침수로 인한 피해는 경남과 전남의 농촌지역에서 넓게 나타나고, 경제적 손실은 대규모의 도시와 공업이 발달된 경남해안지역에 집중되고 있다. 태풍재해의 규모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기상예보기술의 향상을 도모해야 함은 물론 홍수예방시설의 확충과 더불어 GIS 기법을 활용한 방재정보시스템에 기초하는 도시종합방재대책을 수립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 PDF

The Research on Scheme to Prevent Inundation at the Underground Space (지하공간의 침수방지대책에 관한 연구)

  • Ahn, Sang Jin;Seo, Byung Ha;Choi, Gye Woon;Park, Keun 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883-887
    • /
    • 2004
  • 현재 전국적으로 $\blacktriangle$ 전기, 가스, 상수도, 하수도, 열수송관 등을 공동 수용하는 '지하공동구'가 14개 도시 30개소에 160.4km $\blacktriangle$ 보행공간으로 병용되는 '지하도로'가 23개도시 118개소에 63만 $m^2$ $\blacktriangle$ 지하도로내 설치된 지하점포가 1만1천798개소 23만$m^2$이 있다. 이와 같이 현대 도시내에서 지상공간의 과밀도 개발로 인하여 지하공간의 수요가 증대되어 지하공간 구조물이 많이 설치되고 있는 반면, 지하상가, 지하천 등과 같은 지하공간 시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침수피해 대책이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지하공간의 침수피해 실태를 조사하고 그 사례에서 원인을 분석하여 기술적 해결책을 도출해 내며, 침수방지를 위한 대책으로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숙이나 국외(미국, 일본)의 침수방지 기술 및 대책, 침수시 가이드라인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지하공간이 침수되었을 때 일어날 수 있는 위험성에 대하여 이론적인, 기술적인 조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지하공간의 유형 즉, 지하주택, 지하상가, 지하공공시설(지하차도, 지하철, 전철, 지하변전소)에 대한 구체적인 침수방지 기숙에 대한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지방자치단체, 관련기관, 연구기관에서 지하공간 침수방지대책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Urban Flood Risk Maps for Strengthening Urban Planning Toward Disaster Prevention (재해예방형 도시계획 지원을 위한 도시침수 위험도 공간정보 개발)

  • Lee, Jongso;Lee, Sange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8 no.2
    • /
    • pp.203-213
    • /
    • 2018
  •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methods for urban flood risk maps which are useful in strengthening urban planning toward disaster prevention by climate change. Selecting the Gwangju city, Gyeonggi-do as study area, it analyzes urban flood at a RCP 8.5 scenario, and develops gridded information regarding risk components such as hazard, exposure, and vulnerability. It turns out that flooding would occur at a bend interval of the Mokhyun stream and also at the joint of the Gyungan and the Mokhyun streams, showing the similarity with the inundation trace map. In particular, the Songjeong dong is analyzed to be seriously exposed and to be highly vulnerable to flood inundation. With all results together,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proposed methods could be used as a basis for strengthening urban planning toward flood disaster prevention system.

Analysis of Inundation Causes in Urban Area based on Application of Prevention Performance Objectives (도시유역에서의 방재성능목표 적용과 침수원인 분석)

  • kim, Jong-Sub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8 no.1
    • /
    • pp.16-23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quantitatively the inundation causes by applying the prevention of performance objectives using the urban storm water runoff model XP-SWMM. The model was built by using DTM and storm sewer-network with the storm sewer and geo-data of the study area as input-data to assess the current performance of prevention. An analysis of the causes of the inundation by the frequency and the rainfall-duration. As a result, lack of pipe capacity due to flooding, as well as inundation heavier that the backwater rainfall occurs due to the rise of water level of outside. For solve the inundation damage, It is necessary to improvement pipe of capacity lack and installation of a flood control channel.

Selection of Infrastructure Sites Using Fuzzy AHP Techniques - For Yeongdong area - (Fuzzy AHP기법을 이용한 기반시설물 적지선정 - 영동지역을 대상으로 -)

  • Jeong, Jin Woo;Kang, Dong Ho;Choi, Jung Ryel;Kim, By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97-197
    • /
    • 2022
  • 우리나라의 연 강수량은 약 70% 가 6월 ~ 9월 우기에 편중되어 있으며, 국내 약 65%가 산지로 이루어져 있어 강우의 유출이 한번에 일어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수문학적 특성으로 인하여 수자원 관리가 어려우며, 폭우, 폭염, 극한가뭄 등 기후변화 현상이 심화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수자원의 안정적인 관리에 대한 어려움이 있다. 특히, 강원도 영동지역을 포함한 동해안 지역에 위치하며, 경사가 가파른 태백산맥 동쪽은 하천 연장이 짧고 하천의 규모가 크지 않아 지속적인 수자원 부족 현상을 겪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여름철 홍수기(6월 ~ 9월)에 집중된 강우와 일시에 유출되는 강우를 저장하기 위하여 저수지와 댐을 활용한 수자원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용수 부족으로 인한 주민 피해 및 사회적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동해안 지역의 수자원 확보를 위한 구조적 대책 즉, 기존 댐 저수지 중심의 수자원 인프라를 지하댐을 중심으로 한 대용량 지하수 시설과 연계하여 활용하는 지하댐 적지 선정에 관한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적지선정에 대한 타당성을 위하여 전문가들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Fuzzy AHP 기법을 적용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 PDF

Weight estimation of complex risk index using entropy (엔트로피를 이용한 복합위험지수의 가중치 산정)

  • Lee, Lim-Yeol;Kim, Duck-Gil;Kang, Na-Rae;Lee, Jong-So;Kim, H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08-408
    • /
    • 2012
  • 최근 기후변화 때문에 태풍, 호우 등 자연재해로 수방시설물의 피해규모가 커지고 있으며 이러한 피해는 단일 재해요인이 아닌 여러 재해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도시의 안전성과 방재기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복합위험요소를 고려한 재해위험도의 진단 기술 및 종합적인 재해경감대책 수립을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복합위험요소를 고려한 재해위험도 및 재해경감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도시재해를 유발하는 다양한 요인들이 도시재해에 미치는 영향과 재해요인 중에서 어떠한 재해요인이 도시재해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보전달 이론 중의 하나인 엔트로피 방법을 이용하여 복합위험요소를 고려하여 도시지역에 대한 재해위험도를 나타내는 복합위험지수의 가중치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복합위험지수의 가중치는 지표별 속성정보를 추출하여 정규화 과정을 거친 후, 속성별 엔트로피를 산정하여 지표별로 산정된다. 엔트로피 방법에 따라 산정된 가중치는 다른 가중치 산정 방법에 따라 산정된 가중치와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타당성을 검토할 것이며, 이렇게 산정된 가중치를 복합위험지수 산정에 적용한다면, 보다 현실성 있는 도시재해 위험성 또는 취약성 지수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