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미관

Search Result 98,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Development of precast concrete barrier using drainage facility (배수시설을 내제한 프리캐스트 교량 방호벽 개발)

  • Han, Sejong;Hyeon, Jisu;Kim, Yoon K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21-221
    • /
    • 2018
  • 국내에 대부분 교량은 빗물이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사전에 강우에 대비하여 배수시설을 설계하도록 되어있다. 다수의 교량에서는 점배수와 선배수의 방식을 사용하여 설계 되고 있으나 외부로 노출되어야하는 구조적 문제로 인해 설계시에는 검토되지 않으나 도시미관을 저해하는 요소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미관개선을 위해 교량의 배수시설을 내제한 프리캐스트 교량 방호벽의 개발과 내부에 내제된 배수관의 배수성능을 3차원 모형인 Fluent 모형을 통해 수치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교량 측구에서의 흐름 및 횡배수관의 유입에 관해 3차원 흐름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Signboard Design of Changchun (중국 장춘시 상업지역 옥외간판 연구)

  • Wei, Guo;Kim, Mae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09-111
    • /
    • 2010
  • 도시의 옥외광고는 정보전달매체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그 시각적 표현은 도시미관을 형성 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따라서 현대의 간판은 한 지역의 사회적 문화적 수준을 판가름하는 척도로 인식될 만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도시환경 속에서의 간판은 시민들이 항상 접하고 있는, 시민들의 삶의 질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간판은 이제 상점을 홍보하는 단순한 사물이 아니라 건물과 가로수, 광고의 내용물, 도시 시민들과의 유기적인 조화를 고려하여 만들어야 하는 도시환경구성의 주요 요소로서 접근해야 한다. 따라서, 부분적 요소인 간판을 통해 도시 미관과 환경을 효율적으로 조율하여 쾌적한 도시환경을 조성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중국, 장춘시 상업지역을 중심으로 사인보드의 실태를 수집분석하고 그에 따른 문제점을 연구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 PDF

조화로운 색채를 통한 아름다운 도시 환경 만들기-도시에 색을 입히다

  • 박지민
    • 주택과사람들
    • /
    • s.220
    • /
    • pp.70-73
    • /
    • 2008
  • 서울의 거리를 떠올리면 회색 콘크리트 빌딩이 먼저 생각나고, 색채나 크기의 조화없이 난무한 무질서한 간판들이 연상된다. 공공 디자인이 사회적 관심으로 대두되고 있는 요즘, 국내 도시 미관의 실태와 색채를 통해 아름다운 도시 환경을 만든 외국 사례들을 살펴보자

  • PDF

도시미관과 경관조명

  • 지철근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1 no.6
    • /
    • pp.3-7
    • /
    • 1997
  • PDF

도시미관과 경관조명의 계획과 설계

  • 이선형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v.212 no.4
    • /
    • pp.29-34
    • /
    • 2000
  • 경관조명을 설계 하는데 중요한 부분은 첫째로 그 도시의 건물 등이나 거리 등을 표현하는 것으로서 그곳에서 사는 주민들과 관광객의 개성, 역사적 풍토, 거리의 문화특징 등이 거리의 주택이나 도로에 표현될 수 있는 조명계획이 이루어져서 건물과 거리의 인상을 확립하는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