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서관 최적화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초

도서관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Guidelines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 Library)

  • 노영희;김태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5-6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개인정보 가이드라인(안)을 제안하되, 관종을 구분하지 않고 어느 도서관에서나 적용가능하도록 하였다. 개개 도서관은 이 가이드라인(안)을 기초로 하여 자관의 실정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목적, 용어정의, 개인정보의 범위, 관련법 및 정책, 일반적인 내용, 도서관의 업무수행상 개인정보처리, 도서관의 외주업체 등으로 구분하여 도서관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으며, 개정된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에 따른 도서관의 대처방향 마련, 개인정보처리지침의 도서관 최적화, 관련법령에의 반영, 도서관 개인정보 가이드라인 표준화 지향 등을 고려하였다.

출판기능이 부여된 디지털 도서관 I : 디지털 도서관의 본질적 해석 (Digital Library in the Notion of Publishing, I : From the Viewpoint of Intrinsic Attribute)

  • 정준민
    • 정보관리연구
    • /
    • 제37권1호
    • /
    • pp.39-55
    • /
    • 2006
  • 도서관에 관한 가장 기본적이고 상식적이며, 이미 일반화 시킨 개념을 토대로 도서관에 대한 기능과 본질에 대해 추론해 보았다. 그리고 그 맥락에서 전자도서관에 대한 해석을 내림으로 도서관의 본질적 이해와 역할을 그려보았다. 결과적으로 도서관의 본질은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가 같아야 하며, 그 변화와 발전은 본질에 대한 그 시대 기술의 최적화 작업이어야 한다. 그러므로 정보 서비스의 본질인 출판기능이 존재하며, 정보의 생산, 유통 그리고 재생산을 위한 무형의 가치창출 행위가 도서관이며, 그것이 곧 디지털 도서관인 것이다.

공공도서관의 지역문화발전 기여전략 연구 (The Contribution Strategy of Public Library to Local Cultural Development in Korea)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1-20
    • /
    • 2015
  • 이 연구는 문화기반시설인 공공도서관의 지역문화발전 기여전략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공공도서관이 수행하는 업무와 지역문화발전의 상의적 수수관계를 바탕으로 기여도를 평가하고 한계를 적시하였다. 이어 공공도서관과 밀접한 지역문화를 지식문화, 독서문화, 학습문화, 대중문화, 여가문화로 구분하고 이들의 발전과 진흥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기여전략(장서개발과 이용서비스 중심의 핵심역량 제고, 디지털 정보해득력 교육 지원기능 강화, 독서생활화를 위한 독서촉진과 저변확대, 평생학습(문화)프로그램 제공서비스의 최적화, 시설 공간의 개방화 및 친숙성 증대, 지역 유관기관과의 연계 협력사업 확대)을 제안하였다.

디지털 도서관 환경에서 지식기반 질의 변환기법을 이용한 검색 에이전트 (A Digital Library Search Agent using Knowledge-based Query Reformulation)

  • 정재헌;이상구;이상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6권2호
    • /
    • pp.203-212
    • /
    • 1999
  • 디지털 도서관 시스템의 검색에서 발생하는 가장 큰 문제점은 질의에 있어 사용자의 의도와 시스템의 해석간의 의미적, 형식적 차이가 생긴다는 점에 있다. 우리는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질의를 변환하는 지능적 검색 에이전트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서 의미적 질의 최적화기법에 근거를 둔 변환 알고리즘과 에이전트 아키텍쳐를 정의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범용 추론키보다 훨씬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사용자의 질의를 변환한다.

정보 수집 최적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llecting Optimization for KISTI's collection)

  • 황혜경;오주은
    • 정보관리연구
    • /
    • 제32권3_4호
    • /
    • pp.96-122
    • /
    • 2001
  • 본고는 국가 대표 정보센터의 역할을 수행할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의 정보수집 최적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이를 위해 우선 국내와 해외의 도서관 및 연구소 자료실의 정보수집 현황을 살펴보고 KISTI의 정보수집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정보수집의 최적화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 향후 수행해야 할 정책적 과제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 PDF

공공도서관 지적자본 평가지표와 성과의 인과관계 연구 (A Study on the Cause and Effect of Assessment Index of Intellectual Capital and Performance of the Public Library)

  • 박성우;장우권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79-307
    • /
    • 2011
  • 공공도서관의 경쟁우위와 지속성 유지를 위한 내적 원동력은 지적자본이다. 지적자본은 내부구성원의 역량, 구성원들이 형성하는 조직구조, 이용자 및 이해관계자의 협력으로 맺어지는 인적자본, 구조자본, 사회자본으로 구성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지적자본 구성요소인 인적자본, 구조자본, 사회자본에 관한 배경이론을 토대로 공공도서관 지적자본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동시에 실험적 평가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지적자본의 배경이론을 토대로 공공도서관의 지적자본의 해석과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또한 실증적 분석을 통해 지적자본 구성요소와 성과의 인과관계를 밝히고, 최적화된 지적자본 평가모형을 제시하였다.

상황인식 컴퓨팅의 개념과 도서관 정보서비스에의 적용 (The Concept of the Context-Aware Computing and Its Application to the Library Information Services)

  • 이정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79-194
    • /
    • 2012
  • 본 연구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연구의 중요한 주제로 거론되고 있는 상황인식컴퓨팅의 도서관 정보서비스 적용에 관한 연구이다. 상황인식컴퓨팅은 이용자의 상황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이용자에게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컴퓨팅 기술이다. 상황인식컴퓨팅의 개념은 90년대 말부터 논의되었으나 기술적 제한으로 인해 최근까지는 그 현실성이 크게 부각되지 않았었다. 최근의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스마트폰 사용을 필두로 한 모바일 정보검색의 대중화는 상황인식컴퓨팅을 현실에 적용시킬 수 있게 만들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그 유용성을 확인시켜주고 있다. 본 논문은 상황인식컴퓨팅의 개념을 소개하고 각종 사례를 살펴보며, 상황인식 컴퓨팅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 요구를 조사하여 도서관 환경에 적용해봄으로써 보다 이용자 중심적인 도서관 정보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정선군의 도서관 정책혁신전략을 기반으로 한 도서관 중장기 종합발전계획 수립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ing a Mid-to Long-term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Based on Jeongseon-gun's Library Policy Innovation Strategy)

  • 장인호;노영희;강지혜;곽우정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95-320
    • /
    • 2023
  • 정선군에는 사북공공도서관과 작은도서관 17개소, 정선교육도서관이 있으며, 2023년에는 정선군립도서관이 준공됨에 따라, 도서관발전을 위하여 정선군립도서관을 구축으로 한 지역별 균형을 고려한 도서관 정책 혁신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선군 공공도서관이 앞으로 나아가는 방향성을 설정하고 적절한 전략을 제시함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 정선군의 지역 현황과 특성을 살펴보고, 정선군 공공도서관의 운영 현황을 분석하였다. 또한 정선군민을 대상으로 도서관에 대한 만족도 조사와 수요 조사를 실시하여 도서관의 개선 방향성을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지역 특성, 도서관 현황, 지역주민의 요구 등을 종합하여 해당 지역에 최적화된 전략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비전 달성을 위한 운영목표에는 "군민의 건강한 삶을 함께하는 생활밀착형 도서관"으로 설정하고 정선군민의 건강한 삶을 위해 일상 가까이에서 함께하는 동반자로서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운영목표를 추진하기 위한 4대 전략과제를 "지역주민과 성장하는 도서관", "복합문화 교류를 제공하는 도서관", "지속가능한 미래지향적 도서관", "지역사회와 협력하는 도서관"으로 표현하였다.

공공도서관의 진단적 평가와 대안모색 -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 (Diagnostic Evaluation and Alternative Plans of Public Libraries in Taegu Metropolitan City)

  • 윤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47-67
    • /
    • 2000
  •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로그-회귀분석에 의한 경영성과를 평가하고 대안을 모색하였다. 투입예산에 대한 산출효과(생산성)를 분석한 결과, 기울기(b)의 누적값(${\Sigma}b_n$)은 약 3.732이므로 지역주민에 대한 정보봉사력은 매우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도서관 정체성의 재정립, 최적의 입지선정과 증설, 예산배정 및 장서구성의 개선, 적정 인력의 확보와 조직개편, 웹환경의 최적화, 이용자봉사의 강화를 제시하였다.

  • PDF

MPEG-7 기반 디지털도서관 시스템을 위한 XQuery Engine (An XQuery Engine for MPEG-7 Based Digital Library Systems)

  • 고은정;김철수;강지훈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 (B)
    • /
    • pp.546-548
    • /
    • 2003
  • MPEC-7 메타데이타는 이미지의 칼라 히스토그램과 같은 멀티미디어 객체의 속성을 기술할 수 있어서, MPEG-7을 사용하는 멀티미디어 디지털도서관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객체에 대한 내용기반 검색을 가능하게 해준다. MPEC-7 메타데이타는 XML 데이터이며, 이애 대한 질의를 위해서는 XQuery와 같은 XML 데이터를 위한 질의어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MPEG-7 데이터에 대한 XQuery 질의를 처리할 수 있는 XQuery 엔진을 제안한다. 엔진은 XQuery를 입력받아 정보검색을 위한 POT(Primitive Operation Tree)를 생성한다. 우리의 방식은 표준질의어인 XQuery를 처리함으로써 디지털도서관 시스템 사이의 상호 운영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XQuery 엔진과 정보검색기 사이의 표준 인터페이스로 사용할 수 있는 POT를 위한 primitive operation 집합을 정의하였으며, 또한 POT 상에서의 질의 최적화를 수행하여 검색 성능 향상을 도모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