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서관장의 인식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09초

한국 공공도서관장의 사회의식 및 생활.봉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ocial Perception and Their Lives and Jobs of the Public Library Directors in Korea)

  • 김포옥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93-110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공공도서관장을 대상으로 그들의 사회적 의식과 생활전반에 관한 여러 의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도서관장들이 인식하는 사회계층의 소속감이나, 연간수입 및 사서직종의 특성상 여성취업에 관한 의식, 그리고 도서관장으로서의 업무상 능력의 저해요인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이러한 제 요인들은 현직 도서관장들의 의식속에서 어떻게 나타나는가, 그들의 본질적인 특성을 찾아보고. 동시 미래 한국 도서관계가 지향하는 도서관장직의 형태를 고찰해 보았다.

  • PDF

공공도서관장의 역할과 일상적 직무에 대한 질적 분석 (Rethinking Public Library Director's Duties : A Qualitative Approach)

  • 장덕현;이연옥;윤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53-270
    • /
    • 2003
  • 이 글은 공공도서관 현장이라고 하는 직업 세계를 매개로 하는 일상적 업무 속에서 공공도서관의 최고관리자인 도서관장과 실질적으로 공공도서관 일선에서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평사서들과의 역할에 대한 기대와 의식, 그리고 업무에서의 인식의 차이를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질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공공도서관의 평사서들의 일상적 의식세계에 나타나는 공공도서관장의 자질과 역할에 대한 기대를 밝혀내고, 실제로 공공도서관 운영을 책임지고 있는 도서관장의 직업세계를 일상사적 관점으로 조사하여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 PDF

공공도서관의 특성화 방향에 대한 도서관 관장의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n the Library Director's Perception on Public Library Specialization Service)

  • 노영희;오의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51-178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장을 대상으로 공공도서관의 도서관 특성화 및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인식과 의견을 조사함으로써, 도서관 특성화에 대한 발전적인 방향성을 논의하는데 있다. 69명의 관장이 설문에 응하였으며, 주요 결과로는 특성화서비스 제공에 있어 인력과 예산 부족의 어려움이 있지만 도서관 특화서비스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으며 앞으로 유지 발전해 나갈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의 과반수 이상이 공공도서관의 특화서비스 제공과 주제전문사서 배치는 필수적이라고 하였다.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자격은 석사 이상의 학력과년 4-7년 이상의 해당 업무경력이 적절하며 국가자격제도로 관리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특성화서비스는 서비스를 담당할 주제전문사서 양성시스템 정비, 주제전문사서 자격제도의 확립과 운영, 특성화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주제관련 기관들과의 협력 등에 관한 깊은 논의가 향후 후속 연구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공공도서관 계획과 평가에 있어서 도서관기준의 유용성: 미국 공공도서관장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The Utility of State Public Library Standards for Planning and Evaluation: A Survey of Public Library Directors' Perceptions)

  • 차미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69-88
    • /
    • 1999
  • 지난 100여년 동안 미국 대부분의 주에서는 공공도서관의 계획과 평가를 위한 도구로 도서관기준을 개발 보급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주(州)공공도서관기준의 유용성을 도서관의 계획과 평가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공공도서관 관장들의 인식조사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주도서관기준이 개별 도서관의 계획과 평가활동에 유용한지, 유용하다면 기준 항목의 어느 영역이, 그리고 구체적으로 어떤 활동에 유용한지를 파악하였다 공공도서관 관장의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도 검토되었다. 연구결과 공공도서관장들이 도서관기준의 유용성을 도서관과 지역의 환경을 고려하여 이해하고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도서관기준의 개정시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도서관의 계획과 봉사가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 PDF

공공도서관의 기부현황과 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특히 대구광역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Suggestions to Activate Philanthropy including Gifts, Donations and Volunteerism for the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 오동근;김인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07-227
    • /
    • 2003
  •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부의 구체적인 내용들을 이론적 측면에서 분석하여 검토하고, 대구광역시의 8개공공도서관(분관제외)을 중심으로 물질적 기부와 시간적 기부(자원봉사)로 나누어 그 실태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대구지역 공공도서관의 기부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기부에 대한 체계적인 지침(manual)들이 문서화되어야 하며, 다양한 기부방법 등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기부자의 지속적인 참여를 위해 개인과 단체에 대한 관리, 모집, 교육 및 훈련, 보상의 기준설정이 이루어져야 하며, 도서관장과 직원들의 기부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노력이 필요하다.

대학도서관의 조직유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University Libraries)

  • 윤혜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39-175
    • /
    • 1997
  • 본 연구는 한국의 대학도서관 조직유효성을 구성개념으로 인식하여 다차원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료의 수집은 사서 수와 장서 수에 따라 37개 대학도서관을 선정하여 도서관장을 제외한 295명의 주임급 이상의 관리집단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회수되어 결과 분석에 이용한 설문지 수는 229부(회수율 $78.6\%$)였다. 분석방법은 요인분석, 군집분석, 일원분산분석, 1-검증 등의 통계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대학도서관 조직유효성에 관한 문항들을 요인분석 한 결과 우리나라 대학도서관 조직유효성은 IS개 차원으로 구성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둘째, 대학도서관 조직유효성 차원을 기준으로 높은 유효성을 보이는 도서관과 낮은 유효성을 보이는 도서관들이 구분되었다. 셋째, 대학도서관의 배경적 특성에 따라 조직유효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봉사대상자 수, 전임직원 수, 대학의 설립주체, 소속 부서, 직위에 따른 조직유효성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장서 수와 자료구입 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작은도서관 문화프로그램 활성화에 관한 연구 - 서울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nalysis and Improvement of Cultural Programs in Small Libraries: The Case of Seoul Metropolitan City)

  • 양병훈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289-309
    • /
    • 2012
  • 본 연구는 작은도서관 문화프로그램 현황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를 하고자 서울시 소재 142기관을 대상으로 도서관 일반현황과 문화프로그램 현황을 설문조사하였다. 도서관에서 현재 수행하고 있는 기능은 공 사립 모두 자료대출반납, 문화프로그램 운영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문화프로그램 또한 공 사립 모두 과반수 이상 운영하고 있으며, 운영하지 않는 기관들은 운영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정기적으로 운영하는 문화프로그램 수는 공 사립 모두 1~3개이고, 그 유형은 문화교양과 독서관련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문화프로그램 운영 담당자는 공립은 행정직원, 사립은 도서관장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으며, 문화프로그램 운영 시 어려운점은 공 사립 모두 예산과 인력확보로 조사되었다.

지리적 프로파일링을 활용한 해양 범죄 및 해양사고 대응력 강화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on enhance the reinforcement of marine crime and accident using geographical profiling)

  • 순길태
    • 시큐리티연구
    • /
    • 제48호
    • /
    • pp.147-176
    • /
    • 2016
  • 한반도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 지정학적 특성으로 인해 수출입 물동량의 97% 이상을 해양을 통하여 교류하고 있으며, 세계화 국제화 추세에 따라 외국적 선박 및 국제 여객선을 통한 외국여행객들의 출입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또한 국민소득 향상과 해양에 대한 관심도 높아짐에 따라 해양 레저객이 급증하고 있어 해양에서의 사건, 사고가 연간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해양에서 치안을 담당하는 해양경비안전본부의 관할 면적은 국토의 약4.5배에 달하며, 해안선의 길이는 도서지역 포함하여 14,963km, 안전센터 1개소 당 94km를 관장하고 있으며, 경비함정 1척당 $24,068km^2$를 담당하고 있어 효율적인 순찰 및 방범활동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 인식아래 해양경비안전본부에서 취급하는 해양 범죄의 현황과 추세를 분석하여 보다 효율적인 순찰, 방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증가하는 해양 범죄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1900년대 초 미국에서 개발되어 활용하고 있는 지리적 프로파일링 기법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지리적 프로파일링은 공간분석과 지도화를 응용하여 범죄 위험 지역을 예측하고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에 대해 특별관리 하는 핫스팟 분석 등 다양한 기법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경찰청에서 2008년부터 도입하여 죄종별, 시간대별, 지역별, 범죄 다발지, 범죄 발생 우려지 등으로 구분하여 일상화된 순찰 개념이 아닌 고도화된 분석에 의한 순찰과 방범활동에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지리적 프로파일링을 해양에서도 도입하여 해양 범죄를 유형별, 장소별, 시기별, 기간별 등으로 세분화하여 분석, "해양 범죄 지도"를 작성하고, 이를 토대로 살인, 강도, 절도, 실종, 변사, 충돌 등 중요범죄에 대한 위험발생 지역을 "범죄 지점" 일명, 크리미널 포인트(Criminal Point)로 지정 하고 이 지역을 중심으로 시기별, 시간대별로 구분하여 경비함정을 배치하고 정기 또는 수시 경비활동과 방범활동 등을 전개한다면 해양 범죄 및 해양 사고 대응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