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서관인식

검색결과 893건 처리시간 0.026초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대전시 공공도서관 이용자의 인식과 경험 연구 - SNS와 온라인 뉴스 기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Daejeon Public Library Users Using Text Mining: Focusing on SNS and Online News Articles)

  • 최지원;곽승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8권2호
    • /
    • pp.363-384
    • /
    • 2024
  • 본 연구는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중심으로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대전시 공공도서관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과 경험을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첫째, 소셜미디어에 나타난 이용후기 데이터를 수집하여 대전시 공공도서관에 대한 이용자들의 전반적인 인식과 평가를 탐색하였다. 둘째, 온라인 뉴스 기사 분석을 통해 사회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현안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로 어린이 동반 이용자 비중의 높다는 것과 다음으로 LDA 분석을 통한 토픽이 '문화행사/프로그램', '자료 이용', '물리적 환경 및 시설', '도서관 서비스'의 네 가지 분류로 나타난다는 것, 마지막으로 뉴스기사 데이터에 도서관 및 복합문화공간 추가 건립과 도서관 협력 체계 구축에 대한 키워드가 핵심적으로 등장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 균형을 고려한 공공도서관 건립과 육아 및 보육 기관과의 업무협약을 통한 사회적 육아공동체 네트워크 조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활용하여 대전시 공공도서관의 정책적·사회적 흐름을 알아보고 지역사회 수요를 반영하는 공공도서관 운영을 데이터에 기반하여 실행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사회복지사의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인식 분석 연구 (An Analytical Study on the Library Services Perceptions of the Social Workers)

  • 김선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99-122
    • /
    • 2013
  • 최근에 국립장애인도서관(The National Library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이 개관함으로써 장애인을 위한 도서관 봉사에 관심이 한층 더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의 장애인 봉사를 한 단계 더 높이기 위하여, 장애 및 복지분야의 전문가인 사회복지사(social worker)의 도서관 인식(library perception)을 근거로 두 직종간의 협력방안을 정책적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정책적 협력방안은 다음과 같다: (1)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서와 사회복지사와의 전문소통 채널을 구축해야 한다. (2) 사회복지사에게 도서관과 사서의 가치와 필요성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여야 한다. (3) 사서의 사회복지분야 전문지식의 교육을 강화하여야 한다. (4) 사서와 사회복지사 업무간의 명확한 정체성을 확립하여야 한다.

사서의 시각으로 본 공공도서관의 접근성 (From Librarians' Perspectives on Physical Accessibility of Public Libraries)

  • 박성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35-156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 이용자의 이용과 그 패턴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7명의 도서관 직원과의 인터뷰를 통해 도서관과 다른 기관, 쇼핑몰이나 학교와의 공간적 관련성, 도서관 접근시 이동거리, 교통수단, 시간적인 특징들에 대한 사서의 시각을 분석하였다. 인터뷰 결과는 가족단위의 이동에 대한 정보를 분석한 결과를 확증하고 있었다. 그러나 인터뷰 참여자는 이용자의 이동거리나 이동시간이 물리적 접근성 분석에 중요한 요소들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다.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접근성 향상을 위해, 다른 기관과의 후원계약체결, 주 도로 상의 반납함 설치, 점심시간을 이용한 도서관 프로그램 제공 등을 제안하고 있다.

대학도서관 사서가 인식한 근거기반실무 지식의 영향 요인 (Perceived Knowledge of Evidence-Based Practice among University Librarians)

  • 김갑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43-6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 사서가 인식한 근거기반실무의 지식 정도와 영향 요인을 파악하여 대학도서관의 경영과 사서직 발전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 응답한 대학도서관 사서의 근거기반실무 지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변인은 연령, 교육정도, 고용유형, 직위, 학술지읽기, 학술대회 참여이었다. 이들의 근거기반실무 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요인은 교육정도, 학술지읽기로 나타났다. 또한, 근거기반실무 지식 중 근거의 비판적 평가와 실무적용 및 연구문헌 이해와 연구수행은 취약한 것으로 밝혀졌다. 대학도서관 사서의 근거기반실무 지식은 대학도서관과 사서직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혁신의 촉진요인이라고 간주할 수 있기 때문에 근거기반실무의 지식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사서 개인의 노력 뿐 아니라 연구 관련 활동을 지원하는 조직단위, 도서관계, 학계차원의 지원과 정책이 필요하다.

차세대 OPAC의 인터페이스와 기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ext Generation OPAC's Interface and Function)

  • 구중억;곽승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61-88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도서관에서 현행 OPAC의 인터페이스와 기능을 개선하여 차세대 OPAC의 인터페이스와 기능을 갖추는데 실질적인 기초자료와 도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OPAC의 개념과 발전과정,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행태, OPAC의 이용자 이용행태, 도서관의 위기인식, 도서관의 OPAC 인식 등에 관한 선행연구와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OPAC의 인터페이스와 기능을 개선하는데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요소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현행 OPAC의 인터페이스와 기능에 관한 사례분석은 검색창, 검색항목, 검색기법, 정렬기능, 검색결과 디스플레이, 검색결과 피드백에 중점을 두었다. 또한 최근에 개발된 국내외 도서관 상용 및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에서 제공하는 차세대 OPAC의 검색 인터페이스, 검색 기능 및 Library 2.0 서비스 측면에서 구체적인 사례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내도서관에서 현행 OPAC의 인터페이스와 기능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도서관의 만화자료 수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lection of Caricature, Cartoons and Comics in the Library)

  • 유소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73-193
    • /
    • 2003
  • 본 연구는 지금까지 만화자료를 도외시한 우리나라 도서관들이 만화의 진정한 모습을 바르게 인식하여 도서관에 좋은 만화집서를 구축. 이를 이용시키도록 권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하여 도서관자료로서의 만화의 의미, 특징, 만화의 예술적 가치, 만화에 대한 사회에서의 대접의 변화 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만화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도서관이 수용해야 하는 문화산물이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이에 필자는 도서관들이 만화를 정중하게 다루어 좋은 만화집서를 구축, 이를 이용시켜서 독자들이 취할 수 있는 유익함을 취하도록 길을 열어 주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 PDF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in Public Library Services)

  • 김보일;조현양;김종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181-201
    • /
    • 2011
  • 최근 도서관을 둘러싼 사회의 다변화는 도서관의 서비스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모든 이용자에 대한 보편적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공공도서관이 변화하는 사회 환경 속에서도 그 본질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관련 제도 및 사례 분석을 통해 유니버설디자인 측면에서의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공공도서관 서비스에서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을 위하여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보편성 추구를 위한 핵심 키워드 "유니버설디자인", 유니버설디자인을 통한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경제적 가치 추구, 공공도서관 서비스 인식 개선을 위한 유니버설디자인,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을 통한 공공도서관 서비스 관련 정책 및 제도 전환의 4가지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서울시 공공도서관 자료서비스 활성화 방안 (The Plan for Activating Collection Services of Public Library in Seoul Metropolitan)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5-25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 자료서비스의 중요성에 입각하여 서울시 공공도서관의 자료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시도별 공공도서관의 핵심인프라, 자료서비스 및 프로그램의 이용실적, 그리고 핵심인프라 및 이용실적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서울시 공공도서관 자료서비스의 현주소를 평가하였다. 이러한 분석 및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서울시 공공도서관의 자료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한 5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서울시의 모든 공공도서관은 신착자료의 노출력(가시성)을 극대화하고, 장서기반의 문화(평생학습)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도서관 협력시스템을 구축하여 외연을 확대하고, 공동보존서고를 건립하여 상호대차를 강화하며, 대중의 공공도서관 및 장서 인식도를 제고시켜야 한다.

전라북도 지역 공공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지역 대표도서관의 역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ole of the Regional Central Library for Activating the Regional Public Libraries in Jeollabukdo)

  • 배순자
    • 정보관리연구
    • /
    • 제40권3호
    • /
    • pp.23-40
    • /
    • 2009
  • 본 연구는 개정된 새 도서관법에 의한 지역대표도서관의 역할 규명을 위한 것으로, 특정 지역을 선정하여 그 지역대표도서관이 해당 지역 공공도서관 발전 도모를 위해 필요한 역할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연구에서는 지역대표도서관의 본질적 기능과 해당 지역의 현장 사서들의 인식 및 환경적 요인을 바탕으로 하여 지원적 역할과 협력적 역할을 찾고자 하였다. 그 결과 협력적 역할로는 5개 지역의 특성화된 지역거점도서관의 활용으로, 지원적 역할로는 전북지역 지식정보원의 구축에 의한 교육 및 문화행사의 지원 등을 도모하도록 한다.

공립 작은도서관 운영 현황과 과제 - 부산광역시 K구를 중심으로 - (An Empirical Study on the Operation of Public Small Libraries in K District of Busan)

  • 장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73-91
    • /
    • 2018
  • 최근 지역주민에 대한 생활밀착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작은도서관의 증가세가 꾸준하다. 한편으로는 작은도서관 특유의 친근함과 융통성을 기반으로 한 공동체 공간으로서의 역할에 주목한 지자체들이 작은도서관을 지속적으로 건립, 운영하고 있지만, 양적 증가에 부합하는 내실있는 운영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도 적지않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특정 지자체가 설립, 운영하고 있는 작은도서관들을 방문 조사하여, 현행 작은도서관의 운영의 의의와 문제점 등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는 실제 방문 조사를 통한 관찰과 운영자들과의 면담으로부터 자료를 확보함으로써 보다 실제적인 관점에서 지역의 작은도서관이 지니고 있는 한계와 애로사항, 그리고 작은도서관의 발전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