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시맥락

Search Result 155,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국내 도시 커뮤니티가든의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 Kim, Hye-Ju;Choe, J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Conference
    • /
    • 2017.10a
    • /
    • pp.48-50
    • /
    • 2017
  • 오늘날의 정원(Garden)은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고 있는데 이중 커뮤니티가든(Community Garden)은 도시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개인과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자리잡고 있다. 도시에서의 커뮤니티가든은 커뮤니티 활동을 활발하게 펼칠 수 있는 터가 되어주고 있는바 이에 국내 도시 커뮤니티가든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위해 이론적고찰과 현장답사, 자료분석을 토대로 하여 한국적 맥락의 도시 커뮤니티가든에 대한 개념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를 진행하였다. 국내 주요 도시 13곳 내에 위치한 35개 사례지를 선정하여 조사한 결과 한국적 맥락의 도시 커뮤니티가든은 주민조직과 지자체의 행정지도가 어우러진 도심내 유휴지 또는 마을 공터에 조성된 공동경작 또는 개인경작이 어우러진 정원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한국의 도시 커뮤니티가든은 해당 지자체의 관리와 보조금 지급여부에 따라 커뮤니티가든의 물리적 상태가 달라졌으며 따라서, 주민조직체계에 대한 지원과 효율적인 관리시스템이 확립된다면 도시 커뮤니티가든의 지속가능성은 높아질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함부르크와 항구도시의 문화적 정체성

  • Bae, Jeo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368-369
    • /
    • 2011
  • 북항 재개발사업에 대한 기대와 관심은 항만시설의 기능성과 효용의 차원과 나란히 지역민의 정체성에도 깊이 뿌리닿아 있는 문제다. 이러한 의미에서 북항의 이슈와 함께 해항도시는 자신의 항구적 문화적 전통과 정체성을 어떻게 유지하며 발전시켜 나가는가라는 근본적이고도 광범위한 의문이 자연스럽게 제기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논의의 확장과 심화를 위해, 독일 함부르크의 사례를 살펴볼 것이다. 함부르크의 슈파이허슈타트와 발린슈타트, 그리고 하펜시티는 도시를 의미하는 슈타트, 시티라는 명칭을 통해서 그 공간이 단지 하나의 건물, 장소에 머무르는 것이 아님을 암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슈파이허슈타트의 경우는 함부르크 원도시와 일종의 제유법적 관계로서 읽고자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슈파이허슈타트가 건설된 역사적 사회적 맥락을 논의하고, 이러한 맥락이 어떻게 공간적 시각적으로 확인될 수 있는가를 슈파이허슈타트와 원도심간의 교각을 통하여 확인해 볼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Changes of Spatial Structure of Korean Traditional Housing in Urban Context (도시적 맥락에서 본 전통한옥의 공간구성 변화에 관한 연구)

  • Lee, Hae-Kyung;Kang, Gyoung-Ho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18 no.4
    • /
    • pp.69-78
    • /
    • 2007
  •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changes of spatial structure of Korean traditional housing in urban context with the following preconditions. Firstly, Chosun Hanyang's urban housing should be classified as it's own type. Secondly, Chosun's traditional housing accomplishes a complete urban housing type in Japanese colonial period through the stream of time.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s. First is to find out the process of changes of urban housing in urban context from the latter period of Chosun Dynasty to 1960's. Second is to find out the origin of spatial structure of urban house which is being kept throughout the above changes. Third is to find ou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urban house and the fundamental differences with folk houses in province.

A Study on the Urban Contextual Interpretation and Admitting Methods in Neo-Rationalism (신합리주의 건축의 도시 맥락적 해석과 수용방식에 관한 연구)

  • Lee, Seon-Hye;Song, Dae-H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2
    • /
    • pp.919-926
    • /
    • 2013
  • The relation of City and type caused by Neo-Rationalism often posed a subject in the modern urban architectural design and is treated by essential concept and method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at Neo-Rationalism architecture recognized and treated by metaphysical form and singular image examined on the urban viewpoint. In other words, interpretation concept of city and architecture considered through typological architectural theory and work analysis of Neo-Rationalism architect. Accordingly, the urban contextual characteristics of Neo-Rationalism architecture were aimed to analyze by examining the acceptance mode.

Emotional Experience of Korean Urban Elderly in Everyday Lives using Experience Sampling Method: A focus on gender differences (경험표집법을 통해 살펴본 도시노인의 일상생활 경험: 공간/대인맥락과 정서경험에서의 젠더차이를 중심으로)

  • Han, Gyounghae;Son, Jeongyeon
    • 한국노년학
    • /
    • v.29 no.3
    • /
    • pp.1159-118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veryday emotional experience of urban elderly in Korea. Specifically, this study explores gender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place/location of activity and companionship on the daily emotional experience. Data were collected from 148 urban elderly (men=76, women=72) in Seoul, using Experience Sampling Method(ESM). The unit of analysis was the self-report and in total 5,530 self-reports were provided.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the data analyses wer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χ2 verification, and ANOVA.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elderly in Korea spend a quite substantial portion of their time at home, and they spend the largest share of their time in company with their spouse. Second, women report higher intensity of stress and irritation than men in terms of overall emotional experience. Third, the effect of activity location and companionship on emotional experience turned out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gender. Emotional experience of daily lives and overall quality of life are shown to be inter-related.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a significant implication that situational contexts of experience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daily emotional experience of the contemporary Korean elderly.

A Study on the Trends of the U-City Development and Its Direction in the Local Governments (지방자치단체의 U-City 개발 동향 분석과 개발방향)

  • Lim Young-Taek;Choi Bong-M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6 no.1
    • /
    • pp.126-136
    • /
    • 2006
  • This paper intended to observe the present state of the U-City development in local governments and to present the basic view-point to carry out it in the context of total urban area. Also, this paper has a meaning to present a fundamental perspective for making plan to go on the U-City development. For this reason, it was investigated on the concept of 'Ubiquitous', the related technologies to realize the U-City, the related policies for 'Ubiquitous' in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circumstances of the U-City development in the local government. Finally, on developing the U-City in local government, this paper presented its developing direction in the context of the whole urban structure and in the relation with the developed urban areas.

  • PDF

서울의 젠트리피케이션과 대안적 도시운동의 부상

  • Lee, Gi-Ung
    • Korean Journal of Social Issues
    • /
    • v.18 no.1
    • /
    • pp.127-156
    • /
    • 2017
  • 최근 몇 년 동안 서울에서는 도시공간에 관한 권리를 둘러싼 격렬한 투쟁이 이어져왔다. 급작스러운 임대료 상승과 그에 뒤따르는 폭력적 전치는 이제 도시생활의 일상적 의례의 하나로 자리잡은 듯하다. 흔히 '젠트리피케이션'으로 명명되는 도시공간의 자본화는 한편으로 도시 내 계급지배가 관철되는 대표적 양상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다양한 형태의 도시운동이 발생하는 조건과 배경으로도 작용한다. 이 논문에서는 최근 서울의 도시공간에서 발견되는 도시운동의 새로운 형태들을 2010년 이후 등장한 세 개의 도시 운동 집단, '맘편히장사하고픈상인모임(맘상모),' 리슨투더시티, 비빌기지에 초점을 맞춰 검토한다. 구체적으로 이 글에서는 도시공간에 대한 이들의 대안적 상상과 실천의 형성 과정을 서울의 젠트리피케이션이라는 맥락에서 살펴보고, 이들이 제시하는 도시운동의 '새로움'을 과거의 도시운동과 비교 분석하며, 도시운동으로서 이들의 실천이 지닌 함의를 도시권의 관점에서 고찰한다. 내용과 형식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이들 집단의 행동은 몇몇 핵심적 특성을 공유한다. 첫째, 이들은 공동재(commons)로서의 도시공간을 추구한다. 둘째, 이들은 느슨하고 유연하며 소규모의 조직을 지향한다. 셋째, 이들은 예술과 문화를 주체형성에 적극적으로 동원한다. 이러한 특성들은 철거민운동으로 대표되는 전통적 계급 기반 도시운동과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며, 계급 이후(post-class) 도시권의 전망을 선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