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서관 공간활용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22초

도서관의 폐교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Closed School in Library)

  • 노영희;노지윤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77-106
    • /
    • 2018
  • 본 연구는 도서관의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폐교 활용방안에 앞서, 폐교 현황과 활용 사례를 기반으로 최근 도서관의 폐교 활용 트렌드를 파악하고 도서관의 폐교 활용 가능성 및 방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사례조사를 통하여 폐교를 활용한 도서관 건립은 복합문화공간 제공, 친환경적 공간 제공, 지역 커뮤니티 장소 제공 등 기존의 공공도서관과는 또 다른 특색을 가진 도서관으로 재탄생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도서관의 폐교 활용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지역경제 기여와 지역의 재활성화 기회 제공, 지역주민을 위한 생활 밀착형 친화형 공간, 노인복지 요양서비스 귀농 생활 등과 연계한 공간의 재활용, 폐교를 활용한 부가 가치 창출과 지역 비즈니스 창출, 환경친화적 공간으로 구성, 복합문화공간의 형태로 구성된 통합적인 공간으로 활용, 지역의 커뮤니티 센터 역할 수행, 지역의 요구를 충족 보완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재활용.

대학도서관 공간별 특성에 따른 활용도 분석 - J대학교 이용자 로그데이터를 기반으로 - (Analysis of Utilization Status according to Users' Spaces of University Library - Based on the User log data of "J" University -)

  • 박태연;손은정;오효정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245-27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 공간 활용 현황 분석을 통해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고려 사항들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대학도서관의 이용자 공간을 범주화하고 그에 따른 이용률을 분석하였으며, 둘째, 이용자 공간의 특성에 따른 주요 이용자 그룹의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셋째. 구체적인 이용자 그룹별 공간 선호 요인을 판별하고, 넷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도서관 공간을 설계하기 위한 시사점과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실증적인 분석을 위해 국립 J대학의 중앙도서관을 대상으로 1년간 누적된 이용자 공간 이용 데이터(98,282명, 433,769건)를 수집·정제하여 공간별, 기간별(월별, 시간별)로 이용 패턴을 파악하였다. 또한 동 기간 내 도서관 방문자 전체 데이터(2,426,553건)를 통해 도서관의 주요 이용자 그룹(학부생, 대학원생, 졸업생)을 도출, 이용자 그룹별 공간 특성에 따른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대학도서관의 이용자 공간의 구성 및 배치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정보공유공간(Information Commons)의 도입을 통한 학교도서관 공간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School Library Space by the Introduction of Information Commons)

  • 정재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67-289
    • /
    • 2008
  • 학교도서관에서 공간의 의미는 학교도서관 이용자가 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는 학생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여타 도서관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있다. 더구나, 공간의 규모가 충분하지 않은 국내 학교도서관의 현실을 고려할 때 공간의 효과적인 활용은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통합적 서비스 공간을 지향하는 Information Commons 개념의 도입을 통해 학교도서관 공간의 효과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학교도서관은 도서관내 필수시설을 최소화하고 유연성 및 호환성을 확보함으로써 공간을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간중심 디자인과 개방성을 지향함으로써 학교 내 커뮤니티와 수업의 중심 기능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대학도서관 공간활용 방안 연구 (A Study on Utilization Method of Spaces on the University Libraries)

  • 정재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33-352
    • /
    • 2012
  • 최근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복합문화공간을 표방하며 신축 및 리모델링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즉, 디지털 및 멀티미디어기기 활용공간, 스터디룸 등의 열람공간, 영화감상실 및 전시실 등과 같은 문화적 기능수행 공간, 그리고 커뮤니케이션과 휴게공간의 확충 및 제공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새로운 공간의 확보 및 제공에 치중하는 것과는 달리 오프라인 서비스와 적절히 연계되지 못하고 있으며 사서의 역할에 대한 변화와 위치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새로운 도서관 공간을 구상하고 제공하는데 있어 대학도서관의 학문적 성격을 감안하여 '복합문화공간'이 아닌 '복합학습공간'을 지향할 필요가 있으며, 대학도서관의 목적에 대한 이해와 함께 이용자의 요구, 장서의 활용방안 그리고 사서의 역할 및 배치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서관 무한창조공간 구축 및 운영모형 제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reating and Managing "Makerspaces" in Libraries)

  • 노영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3-76
    • /
    • 2014
  • 무한창조공간을 도서관서비스와 결합시키는 것은 도서관 이용자의 삶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획기적인 아이디어라 생각된다. 도서관 무한창조공간은 이용자들이 세상을 다르게 볼 수 있게 하고 그들이 창조할 미래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하고 상상할 수 있는 기회를 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사례와 선행연구논문들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도서관 무한창조공간의 무한한 활용가능성을 제안했다. 도서관 무한창조공간을 위해 도출된 역할개념은 총 12가지로 사회소통공간으로서의 무한창조공간, 학습공간, 창조자원 공유공간, 관심주제탐색공간, 직업탐색 및 창업지원공간, 작가발굴 및 양성공간, 자가출판공간, 인큐베이터로서의 공간, 창조를 위한 협력공간, 창조를 위한 장비체험 및 활용공간, 이야기가 있는 스토리텔링공간, 전문가멘토링 및 컨설팅이 있는 공간 등이다. 하지만 여기에 그치지 않고 보다 많은 연구자들 및 관련자들이 보다 많은 아이디어를 가지고 보다 많은 활용가능성 및 역할을 제안해야 하며, 이를 통해 획기적인 개념의 도서관 역할모색을 통해 도서관의 발전과 확대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지도도서관을 위한 GIS자료의 공간검색과 자료전송에 관하여

  • 김창제;장은미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1999년도 학술회의 논문집 2권2호
    • /
    • pp.203-214
    • /
    • 1999
  • 위성영상의 종류가 많아지고 다양한 종류의 수치지도가 생성되고 관리되기 위해서는 지도도서관이 필요할 것이며, 이는 클리어링하우스와는 달리 전통적인 종이지도까지 포함이 되어야한다. 상품화된 GIS 툴에서 제공하는 공간검색의 기능을 개발하여 지도도서관에 활용을 한다면, 지명검색보다 다양한 형태의 자료를 검색하여 비교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베이스에 각 자료의 좌상단, 우하단 좌표가 입력 관리되고, 서버에 모든 자료가 존재한다는 가정하에 사각검색과 원 검색의 원리를 경우에 따라 분류하고 SQL문으로 만드는 원리를 정리하였다. 공간검색을 통한 GIS자료의 다운로드와 생성된 자료의 업로드 기능을 클라이언트/서버환경에서 JDBC를 활용하여 구현하였다. 국가기관이나 학교에서 지도전문 도서관이 전무한 실정이지만, 앞으로의 가능성을 전제로 하여 고지도로부터 관광지도, 수치지도, 위성영상을 활용한 주제도에 대한 관리방법으로 제안한다.

  • PDF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공도서관 공간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ace Design of a Public Library in Ubiquitous Life)

  • 한희정;김용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93-217
    • /
    • 2010
  • 유비쿼터스 사회의 도래와 함께, 공공도서관에 대한 이용자 요구의 변화는 정보제공기관, 문화서비스기관 및 교육기관으로써 역할과 기능을 수행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다목적 기능을 수행하는 공공도서관은 물리적 공간과 디지털 공간을 기반으로 서비스가 제공된다. 공간적 기반에 있어서 정보공유공간(information commons)은 유비쿼터스 도서관의 물리적인 공간 기반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유비쿼터스 환경의 도래와 함께, 물리적 공간의 효과적인 설계 및 활용은 멀티복합공간으로서 공공도서관의 기능과 역할수행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에서의 물리적 공간으로써 정보공유공간의 설계와 구축을 위한 설계 및 시설요소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 사례 및 설문조사를 통하여 공공도서관의 정보공유공간에 대한 흐름과 요구사항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공공도서관의 물리적 공간으로써 정보공유공간의 구축을 위한 시설요소 및 설계원칙을 제안하였다.

농산어촌지역의 학교도서관 인식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Perception of the School Libraries in the Rural Area)

  • 곽철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83-202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산어촌 지역에 학교도서관을 설치하여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농산어촌 지역의 학교도서관을 담당하는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학교도서관 운영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데 있다. 사용된 연구방법은 설문지법과 면담법이 사용되었다. 조사결과 농산어촌 학교도서관의 역할은 독서교육 공간과 학생들의 문화 및 여가활용 공간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생들이 사회생활에 필요한 견문을 넓히는 공간으로 다양한 정보매체 활용을 위한 공간을 강조하였다. 또한 농산어촌의 학교도서관은 지역주민과 결합된 문화공간의 기능을 강조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연성 있는 도서관 운영시간, 학업능력 향상 프로그램 교양능력향상 프로그램, 문화공간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스마트폰 무선신호를 이용한 공공도서관 이용자의 공간이용행태 분석 (Analyzing Library Space Use Patterns in a Public Library Through Smartphone WiFi)

  • 박성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95-31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이용자의 스마트폰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공공도서관 공간을 어떻게 이용하는지에 대한 이용행태를 분석하는 것이다. 공간이용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으로 이용자의 스마트폰 무선신호를 감지하여 이용자의 동선을 추적하였고 수집된 데이터를 로데이터로 하여 추가적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서울시내 한 구립도서관에서 4개월 동안 수집된 이용자 공간이용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전월 대비 평균 37.9%의 이용자들이 익월에도 이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용자 중의 50%는 7분 미만으로 도서관에 머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서관을 이용하는 시간을 분석한 결과, 오후 2-3시 사이에 이용자들이 가장 많았으며 주말 오후 5시 이후에는 이용자가 매우 적게 나타났다. 층간 공간이동을 분석한 결과, 서가가 위치한 3층과 4층 사이의 공간이동이 유사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스마트폰 무선신호를 이용한 도서관 공간이용행태를 분석하는 방법론이 기존에 주로 사용되었던 관찰을 통한 분석보다 효과적임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도서관 공간이용 분석에 적극 활용된다면 도서관 공간운영의 활용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공공도서관 공간에 대한 청소년의 인식 및 요구 분석 (A Study on the Young Adult's Perceptions and Needs towards the Public Library Space)

  • 지선;장윤금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61-480
    • /
    • 2017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공간에 대한 청소년의 인식, 이용 및 요구 사항을 알아보고 향후 공공도서관의 효율적인 청소년자료실 공간구성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자료실이 별도로 설치된 공공도서관 두 곳을 선정하여 중 고등학생 이용자 12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의 86.5%가 청소년자료실을 이용하며, 주요 이용목적은 여가독서, 개인학습, 정보이용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설문 응답자의 64.8%는 청소년자료실 별도 설치를 중요 이유로 대답하였다. 청소년자료실에서 가장 개선해야 할 점으로 열람석 확대, 정보활용기기 이용 공간 부족, 휴게 공간 부족, 그룹학습 및 모임 공간 확대 등이 나타났다. 이를 통해 청소년 요구를 반영한 공간구성 정책 마련, 물리적 시설 및 청소년서비스가 균형을 이룬 도서관 환경 조성, 열람석 확충을 위한 자료실 개방시간 연장, 다른 공간의 유연성 있는 열람 공간 활용 등의 공공도서관의 공간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