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방재대책

Search Result 121,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Emergy Evaluation of Typhoon Maemi in Busan (태풍 매미가 부산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에머지 평가)

  • Park, KyungMin;Kim, Dong-Myung;Lee, Suk M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20 no.1
    • /
    • pp.18-25
    • /
    • 2017
  • Damage of both life and property has been increased by natural disaster under the influence of climate change, thus many natural disaster vulnerability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to make adaptation policy and impact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recently. Their method for assessing vulnerability usually have used proxy variables for making vulnerability indices. However, because their results were too qualitative and relative it tends to be hard to make absolute comparison and establish standard of prevention or adaptation ability.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at quantifying natural disaster vulnerability using emergy through recognizing disaster as the relations between order and disorder by system approach. As a result, ordering energy (4.66E+22 sej/yr) and ordered structure (1.98E+22 sej) of Busan in 2003 and disordering energy (7.80E+18 sej), disordered parts (4.55E+20 sej) and rebuilding energy (3.87E+20 sej) by typhoon Maemi were analysed. And then, this was compared with Hurricane Andrew in Dade County. Through this comparison, if the prevention ability of Busan increases, disordered parts can be reduced against the more powerful disordering energy. Also, prevention for additional damages by disaster is needed to practical rebuilding action. In conclusion, it was able to figure out the impact of disaster quantitatively by natural systems and urban systems showing as common measure. Based on this study and further research to make effective prevention for how much prevention ability should be increased will contribute to producing the scientific data for disaster management policy in future.

Mapping Inundation Areas by Flash Flood and Developing Rainfall Standards for Evacuation in Urban Settings (GIS를 이용한 도시지역 돌발홍수 침수예상지도 작성 및 대피강우기준 개발)

  • Shin, Sang-Young;Yeo, Chang-Geon;Baek, Chang-Hyun;Kim, Yoon-J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8 no.4
    • /
    • pp.71-80
    • /
    • 2005
  • As local flash flood exceeding planned capacity occurs frequently, localized preparedness and response to flood inundation are increasingly important. Using XP-SWMM model and GIS techniques, this study analyzes inundation areas by local flash flood and develops rainfall standards for evacuation with the case of Sadang-Cheon area, a local stream and its nearby highly populated watershed in the southern part of metropolitan Seoul, Flood inundation areas overflowed from drainage systems are analyzed and mapped by amount of rainfall that is derived from reference levels of stream flow. Rainfall standards for evacuation are comprised of 'watch' (40mm/hr) in preparing for near-future inundation and 'evacuation' (65mm/hr) in responding to realized inundation. The methods suggested by this case study may be applied to other urban areas for sound flood prevention policy measures and thus risk minimization.

  • PDF

The study on introduction of the canal wa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주운시설 도입에 관한 연구 (인천 청라지구를 중심으로))

  • Jeon, Jei-Bok;Kwon, Myeong-Sin;Kim, Ji-Ho;Oh, Kyu-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462-146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청라지구 경제자유구역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지구내 하천 및 공원에 최적의 주운시설을 도입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유역의 일반현황 및 국내외 사례조사를 통해 현재까지 진행된 주운관련 사례를 분석하여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으며 이수, 치수, 환경 측면에서 주운시설 도입을 위한 종합적인 검토를 수행하였다. 물수지분석, 담수량 및 손실량 파악, 물갈이율 조사 등을 통해 필요수량을 파악하였으며, 산정된 필요수량 확보를 위해 하수처리장 고도처리수, 상수원수, 상수도, 유역관리 등의 다각도의 수량확보 방안을 검토하여 적용가능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하천수질현황, 국내외 수질기준, 생태계 친수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목표수질을 설정하였으며, 유역, 하천, 호수공원 및 내부수로 등에 적용가능한 수질보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인근하천, 중앙호수 공원, 내부수로를 동시에 고려하여 유역통합관리 차원의 치수안전성 확보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주운시설 도입에 따른 추가적인 치수안전성 확보방안을 검토하였다. 특히 간척지라는 지역적 특수성을 고려하여 항구적인 치수 및 이수 대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해 최첨단 유지관리 시스템의 도입 및 안전시설 확보를 통해 재해로 부터 안전한 주운계획을 제시하였다. 향후 청라지구-서해-굴포천 방수로-한강을 잇는 해상과 연계된 주운 개발을 통한 광역운하망 구축 방안을 제고하였다. 향후 주운시설의 도입에 따라 도시의 어매니티 증진과 친수도시 구현, 물순환 확보와 치수에 안전한 방재도시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신도시 개발의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nalysis of Runoff Reduc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lloted Detention System in Urban Area (도시유역의 분담저류 방식에 따른 유출저감특성 분석)

  • Kim, Ji -Tae;Kwon, Wook;Kim, Young-Bok;Kim, Soo-J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9 no.11 s.172
    • /
    • pp.915-922
    • /
    • 2006
  •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is planning a flood disaster mitigation system in urban area. This research is about analysis of runoff reduction efficiency of the alloted detention system which is one of flood disaster mitigation systems in urban area. The alloted detention system is composed of small to middle size detention facilities located in up and middle stream of urban basin. To analyze runoff reduction efficiency of alloted detention system, basic runoff analysis in test area has been carried out and runoff characteristics with size and locations of detention facilities has been simulated. The results of simulation are showing that alloted detention system can reduce the discharge of main stream and detention facilities' size and locations are major parameters of runoff reduction efficiency. It is concluded that alloted detention system can be a useful method in urban area's flood disaster mitigation and can secure safety against flood damages in urban areas.

An Analysis of Flood Damage Influence by Urban Spatial Factors (도시공간적 요인에 의한 침수피해의 영향 분석)

  • Park, Kiyong;Oh, Hoo;Jeon, Won-Sik;Lee, Eui Ho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9
    • /
    • pp.238-250
    • /
    • 202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ong-term measures to minimize flood damage in the event of flooding in urban areas.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spatial factors and the impact of flood damage was analyzed, focusing on non-structural measures. The urban spatial factor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parts: open space,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and urbanization sector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how urban spatial factors influence flood damag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rucial factors, such as the reduced green areas and parks included in the open space sectors, resulted in an increased flood damage potential. The posterior factors, such as the population density and GRDP included in the urbanization sector concurrently led to an increase in the flood damage potential. Therefore, to better adapt to climate chang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urban spatial plans strategically, such as green areas and parks. Meanwhile, the population density and GRDP are also the main factors causing flood damage. Therefore, when used appropriately in terms of resilience, it will serve as adaptations and recovery.

Effects on Resident of human body at fire outbreak for apartment building using CFAST (화재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공동주택 화재발생시 거주자의 인체에 미치는 영향)

  • Park, Joo-Won;Kwon, Jin-Suk;Choi, Jae-Hyou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89-189
    • /
    • 2011
  • 최근 공동주택은 보편적인 도시주거 유형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지만, 성장 위주의 경제 산업 정책에 따른 안전의식미약, 사회구조개편에 따른 급격한 증가, 생활환경 변화와 에너지 사용 증가 등 화재 유발인자의 다양화로 인해 인적 물적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다른 건물들과는 달리 공동주택의 거주자가 유아, 노인, 신체장애자 등 다양한 인적 구성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서 화재 발생 건수에 비해 인명피해가 월등히 높은 편이다. 공동주택에서의 화재에 대한 위험성을 인식하고, 그에 대한 인적 물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본 논문은 CFAST(Consolidated Model of Fire Growth and Smoke Transport)를 사용하여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실물 화재 실험을 실시하고 공간화재에서의 화재 성상을 파악하여 화재 시 개구부의 개폐 여부에 따라 발생되는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농도와 온도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개구부를 개방 했을 경우에 외부창문의 개폐 여부에 상관없이 모든 방의 온도 분포가 뚜렷하게 나타났지만 개구부를 폐쇄 할 경우에는 발화지점인 거실의 온도 분포만 나타났다. Flashover현상과 Back Draft현상은 개구부의 개폐여부에 상관없이 외부 창문을 폐쇄 했을 경우에 나타났지만 특히 모든 개구부와 외부창문을 폐쇄 했을 경우에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각 실은 점화 후 4분경에 최고 온도를 보였으며 다른 방에 비해 발화지점인 거실의 온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온도에 의해서는 두 가지 영향이 일어날 수 있는데, 하나는 비교적 장시간에 걸쳐 발생하는 열응력이고, 다른 하나는 짧은 시간에 발생할 수 있는 화상이다. 만약 피부온도가 $45^{\circ}C$에 이르면 인체는 고통을 느끼게 되며, 이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는 깊은 피부조직까지 손상을 줄 수 있다. 움직이지 않는 사람에 대한 고통 유발 임계온도는 약 $200^{\circ}C$이며, 인체는 땀의 발산으로 온도에 대한 내성이 증가하지만 이체가 장시간 열을 받으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결론적으로 공동 주택을 대상으로 CFAST를 이용해 분석한 결과 플래쉬오버 현상으로 인해 화재가 성장하여 급격히 온도가 상승하다가, 산소 부족으로 인해 화재가 성장하지 않고 온도가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화재 시 온도, 산소, 이산화탄소를 고려하였을 때 약 3분 이내에 대피해야 온도 및 가스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Integrated Flood Analysis Program for Standardization of Disaster Map (재해지도 작성 표준화를 위한 내·외수 통합 침수해석 프로그램(i-FIM)의 개발)

  • Lee, Jae Yeong;Keum, Ho Jun;Kim, Beom Jin;Cha, Young Ryong;Han, Kun 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78-278
    • /
    • 2018
  •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행정안전부의 풍수해저감종합계획, 사전재해영향성검토협의, 재해위험지구개선사업 등에 해외에서 개발된 상용프로그램이 사용돼 접근성 저하로 인해 지자체 방재담당자의 실무나 대학에서 연구용으로 다루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내수침수, 외수침수, 2차원 침수해석으로 구성하여 GUI 기능을 강화한 통합침수재해지도 작성시스템(i-FIM, Integrated Flood Inundation Modeling system)을 개발하여 입력자료의 구성 및 매개변수의 수정이 용이하게 함으로써 하수관망 등에 부분적인 설계 변경이 있는 경우 지자체 방재담당자가 간단한 작업을 통해 침수영향 변화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세한 지형의 반영이 필요한 도시지역의 2차원 침수해석의 경우 계산격자 망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소요되는 계산시간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한계가 있어 i-FIM에서는 계산격자를 $2{\times}2$, $3{\times}3$, $5{\times}5$ Subgrid 형태의 격자를 적용하고, 병렬프로그래밍과 계산시간조정 기능을 추가하여 2차원 침수해석 모형의 계산 속도를 향상시켰다. 이를 실무에 적용하기 앞서 2006년 집중호우로 인해 안성시에서 발생한 제방 붕괴사상, 2016년 태풍 차바로 인해 울산시에서 발생한 제방 월류 사상을 통해 침수흔적도와 비교하여 검증을 실시하였다. i-FIM에서 최종적인 2차원 침수해석 결과는 2017년에 개정된 '재해지도 작성 기준 등에 관한 지침'의 침수심 등급 구분의 색채 설정에 따라 각 격자별 침수심을 표출함으로써 표준화된 재해지도 작성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포털사이트의 지도 및 위성지도에 표출함으로써 침수 위험이 발생할 수 있는 지역의 현재 이용 용도를 파악하여 침수재해에 대한 상세한 대책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rojection of future short duration rainfall quantile using rainfall disaggregation technique (강우분해기법을 이용한 미래 단기 확률 강우량 전망)

  • Lee, Jeonghoon;Seo, Jiyu;Kim, Sangd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28-42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최근 RCM을 이용하여 생산된 미래 강우자료를 1시간강우량으로 변환하기 위한 Neyman-Scott Rectangular Pulse(NSRP) 모델 기반의 강우분해기법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짧은 지속시간에 대한 확률강우량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전망해보고자 하였다. 강우분해기법의 성능평가는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수행되었으며, 관측 시계열을 우수하게 모의했으나 일최대 시간 강수량이 20mm를 초과하는 경우 불확실성이 증가함에 따라 사용에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미래 확률강우량 전망결과는 모든 지점(울산, 부산, 창원, 밀양)에서 향후 재현기간별 1시간 확률강우량이 증가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울산과 밀양 지점의 경우, 재현기간에 클수록 증가율 또한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복잡한 산악지역 내 위치하고 있고, 다른 지점보다 산지효과 영향이 크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부산과 창원지점은 다른 두 지점에 비해 재현 기간별 확률강우량의 변동성이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해안에 가깝에 위치해 있어 RCM별 불확실성이 다소 크게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과거 200년 빈도 확률강우량 보다 미래 50년미만 빈도 확률 강우량이 더 커질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다양한 불확실성이 포함되어 있는 결과이긴 하나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곧 도래할 미래의 도시유역 방재성능 재정비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아울러, 극한 강우발생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음을 의미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새로운 수자원의 이수와 치수 대비를 위한 구조적/비구조적 대책이 시급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Risk Factors of Sinkholes with Geospatial Information (지형공간정보를 이용한 싱크홀의 위험요인 분석)

  • Kim, Dong-Moon
    • Journal of Convergence Society for SMB
    • /
    • v.6 no.4
    • /
    • pp.37-43
    • /
    • 2016
  • Sinkholes happen in increasingly higher frequency in downtown areas with a concentration of social infrastructure these days. Most sinkholes occur around the living areas of citizens, which calls for a systematic countermeasure plan for urban development and underground water management, which are parts of the main causes of sinkholes. This study thus set out to analyze the risk factors of sinkholes in the subject area by using geospatial information deeply connected to sinkhole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e geospatial information used in analysis was obtained by examining the causes of sinkholes from a topographical perspective. Collected data were treated and analyzed with a range of spatial analysis tools based on GIS. The findings show that topographical factors had significant relations with sinkhole causes and raise a need to manage all kinds of pipe networks underground, the movement characteristics of underground water levels, and other topographical features. The findings may serve as data to support decision-making processes in the field of urban disaster prevention and call for extensive research to incorporate hydro-geomorphology and spatial modeling.

The probabilistic estimation of inundation region using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다중 Logistic 회귀분석을 통한 침수지역의 확률적 도출)

  • Jung, Minkyu;Kim, Jin-Guk;Uranchimeg, Sumiya;Kwon, Hyun-H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3 no.2
    • /
    • pp.121-129
    • /
    • 2020
  • The increase of impervious surface and development along the river due to urbanization not only cause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associated flood risk factors but also exacerbates flood damage, leading to difficulties in flood management. Flood control measures should be prioritized based on various geographical information in urban areas. In this study, a probabilistic flood hazard assessment was applied to flood-prone areas near an urban river. Flood hazard maps were alternatively considered and used to describe the expected inundation areas for a given set of predictors such as elevation, slope, runoff curve number, and distance to river. This study proposes a Bayesian logistic regression-based flood risk model that aims to provide a probabilistic risk metric such as population-at-risk (PAR). Finally,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demonstrates the probabilistic flood hazard maps for the entire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