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시노인과 농촌노인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25초

노인의 관점에서 본 동네환경의 노인친화도 -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의 비교연구 - (The Age-friendly Degree of Neighborhood Environment in aspects of the Aged - A Comparative Study of Urban Area and Rural Area -)

  • 오찬옥;김수영;강동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2호
    • /
    • pp.217-226
    • /
    • 2015
  • As the aging society is globally increasing, the guide for the aged-friendly city is suggested by WHO and many cities are preparing to meet with it. The base of this guide for an age-friendly city is an active aging. This study examined how degree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is age-friendly from older persons' standpoint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interview with old persons who aged more than 65 years, 117 persons in an urban area and 110 ones in a rural area. The age-friendly degree of neighborhood environment was examined from two aspects. One is how close 12 neighborhood facilities were from the elderly's houses. Another one is how degree the elderly were considered in 4 areas: pedestrian road, traffic, the amount of housing for the elderly, and space layouts of their houses.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elderly related neighborhood facilities in urban area were closer located to old persons' houses than in rural area, except the senior center. Second, in case of the age-friendly degree of their neighborhood environments, the space layout of house was the highest, and then traffic, pedestrian road, and the amount of housing for the elderly, in order. The consideration degree of wheelchair users was the lowest. Third, the age-friendly degree of pedestrian road, traffic, and room layout of house in rural area were higher than in urban area. However, the amount of housing for the elderly in urban area was higher than in rural area.

일부 농촌 지역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건강수준 및 건강행태와의 관련성 (The Association of Social Support with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among Rural Aged Population)

  • 전보영;이혜재;손창우;김남권;김애련;박지은;이은상;이정화;최주현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4권1호
    • /
    • pp.13-23
    • /
    • 2009
  • '사회적 지지'는 자신이 사랑 받고 돌보아진다고 믿게 하는 정보로서 인지적 심리적 안정을 도우며 개인의 대응역량을 높여준다. 노인에 대한 사회적 지지는 심혈관 질환 등으로 인한 사망률에 영향을 주고, 우울증을 감소시키고, 스트레스와 우울 사이에 완충 역할을 하며, 건강행태 또한 사회적 맥락 속에서 결정된다고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는 노령인구의 농촌 편중 하에서, 농촌 노인들은 사회적 지지 측면에서도 도시 노인들보다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일부 농촌지역 노인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와 건강수준 및 건강행태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강원도 춘천시 동산면 군자리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들 중 설문에 응한 총 79명이며, 2008년 6월 23일부터 29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직접면접조사를 하였다. 독립변수는 '가족 수, 가족과의 관계, 친한 친구 수, 참여모임 여부 및 사회적 지지 점수(MOS-SSS 수정)'로 하였고, 이에 따른 신체적 건강 즉, 주관적 건강과 만성질환 유무 그리고 정신적 건강으로 우울증을, 건강행태로 흡연, 음주, 규칙적인 운동, 숙면, 아침식사 여부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대상 인구의 평균 연령은 72.0$\pm$7.0세 이고, 사회적 지지 점수는 20점 만점에서 평균 14.3$\pm$4.7점 이었다. 정신적 건강의 SGDS 점수 측정결과 전체인구의 36.3%가 우울성향을 보였다. 건강수준에 영향을 준 요인으로서, 사회적 지지 점수가 다를 때 우울 성향(p<0.001)과 운동여부(0.03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가족관계가 보통인 군에서 좋은 군보다 주관적으로 느끼는 건강수준이 낮고(OR=0.25, 95% CI=0.07-0.95), 숙면을 취하는 정도가 더 낮았다(OR=0.21, 95% CI=0.06-0.73). 친한 친구가 없는 군은 친한 친구 수가 5명 이상인 군에 비해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경우가 더 낮았고(OR=0.21, 95% CI=0.05-0.94), 참여모임이 없는 사람은 참여모임이 있는 사람보다 '우울'로 나타남이 유의하게 높았다(OR=4.79, 95% CI=1.62-14.15). 이 연구를 통해 사회적 지지 점수 및 가족관계, 친구 수, 참여모임 수 등으로 대변되는 사회적 지지가 농촌 노인의 건강수준 및 건강행태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농촌 노인들의 건강증진을 위해서 사회적 지지를 고취시킬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겠다.

노인의 건강과 영양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분석 (Socio-Economic Factors Affecting the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the Aged)

  • 김숙희;강혜경;김주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3권1호
    • /
    • pp.86-101
    • /
    • 2000
  • 노화란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물이 죽음을 향해서 변화해가는 과정을 포괄적으로 말한 것으로 사람들은 위의 과정을 일생이라 정의하는데, 이를 세분하여 성장, 성숙 또는 유지, 노화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러한 입장에서 보면 노화는 초기 성장단계로부터 연계되고 또한 노화이전의 결과가 노화로 나타난다고 말 할 수 있다. 올해는 유엔이 정한 노인의 해이다. 과학의 발전과 경제적 조건의 향상으로 전세계적으로 인간의 평균 수명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데 이로써 65세 이후의 노인의 비율이 각 나라마다 증가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노인들의 건강한 노후를 위해 다각적인 배려가 모색되어야 한다. 이런 입장에서 노인의 건강과 영양섭취 실태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경제적 요인을 문헌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았다. 한국의 경우, 65세 이상의 노인의 비율이 1997년 현재 전 인구의 6.3%로 다른 OECD국가에 비해 노인인구의 비율은 낮지만 평균 수명의 증가로 점차 그 비율이 높아지고 있어 프랑스, 스웨덴과 같이 노인 인구가 10%를 넘는 고령화 국가에는 아직 못 미치지만 점차로 그에 접근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추세라면 2020년경에는 노인 인구가 아동인구를 앞설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여러 연구 결과에 의하면 한국의 노인들은 경제적으로 궁핍한 상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런 경제적인 조건이 노인들의 주관적인 생활 만족도와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교육 정도가 높을수록, 가족간의 결속력이 클수록 노인들이 느끼는 주관적 건강 상태가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수입, 교육, 직업, 고용상태, 결혼상태, 가족구성원, 성, 어린시절의 조건 등이 노인의 건강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것으로 제시되고 있다. 수입의 감소는 노인의 사망률을 증가시키며 결혼 한 경우는 결혼하지 않은 경우보다 사망률이 낮았다. 고용상태와 직업의 경우도 사망률에 영향을 주는데, 고용된 사람의 경우 비고용된 사람의 경우 보다 사망률이 낮았으며 비전문직 종사자보다 전문직 종사자의 사망률이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어린 시절의 조건은 노인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건강에 대한 관심도에 의해 중재될 수 있는데, 노인의 어린 시절에 발생한 가족간의 불화는 건강에 대한 관심도를 낮추어 그후 노인기 건강에 영향을 준다고 한다. IUGR은 신생아의 크기와 모양의 차이를 가져오며 성인기의 상이한 질병을 유발시키므로 태아기의 성장 손상은 성인의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 생활방식은 사회경제적 차에 의한 건강 불평등을 야기시키는 한편, 생활방식의 차는 사회경제적 차에 따른 건강 불평등을 다소 완화시킬 수 있다. 생활방식이 양호한 경우 노인의 자가건강 만족도는 증가된다고 한다. 그러나 생활방식에 의한 영향은 사회경제적 요인에 비해 그 영향이 적다고 한다. 한국노인의 영양섭취상태는 권장량에 비해 부족하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수입, 교육, 계층의식 등의 사회경제적 요인에 따라 영양섭취량과 식습관, 우울도 등이 영향을 받는다. 또 도시거주노인에 비해 농촌거주노인이, 재가노인에 비해 시설노인의 영양상태가 부족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거주상태에 따라 노인의 건강과 영양상태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결론적으로 노인들과 연관된 사회경제적 요인은 노인의 건강과 영양상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노인들이 영향을 받고 있는 사회경제적 요인의 복합적인 분석을 통하여 노인의 건강과 영양상태를 보다 효율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 PDF

도시와 농촌노인의 건강생활습관과 만성질환관리 실태비교 (Comparison of Healthy Life Style and Chronic Disease Management between Urban and Rural Older Adults)

  • 이지아;이예나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0-108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healthy life style and chronic disease management between urban and rural older adults. Methods: The study employed a comparative and descriptive survey design. Data were collected from 154 older adults living independently in communities (79 from urban and 75 from rural areas) using structured questionaries from 24 July, 2010 to 14 August, 2011. Results: Perceived health status was significantly lower in urban older adults than those in rural areas ($x^2$=13.27, p = .001). Frequency of regular health examination was better in the urban group than the rural group ($x^2$=4.71, p = .030). Among older adults with hypertension, medication noncompliance was higher, and participation rate in disease management education was lower in the rural group than the urban group ($x^2$=6.43, p = .040; $x^2$=23.51, p<.001, respectively) and the same as arthritis. Conclusion: Rural older adults had more problems with health and disease management in this study, might be, due to difficulties in access to health care services than urban residents. More tailored programs of disease management as well as health service programs and staffing should be developed in rural areas. For urban older adults, meal preparation program and more opportunities producing income may be needed.

도농복합지역과 지역유형에 따른 노인교통사고 특성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Accident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Urban-Rural Complex Area and Regional Types)

  • 김경범;황경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224-236
    • /
    • 2017
  • 본 노인교통안전정책을 제시하기 위하여 경기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는 실제 지역유형별(도시지역, 도농복합지역, 농촌지역) 노인운전자의 교통사고 특성을 분석한 결과, 3개 지역 모두 안전운전의무 불이행에 의한 교통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도시지역과 도농복합지역은 신호위반과 교차로 사고, 그리고 농촌지역은 중앙선 침범에 의한 교통사고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지역과 도농복합지역은 신호운영에 있어서 오버랩 등 복잡한 신호운영보다는 단순한 양직진후 좌회전 또는 직진과 좌회전 동시신호 부여 등 단순한 신호 표출방안이 필요하다. 그리고 무신호교차로와 비보호교통신호 처리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게다가 농촌지역의 중앙선 침범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중앙선에 가드레일을 설치하여 중앙선 침범을 방지하고 반대방향 자동차 전조등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켜야 하며, 해가 지는 일몰 시간대의 교통사고 예방을 위하여 운전 중에 파악해야 할 교통표지판 및 도로표지 등의 글자크기 확대와 형광글씨를 사용하여 시인성 개선해야 하며, 복잡한 문구와 여러 가지 정보보다는 단순화한 정보제공 문구와 최소의 정보제공으로 단순화해야 한다.

일부 도시.농촌노인의 건강상태 비교 연구 -광주,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Health Status in Urban and Rural Elderly -Kwangju, Chonnam Area-)

  • 강혜영;김수미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44-256
    • /
    • 199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d compare of elderly lived in a urban and rural Area. The Subject were sampled in convenient sampling and total number of sample were 450 Persons (Urban=150, Rural=300).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e by one interview with interview schedule in the period of March 1-30, 1995. The Study Tools for this study were 1) CMI, 2) Self Rating Score for Health Status, 3) No. of Dignosed Diseases, 4) ADL to investigate for physical health status, 5) IADL for social health status and, 6) Life Satisfaction for psychological health status. The Data was analyzed in percentage, t-test, $x^2$ and pearson correlation by SAS program The Result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he status of physical health, the group of rural elderly were tended to have more physical problems but more active in daily life (ADL, IADL) and more satisfactory psychologically in their life than urban elderly. 2)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number of Health Problems and Self Rating Score for Health, ADL, IADL, Life Satisfaction. And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Health Problems and Diagnosed Diseases.

  • PDF

일개 중소도시의 거주형태별 노인 우울장애 분포 양상 (Distribution of Depressive Disorders among the Aged People by the Type of Residence)

  • 황성민;이준;이은준;조기현;유하나;천경훈;허태훈;임현술;민영선;이관;배근량;정철;정해관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1권1호
    • /
    • pp.1-8
    • /
    • 2006
  •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거주형태와 생활요인 등이 노인 우울장애와 얼마나 관련 있는지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경주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들 중 요양시설노인 50명, 재가노인 72명, 독거노인 34명 등 총 156명을 대상으로 저자들이 자체 개발한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우울장애 검사는 한국형 노인우울검사를 사용하였다. 한국형 노인우울검사의 점수를 기준으로 할 때, 정상은 56.4%(88명)이었고 우울군의 양성률은 43.6%(68명)이었다. 경도 우울군은 21.8%(34명), 중등도 우울군은 7.1%(11명), 고도 우울군은 14.7%(23명)의 양성률을 보였다. 단변량분석에서 성별, 결혼상태, 거주형태, 가전제품, 한달 용돈, 학력, 외출횟수 등이 우울장애와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요양시설노인의 경우 중등도 우울군은 10.0%(5명), 심도 우울군은 32.0%(16명)로 요양시설노인이 재가노인 및 독거노인에 비해 유의하게 우울장애 양성률이 높았다(p<0.05).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요양시설노인군이 재가노인군에 대해 교차비가 16.08(95% 신뢰구간: 3.60-71.88), 한 달 용돈이 10만원 미만 노인군이 10만원 이상 노인군에 대해 교차비가 14.84(95% 신뢰구간: 4.35-50.63) 이었다.

  • PDF

도시와 농촌지역 여성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관련요인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Affecting Factors of Aged Women in Urban and Rural Area)

  • 윤순녕;이지윤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3-22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influencing factors between aged women of rural areas and urban area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their behavior, and to provide the primary data for developing heath enhancing program that is appropriate for the population.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on 221 aged women 100 from urban areas and 121 from rural area.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and interview.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and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were found by using SPSS PC Win. Package.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of factors relat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Pender model between the aged women in urban areas and rural areas, urban women showed higher scores in factors such as previous heath relating behavior, perceived confidence, self-efficacy, social support, satisfaction with marriage, situational influence, and behavioral plan involvement, while rural women showed higher scores in the factors of fixed idea regarding gender role, perceived disabled feeling, and activity related emotions. At the subscale of HPLP, interpersonal relation, nutrition, health responsibility, stress management, spiritual growth of rural group was lower than urban group. With the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commitment to a plan of action, social support, activity related affect, self efficacy were proved to be significant to urban group, while commitment to a plan of action. activity related affect, social support, sex-role stereotype were proved to be significant to rural group statistically. Conclusion: There were difference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influencing factors between aged women in urban areas and rural areas and women in rural areas were found to have more weakness than women in urban areas. With th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aged woman should be designed differently between urban and rural area regarding the factors affecting health promotion behaviors.

  • PDF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노인의 일상생활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시간과 공간적 맥락을 중심으로 (A Qualitative study on Daily Life Experiences of Korean Elderly Welfare Recipients: Focused on Time and Space on Daily lives)

  • 주경희;김희주;김세원;오혜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00-218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노인의 일상생활 경험을 시간과 공간의 맥락으로 재구성하여 이러한 일상의 맥락들이 수급노인의 사회복지서비스 경험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1명의 수급노인을 의도적 표집으로 선정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질적 연구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시간적 맥락에서의 일상경험은 "정신적, 신체적 고통을 홀로 견뎌내는 시간 속에서 엇갈리는 복지 서비스"이라는 주제가 도출되었고, 세부주제로 '반복된 하루의 시작: 공적 서비스 혜택 뒤의 무료한 생활', '식사시간: 억지로 치루는 일상 의식', '운영 종료되는 복지 서비스와 잠 못 이루는 정신적 고통의 밤', '복지서비스 중단과 혼자 보내는 휴일', '수급비 감소와 생활비 부족으로 움츠러드는 추운 겨울', '힘든 삶을 버틸 수 있게 하는 일상의 자원들'이 나타났다. 공간적 맥락에서의 일상경험은 "단절된 공간 속에서 이루어지는 제한된 복지 서비스와 상호작용"으로 나타났으며, 세부주제로 '나를 더 아프게 하는 집', '무료한 일상을 벗어나기 위한 최소한의 피난처', '건강한 노인들에게만 유익한 복지기관', '도시와 농촌의 지역적 차이 속 공통된 복지서비스와 사회 관계망의 빈약함', '아픈 몸, 제한적 치료만 받을 수 있는 의료서비스', '높은 문턱의 행정기관', '수급서비스 제도 안에서의 양가감정의 생활'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지역사회 노인의 사회경제적 위치에 따른 환경유해인자 노출과 건강 불평등 (Environmental Exposure and Health Inequality by Socio-economic Position among Older People)

  • 이세윤;김홍수;정영일;최윤형;이기영;유승도;홍윤철
    • 한국노년학
    • /
    • 제34권2호
    • /
    • pp.349-367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60세 이상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의 사회경제적 위치, 환경유해인자 노출, 건강수준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그 동안 건강불평등 연구에서 고려되지 않았던 환경유해인자 노출의 영향에 대해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도시 및 농촌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국립환경과학원의 '노령인구의 환경유해인자 노출 및 건강영향 평가' 자료를 활용하여, 563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사회경제적 위치와 환경유해인자 노출 행태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나아가 사회경제적 위치를 통제한 후에 환경유해인자 노출 행태와 건강수준 사이의 관계를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연구 참여자의 연령, 가구형태, 월평균지출(용돈), 거주건물형태와 거주지역 등의 사회경제적 위치를 나타내는 변수들은 실내 흡연, 실내 살충제 사용, 환기 등 환경유해인자 노출관련 행태와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또한 환경유해인자 노출 행태인 실내 흡연 허용은 다른 요인을 통제한 이후에도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감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이는 우리나라 노인들의 사회경제적 위치에 따른 환경유해인자 노출 행태에 차이가 있으며, 나아가 건강수준에 차이가 존재함을 보여줌과 동시에 노인인구의 건강불평등 연구에 있어 환경유해인자 노출행태가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향후 노인 인구집단 및 이들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측면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사회경제적 위치와 환경유해인자 노출, 그리고 건강수준 사이의 인과관계의 규명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